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ruby(抜, ruby=ばっ)][ruby(海, ruby=かい)][ruby(駅, ruby=えき)]}}} || {{{+1 Bakkai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홋카이도|[[파일:JRH_Wlogo.svg|height=50&align=left]]]]}}}[[JR 홋카이도|{{{#fff JR 홋카이도}}}]][br]'''{{{#fff {{{+2 밧카이역}}}}}}'''|| || [[나요로역|{{{#000000,#e5e5e5 {{{#!html
나요로 방면
}}}}}}]][[유치역|유 치]][br]← 8.3 km || [[소야 본선|[[파일:JRH-W.svg|height=20]]{{{#ffffff {{{#!html
소야 본선
}}}}}}]]{{{#ffffff {{{#!html
(W78)
}}}}}} || [[왓카나이역|{{{#000000,#e5e5e5 {{{#!html
왓카나이 방면
}}}}}}]][[미나미왓카나이역|미나미왓카나이]][br]11.7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抜海駅,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抜海[br](ばっかい) || || 영어 ||<-2> Bakkai || ||<-3> '''주소''' || ||<-3> [[홋카이도]] [[왓카나이시]] 밧카이무라 쿠토네베츠[br]北海道稚内市抜海村字クトネベツ || ||<-3> '''역 운영기관''' || || [[소야 본선|{{{#ffffff 소야 본선}}}]] ||<-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24년 6월 25일 || ||<-3> '''노선거리표''' || || [[아사히카와역|{{{#000000,#e5e5e5 {{{#!html
아사히카와 방면
}}}}}}]][[유치역|유 치]][br]← 8.3 km || '''[[소야 본선]]'''[br]밧카이 || [[왓카나이역|{{{#000000,#e5e5e5 {{{#!html
왓카나이 방면
}}}}}}]][[미나미왓카나이역|미나미왓카나이]][br]11.7 km → || ||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1da3b109.jpg|width=100%]][br]역사와 승강장 ([[http://blog.livedoor.jp/gotokentarou/archives/67920461.html|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JR 홋카이도]] [[소야 본선]]의 역으로, '''일본 최북단 무인역'''으로도 유명하다.[* 다음 역인 [[미나미왓카나이역]]과 [[왓카나이역]]은 전부 역무원 배치역이다.] 역명이자 지명인 '밧카이'는 [[아이누어]]로 '아이를 업은 바위(子負い石)'를 뜻하는 '팟카이 슈마(pakkai-suma)'의 앞부분에서 유래했다. 역 부근 언덕에 아이를 업은 사람의 형상을 한 바위가 있어서 이런 이름으로 불렸다. 역 주변에는 목초지 뿐이지만 길을 따라 2km쯤 가면 마을이 나온다. 마을은 [[동해]]와 접해있다. 이용객은 매우 적은데, 2016년에 상세한 일평균 승차인원 정보가 공개되기 시작한 이후부터 쭉 일평균 승차인원 3명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이용 부족으로 인해 2019년부터 JR 홋카이도 측에서는 이 역의 폐지를 검토하고 있었고, 2020년에는 소야 본선 활성화 추진협의회가 당 역의 폐지를 승인하면서 2021년 3월에 폐역이 예정되기도 했다.[[https://archive.is/yCtYZ#selection-527.29-527.32|#]] 그러나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폐지에 반대, 폐역 대신 2021년 4월에 왓카나이시가 역의 유지관리를 이관받아 역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적은 이용객으로 인해 폐지에 대한 목소리도 계속 제기되었고, 2023년 6월에는 JR 홋카이도가 폐지 검토 대상 역 목록을 지자체에 다시 한 번 통보하면서 이 역 또한 거론되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은 7월 14일, 왓카나이시 측에서 더 이상의 역의 유지는 어렵다고 판단, 2024년 말까지 폐역할 계획을 발표했다.[[https://www.hokkaido-np.co.jp/article/878007|#]] 폐역 시 일본 최북단 간이역은 [[유치역]]이 가져갈 예정이다. == 역 및 승강장 구조 ==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건널목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다. ||<-4> ↑ [[유치역|유치]] || || {{{#ffffff 2}}} || ㅣ || ㅣ || {{{#ffffff 1}}} || ||<-4> [[미나미왓카나이역|미나미왓카나이]] ↓ || || {{{#ffffff 1}}} ||<|2>{{{#954a35,#c97f6a ■}}} [[소야 본선]]|| 하행 ||[[토요토미역|토요토미]] · [[호로노베역|호로노베]] · [[오토이넷푸역|오토이넷푸]] · [[비후카역|비후카]] · [[나요로역|나요로]] 방면|| || {{{#ffffff 2}}} || 상행 ||[[미나미왓카나이역|미나미왓카나이]] · [[왓카나이역|왓카나이]] 방면|| [[분류:일본의 철도역]][[분류:192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소야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