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NGO]][[분류:2003년 설립]][[분류:일본의 방송]] [[파일:bpologo.gif]][[파일:bpodescription.gif]] '''放送倫理・番組向上機構''' '''Broadcasting Ethics & Program Improvement Organization''' [[https://www.bpo.gr.jp|공식 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정확한 방송과 방송윤리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비영리·비정부 단체로 '방송 프로그램 위원회'(1969년 설립)와 '방송과 인권 등 권리에 관한 위원회'(BRO, 1997년 설립)가 2003년에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일본방송협회]](NHK), 일본민간방송연맹과 205개의 민영 방송사가 내는 회비를 운영재원으로 삼는다.[[https://portal.kocca.kr/portal/bbs/view/B0000204/1215996.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0253&categorys=4&subcate=67&cateCode=0&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delCode=&qtp=&pageIndex=1|#]] 평가의회, 이사회, 사무국 및 산하 세 개 위원회를 보유하고 있다.[[https://blog.naver.com/kcc1335/220915750664|#]] == 산하 위원회 == * 방송논리검증위원회 - 문제가 있다고 지적된 프로그램에 대해 취재·제작의 본연의 자세나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조사.방송 윤리상의 문제의 유무를, 심의·심리해, 그 결과를 공표한다. * 방송인권위원회 - '방송으로 명예, 사생활 등의 인권침해를 받았다'는 제기를 받아 심리하고 '인권침해가 있었는지', '방송윤리상의 문제가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 청소년위원회 -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문제가 있거나 청소년 출연자 대우가 부적절하다는 등으로 지적된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 필요시 "심의"하고 "의견"을 공표한다. 또, 전국의 중고생 중 모니터링을 지원한 사람들에게 텔레비전·라디오의 프로그램에 대한 리포트를 매월 제출받아 의논한다. 또한 제작자와의 의견 교환 및 방송과 청소년의 관계에 대해 연구, 조사한다. == 광고 영상 == [youtube(cxmVKP4ULVM)] * 1998~2019년 방송된 TV 광고, 전신인 BRO 광고도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