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kbsrtransport.png|width=250]] || ||<-5> {{{#fff [[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20시 - 22시[br][[이상호의 드림팝]] || {{{+1 ▶}}} || '''22시 - 0시[br]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1 ▶}}} || 0시 - 2시[br][[스윗 드라이브|스윗 드라이브 인호진입니다]](재) || ||<-2> {{{#fff {{{+1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밤을 잊은 그대에게.jpg|width=100%]]}}} || || '''방송사''' || [[동양방송|[[파일:동양방송 로고.svg|width=70]]]] →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svg|width=70]]]] || ||<|2> '''방송 채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5691; font-size: .8em" [[동양방송|[[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height=15]] {{{#fff '''동양라디오'''}}}]]}}} → [[KBS 제3방송|[[파일:KBS 로고(1973-1984).svg|height=15]] 제3방송]][br]1964년 5월 9일 ~ 1981년 9월 6일 || || [[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svg|width=100]] (제2라디오)]][br]1981년 9월 7일 ~ 1991년 5월 5일[br]1992년 10월 5일 ~ '''현재''' || || '''방송 시간''' || 매일 22:00 ~ 24:00 || || '''연출''' || 임병석 || || '''작가''' || 구은영 || || '''진행자''' ||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br](2018년 10월 1일 ~) || || '''웹사이트''' || [[http://program.kbs.co.kr/2radio/radio/nightyou|[[파일:logo-happyfm.png|height=15]]]] [[http://www.instagram.com/kbsnightyo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오늘 밤은 평화롭게, 내일은 더 근사하게."''' > ---- > 녹음방송 시 클로징 멘션.[* 생방송 클로징은 "내일 다시 만나요~" 등 다른 인삿말로 대신하고 있다.] 매일 밤 10시부터 2시간 동안 방송하는 [[KBS 제2라디오]]의 심야 음악 프로그램. 줄여서 "밤그대"로 부른다. [[1964년]] [[5월 9일]]부터 무려 '''[age(1964-05-09)]년째 방송 중'''인 [[장수 프로그램]]과 동시에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오래된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 최장수 라디오 프로그램은 1957년에 시작된 [[KBS 한민족방송|자매채널]]의 [[KBS 무대]]] [[동양방송|RSB 라디오서울]][* [[KBS 제3방송]]의 전신이다. 언론통폐합으로 [[동아방송]]을 [[한국방송공사|KBS]]가 인수하여 방송했던 [[KBS 라디오서울]](제4방송)과는 전혀 다른 방송국이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가 이후 [[동양방송]]의 동양라디오로 이어지고,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라디오가 [[KBS 제3방송]]으로 바뀐 이후에도 방송을 계속하다가 1981년부터 [[KBS 제2라디오]]로 옮겨왔다. 1991년에 생활정보 위주의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잠시 종방[* 후속으로 "밤과 세상사는 이야기"라는 중장년층 대상 교양정보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하기도 했으나 1992년에 다시 부활하여 지금까지 방송 중이다. 쿨FM의 [[FM대행진]]과 더불어 [[동양방송]] 출신 프로그램 중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는 유이한 방송이다. 현재 진행은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 아나운서. 프로그램 내에서는 유디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2018년부터 5년 넘게 진행 중이다. 첫 방송 때나 지금이나 밤 10시에 방송을 시작하지만, 2001년 봄 개편 때 FM 인기가요가 [[KBS 2FM]]에서 [[KBS 제2라디오]]로 옮겨오면서 한동안 자정부터 새벽 2시까지 편성된 적이 있다. 이로 인해 자정부터 [[KBS 한민족방송|대북방송]]이 [[KBS 제2라디오]]로 릴레이되었던 일부 지역국에서는 그 당시 밤그대를 자정에 들을 수 없었다. [[성시경]]이 [[황수정]]의 [[대타]] DJ를 맡을 무렵에 이 릴레이 봉인이 해제되었다. FM 인기가요의 종영 이후에는 밤 10시로 다시 복귀했다. [[동양방송]] 때부터 지금까지 'La Reine de Saba([[시바의 여왕#s-3.1.2]])'을 시그널 뮤직으로 쓰고 있다. 동양방송 시절에는 [[폴 모리아]] 버전을 사용했으나([[https://youtu.be/Jlzl_WgeXc4|원곡]], [[https://www.youtube.com/watch?v=y9ih69fguEg|실제 녹음본]]) 현재는 [[https://www.youtube.com/watch?v=dHlNV417zgs|레이몽 르페브르가 편곡한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2017년 9월 4일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키스 더 라디오|이홍기의 키스 더 라디오]]를 대체 편성하다가, 2018년 1월 24일 파업 복귀로 방송이 다시 재개되었다. DJ가 누구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향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유영석]]과 임지훈이 맡았던 5년여 간은 LP도 틀고 팝송과 7080 위주의 프로그램이었으나, 2016년 봄 개편으로 [[강서은]] 아나운서가 들어오면서 동 시간대 [[CBS 음악FM]]의 '[[허윤희의 꿈과 음악사이에|꿈과 음악 사이에]]'와 선곡 스타일이 상당히 흡사해졌다. 1990~2000년대 발라드, R&B 위주로 선곡되며 가끔 팝송도 나온다. 2018년 가을 개편으로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 DJ가 들어온 이후에도 선곡 스타일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평일에도 1부는 생방송, 2부는 녹음방송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 역대 DJ == '''본 DJ표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하였음을 알립니다''' 별(☆) 표시가 되어 있는 진행자는 KBS 아나운서. * 이성화 (1964~1972) * [[양희은]] (1972~1974) * [[서유석(가수)|서유석]] (1974~1975) * [[황인용]][* [[동양방송]] 동양라디오의 최후의 멘트를 남긴 걸로 유명한 명 DJ다.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에서 [[한국방송공사]]로 편입.] (1975~1981)(★) *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에 따라 [[동양방송|동양라디오]] → [[KBS 제3방송]]으로 흡수)'' * ''(1981년 9월 8일 [[KBS 제3방송]] → [[KBS 제2라디오]]로 채널 이동)'' * [[송승환]] (1981~1983) * [[이홍렬]], [[이성미]] (1982~1983) * [[전영록]], [[유지인]] (1983~1984) * [[김창완]], [[김현주(1964)|김현주]] (1984~1985) * [[박중훈]] (1985~1986) * [[원종배]] (1986~1987)(★) * [[배한성]], [[길은정]] (1987~1988) * [[박중훈]] (1988) * [[최수종]], [[하희라]] (1988~1990) * [[변진섭]] (1990.4.9~1991) * [[송승환]] (1991~1991.5) * ''(1991년부터 1년 간 방송 중단)'' * [[노영심]] (1992.10~1993) * [[손무현]] (1993~1994) * [[김호진]] (1994~1995) * 황필호 (1995~1996) * 오재호 (1996~1999) * 김지수, 김정은, 황수정 (1999~2001) * [[손미나]] (2001~2002.10)[* 드라마 스케줄 문제로 [[황수정]]이 불과 3개월 만에 중도 하차하는 바람에 당시 갓 데뷔한 가수 [[성시경]]이 [[대타]] DJ를 잠시 맡아 라디오 진행자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얼마 후 [[손미나]]에게 넘겼다.](★) * [[박진희]] (2002.10~2003.5) * [[신애라]] (2003.10~2004.10) * 이지희 (2004.10~2005.5) * [[이소라(모델)|이소라]] (2005.5~2005.10) * [[손미나]] (2005.10.31~2007.4.16)(★) * [[고민정]] (2007.4~2009.4)(★) * [[소유진]] (2009.4~2010.12) * [[유영석]] (2011.1~2013.10) * [[임지훈(가수)|임지훈]] (2013.10~2016.4)[* 7080 시대를 빛냈던 포크가수로 [[비투비]] [[임현식(비투비)|임현식]]의 아버지인 그 분 맞다.] * [[강서은]] (2016.4~2018.9)(★) *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 (2018.10~)(★) == 코너 == === (월~금 1부) 생각이 켜진 밤 === > 밤은 깊어가는데, 잠은 안 오고... > 머릿속을 떠다니는 수많은 물음표와 느낌표가 > 끝없이 말을 거는, '''생각이 켜진 밤''' 장문의 사연을 소개하는 코너. 사연에 따라 DJ의 1인 상황극을 함께 하는 경우도 있다. === (월~금 2부) 이유있송 === > 가수도 다르고 시대도 달라서 > 얼핏 들으면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 선곡표에 나란히 붙여놓은 이유가 분명히 있는 > 노래 2곡을 비교 분석해드립니다. 그날의 주제에 맞춰 고른 노래 2곡을 소개하고 틀어주는 코너. === (토) 밤의 여행자들 === > 귀로 즐기는 세계 여행! > 감성 여행의 필수품인 플레이리스트까지, > 야무지게 챙겨서 > 우리, 함께 떠나요. DJ가 가이드가 되어 여행지를 소개하는 컨셉으로 진행하는 코너. === (일) 월간 작곡가 === > 한 달에 한 명, 작곡가를 정해서 > 그 작곡가의 노래와 다양한 이야기를 > 전해드리는 시간. 2023년 12월 3일 방송을 시작했다. == 사연 보내기 == 사연을 보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SMS/MMS''': #1061로 보내면 되고, SMS는 50원, MMS는 10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된다. * '''KONG, KBS+, 홈페이지 게시판''': SMS/MMS와 달리 정보이용료가 없지만 KBS 홈페이지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KONG과 플레이어K는 비교적 짧은 글을 보낼 때 유용하고, 장문의 사연을 보내고 싶다면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KBS AM)] [include(틀:KBS 제2라디오)] ||<-5> '''[[한국방송대상|{{{#FFFFFF {{{+2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라디오연예오락부문 작품상}}}}}}''' || || [[9595쇼|배칠수 김세아의 9595쇼]][br](2014년) || {{{+1 →}}} || '''임지훈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br](2015년)''' || {{{+1 →}}} || [[송은이, 김숙의 언니네 라디오]][br](2016년) || [[분류:KBS 라디오]][[분류:동양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