[include(틀:이순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4d4435 0%, #a5844e 30%, #a5844e 70%, #4d4435);" '''{{{#fff {{{+2 방수진}}}}}}[br]{{{#fff 方守震| Bang Su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사적112호아산이충무공묘좌측전경.jpg|width=100%]]}}}{{{-2 방수진의 묘}}}[* 남편 [[이순신]]과 함께 합장되어 있다.] || ||<|2> {{{#fff '''출생'''}}} ||[[1540년대]]와 [[1550년대]] 사이[* 부친 방진이 1514년에 태어났고 남편 [[이순신]]과 1565년에 혼인했으므로 그 사이에 태어났다.] || ||[[조선]] [[충청도]] [[온양시]][br],,(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 ||<|2> {{{#fff '''사망'''}}} ||[[17세기]] 초[br]{{{-1 (향년 불명)[* 1603년 아들 [[이회(조선)|이회]]가 어머니의 병이 중하다고 언급하는 기록이 있으므로 17세기 초까지 살아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조선]] [[충청도]] [[온양시]][br]{{{-2 (現 [[대한민국]] [[아산시]])}}} || || {{{#fff '''묘소'''}}}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고룡산로 12-37[br]{{{-2 ([[충무공 이순신 장군묘]])}}} || || {{{#fff '''학력'''}}} ||[[한문학]] 수학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본관'''}}} ||[[상주 방씨]](온양 방씨) || || {{{#fff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width=28]] [[조선]] || || {{{#fff '''최종[br]관등'''}}} ||정경부인[br](貞敬夫人) || || {{{#fff '''휘'''}}} ||수진(守震) || || {{{#fff '''이명'''}}} ||방씨, 태평, 연화 || || {{{#fff '''종교'''}}} ||[[유교]] (성리학) || || {{{#fff '''부모'''}}} ||부: 방진 (方震, 1514 - ?)[br]모: 숙인(淑人) 남양 홍씨 (? - ?) || || {{{#fff '''배우자'''}}} ||[[이순신]] (1545 - 1598) || || {{{#fff '''자녀'''}}} ||적장남 [[이회(조선)|이회]] (李薈, 1567 - 1625)[br]적차남 [[이예(조선)|이예]][* 이울 혹은 이열로 불리기도 한다.](李䓲, ? - ?)[br]적삼남 [[이면(조선)|이면]] (李葂, 1577 - 1597)[br]적장녀 덕수 이씨 (? - ?)[br]서장남 이훈 (李薰, ? - ?)[br]서차남 이신 (李藎, ? - ?)[br]서장녀 덕수 이씨 (? - ?)[br]서차녀 덕수 이씨 (? - ?)[* 서출자녀들은 전부 남편의 두번째부인 해주 오씨의 소생들이다.] || || {{{#fff '''경력'''}}}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정경부인[* 남편 [[이순신]]이 우의정에 추증되면서 사후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되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정경부인, 충무공 [[이순신]]의 아내. [[황세득]]장군의 사촌 여동생이다. 실명이 밝혀지지 않아서 "태평," "연화" 등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2018년 9월 7일 이름이 현충사에서 보존 중인 국보 76호 서간첩(書簡帖)에서 방수진(方守震)으로 밝혀졌다.[[https://www.yna.co.kr/view/AKR20180907166100054|#]] == 생애 == 16세기 조선 충청도 온양[* 현재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이다.]의 [[온양 방씨|상주 방씨]][* '''상주 방씨'''의 시조 방지(方智)는 당(唐)의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669년에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로 신라에 와서 가유현(嘉猷縣)에 정착하면서 상주를 본관으로 했다. 시조의 6세손 방운(方雲)이 993년(고려 성종 12)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지면서 본관을 상주에서 온양으로 개관하였다. 후손들이 조선 중기까지 상주와 온양으로 본관을 혼용하다가 조선 후기 '''[[온양 방씨]]'''로 통일하였다.] 양반 집안에서 방진과 남양 홍씨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부친 방진이 1514년에 태어났고 남편 이순신과 1565년에 혼인했으므로 1514년과 1565년 사이에 태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남 이회가 1567년 출생이니 대략 1540년대에서 1550년대 초반 쯤 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부친 방진은 선조 대에 활을 잘 쏘는 장군으로 유명했다. 아래는 《[[이충무공전서]]》 <방부인전>에서 나온 기록이다. >어느 날 방진의 집에 화적(火賊)들이 안마당까지 들어왔다. 방진이 화살로 도둑을 쏘다가 화살이 다 떨어지자 딸에게 방 안에 있는 화살을 가져오라고 했다. 그러나 도둑들이 이미 계집종과 내통해 화살을 몰래 훔쳐 나갔으므로 남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 이때 영특한 딸이 베 짜는데 쓰는 대나무 다발을 화살인 양 다락에서 힘껏 내던지며 큰 소리로 “아버님, 화살 여기 있습니다.”하고 소리쳤다. 방진의 활솜씨를 두려워했던 도둑들은 화살이 아직 많이 남은 것으로 알고 곧 놀라서 도망갔다. >---- >ㅡ 《[[이충무공전서]]》 <방부인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A7%84_(1514%EB%85%84)|#]] 1565년에 이순신과 혼인했는데 금슬이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중 병에 걸려서 위독하자 이순신이 잠을 설치며 걱정하고 점까지 쳤다는 기록이 있다.[[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6375201&code=11171371|#]] 1598년 남편 이순신이 사망하자 선조가 남편을 우의정으로 추증했으며, 정경부인으로 추증되었다. 1603년 장남 [[이회(조선)|이회]]가 어머니의 병이 중하다고 언급하는 기록이 있으므로 17세기 초까지 살아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논란 ==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순신 부인의 이름을 방수진으로 보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도 존재한다. 방수진은 이순신 장군의 부인이 아니라 장인의 이름이라는 것이다. 제장명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장은“[[이충무공전서]]에는 이순신 장군 장인의 성함이 '방진(方震)'으로 나온다. 그런데 그를 방수진으로 적은 것은 보성 군수(郡守)를 지낸 것을 표시하기 위해 이름 앞에 벼슬을 지칭하는 말(守)을 넣었기 때문이라는 게 많은 학자의 견해”라고 주장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168965?sid=102|기사]] 따라서 이순신 부인의 이름을 방수진으로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아직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 작품 == * 2004년 KBS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배우 [[최유정(배우)|최유정]]이 연기했다.[* 방영 당시에는 방연화라는 이름으로 설정되었다.] *2023년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 배우 [[문정희]]가 연기한다. [각주] [[분류:16세기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아산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인물]][[분류:온양 방씨]][[분류:이순신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