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kbsrtransport.png|width=250]] || |||||||||| {{{#fff [[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20시 - 22시[br][[이상호의 드림팝]] ||{{{+1 ▶}}}||<#c9e8fb,#445966> '''22시 - 0시[br]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1 ▶}}}|| 0시 - 2시[br][[스윗 드라이브|스윗 드라이브 인호진입니다]][*재방송] || ||<-2> {{{#fff {{{+1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2> [[파일:밤을 잊은 그대에게.jpg|width=100%]] || || '''방송사''' || [[동양방송|[[파일:동양방송 로고.svg|width=70]]]] →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70]]]] || || '''방송 채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3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5691; font-size: .8em" [[동양방송|[[파일:동양방송 로고_White.svg|height=15]] {{{#fff '''동양라디오'''}}}]]}}} → [[KBS 제3방송|[[파일:KBS 로고(1973-1984).svg|height=15]] 제3방송]][br]1964년 5월 9일 ~ 1981년 9월 6일[br][br][[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svg|width=100]] (제2라디오)]][br]1981년 9월 7일 ~ 1991년 5월 5일[br]1992년 10월 5일 ~ '''현재''' || || '''방송 시간''' || 매일 밤 22시 ~ 24시 || || '''방송 기간''' || [[2018년]] [[10월 1일]] ~ '''현재''' || || '''웹사이트''' || [[http://program.kbs.co.kr/2radio/radio/nightyou|[[파일:logo-happyfm.png|height=15]]]] [[http://www.instagram.com/kbsnightyo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5]]]] || || '''연출''' || 임병석 || || '''작가''' || 구은영 || || '''진행자''' ||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br](2018년 10월 1일 ~ 현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jpg|width=300]] || > '''"오늘밤은 평화롭게, 내일은 더 근사하게. ---유지원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 > - 녹음방송 시 클로징 멘트. 생방송 클로징은 인삿말로 대신하고 있다. [[1964년]] [[5월 9일]]에 처음 편성되었으며 무려 '''60년째 방송 중'''인 최장수 프로그램이다. 밤을 잊은 그대에게는 [[동양방송|RSB 라디오서울]][* [[KBS 제3방송]]의 전신이다. 언론통폐합으로 [[동아방송]]을 [[한국방송공사|KBS]]가 인수하여 방송했던 [[KBS 라디오서울]](제4방송)과는 전혀 다른 방송국이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가, 이후 RSB 라디오서울이 [[동양방송]]의 동양라디오로 이어지고, [[언론통폐합]] 이후 동양라디오가 [[KBS 제3방송]]으로 바뀐 이후에도 방송되다가 1981년부터 [[KBS 제2라디오]]를 통해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 1991년에 생활정보 위주의 프로그램 개편에 따라 잠시 종방했다가,[* 후속으로 "밤과 세상사는 이야기"라는 중장년대상 교양정보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1992년에 부활하여 지금도 방송 중이다. [[대한민국]]의 몇 안되는 심야 음악 프로그램이다. 줄여서 "밤그대"로 부른다. '''60년 가량 동안 방송 중인 장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MBC]]에 [[배철수의 음악캠프]]와 [[별이 빛나는 밤에]]가 있다면, [[KBS]]에는 [[FM대행진]]과 밤을 잊은 그대에게가 있다.[* 공교롭게도 FM대행진과 밤을 잊은 그대에게 모두 [[동양방송]]에서 시작한 프로그램들이며 현재 기준으로 유이하게 남은 동양방송 출신 프로그램이다.] 현재 진행은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 아나운서. 프로그램 내에서는 유디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밤 10시에 방송하지만, 2001년 봄 개편 때 FM 인기가요가 [[KBS 2FM]]에서 [[KBS 제2라디오]]로 옮겨오면서 한 동안 자정부터 새벽 2시까지 방송한 적이 있다. 이로 인해 자정부터 [[KBS 한민족방송|대북방송]]이 [[KBS 제2라디오]]로 릴레이되었던 일부 지역국에서는 한 동안 밤그대를 자정에 들을 수 없었다. [[성시경]]이 한동안 [[황수정]]의 [[대타]] DJ를 맡을 무렵에 이 릴레이 봉인이 해제되었다. FM 인기가요의 종영 이후에는 밤 10시로 복귀했다. 참고로 [[동양방송]] 때부터 지금까지 오프닝 BGM을 'La Reine de Saba([[시바의 여왕#s-3.1.2|시바의 여왕]])'을 쓰고 있다. 다만 동양방송 시절 오프닝 BGM과 현재의 BGM은 버전이 다른데, 동양방송 시절에는 [[폴 모리아]] 버전을 사용했으나([[https://youtu.be/Jlzl_WgeXc4|원곡]], [[https://www.youtube.com/watch?v=y9ih69fguEg|실제 녹음본]]) 현재는 [[https://www.youtube.com/watch?v=dHlNV417zgs|레이몽 르페브르가 편곡한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2017년 9월 4일 이후 파업 여파로 [[키스 더 라디오|이홍기의 키스 더 라디오]]를 대체 편성하다가, 2018년 1월 24일 파업 복귀로 방송이 다시 재개되었다. == 역대 DJ == '''본 DJ표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하였음을 알립니다''' 별도 표시가 되어 있는 진행자는 KBS 아나운서. === [[동양방송]]→[[KBS 제3방송]] 시절 === * 이성화 (1964~1972) * [[양희은]] (1972~1974) * [[서유석(가수)|서유석]] (1974~1975) * [[황인용]][* [[동양방송]] 동양라디오의 최후의 멘트를 남긴 걸로 유명한 명 DJ. [[동양방송]]+[[한국방송공사]].] (1975~1981)[* [[언론통폐합|1980년 11월 30일]]까지는 동양방송,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9월 7일까지는 KBS 제3방송](★) === [[KBS 제2라디오]] 시절 === * [[송승환]] (1981~1983) * [[이홍렬]], [[이성미]] (1982~1983) * [[전영록]], [[유지인]] (1983~1984) * [[김창완]], [[김현주(1964)|김현주]] (1984~1985) * [[박중훈]] (1985~1986) * [[원종배]] (1986~1987)(★) * [[배한성]], [[길은정]] (1987~1988) * [[박중훈]] (1988) * [[최수종]], [[하희라]] (1988~1990) * [[변진섭]] (1990.4.9~1991) * [[송승환]] (1991~1991.5) * [[노영심]] (1992.10~1993) * [[손무현]] (1993~1994) * [[김호진]] (1994~1995) * 황필호 (1995~1996) * 오재호 (1996~1999) * 김지수, 김정은, 황수정 (1999~2001) * [[손미나]] (2001~2002.10)[* 드라마 스케줄 문제로 [[황수정]]이 불과 3개월 만에 중도 하차하는 바람에 당시 갓 데뷔한 가수 [[성시경]]이 [[대타]] DJ를 잠시 맡아 라디오 진행자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얼마 후 [[손미나]]에게 넘겼다.](★) * [[박진희(1978)|박진희]] (2002.10~2003.5) * [[신애라]] (2003.10~2004.10) * 이지희 (2004.10~2005.5) * [[이소라(모델)|이소라]] (2005.5~2005.10) * [[손미나]] (2005.10.31~2007.4.16)(★) * [[고민정]] (2007.4~2009.4)(★) * [[소유진]] (2009.4~2010.12) * [[유영석]] (2011.1~2013.10) * [[임지훈(가수)|임지훈]] (2013.10~2016.4)[* 7080 시대를 빛냈던 포크가수로 [[비투비]] [[임현식(비투비)|임현식]]의 아버지인 그 분 맞다.] * [[강서은]] (2016.4~2018.9)(★) * [[유지원(아나운서)|유지원]] (2018.10~)(★) DJ가 누구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성향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일례로 [[유영석]]과 임지훈이 맡았던 5년여간은 LP도 틀고 팝송과 7080 위주의 프로그램이었으나, 2016년 봄 개편으로 지금의 [[강서은]] 아나운서가 들어오면서 동 시간대 [[CBS 음악FM]]의 '꿈과 음악 사이에'와 같이 선곡 스타일이 상당히 흡사해졌다. 1990~2000년대 발라드, R&B 위주로 선곡되며 가끔가다 팝송도 나온다. 2018년 가을 개편으로 유지원 DJ가 들어온 이후에도 선곡 스타일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 매일 코너 == === 그대의 이야기 === == 평일 코너 == === (월~목 1부)사랑의 온도 === 22시 30분경 방송. 사랑, 이별 등과 관련된 얘기들을 들려주는 일종의 에세이. 이 코너의 배경음악은 Kevin Kern의 === (월~목 2부)11시의 노래 === 2부 첫곡을 맞추는 코너. 22시 20분경 [[유지원]] DJ가 해당 곡의 가사 한줄을 낭독해주는데, 이 곡을 맞추는 코너. === (월~목 2부)사람,사이 === 23시 30분경 방송. 일상 속에서의 사람 사는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 (금 1부)금요 시네마 === 방송 초기에는 일요일 2부에 방송되었지만, 금요일로 바뀌었다. 매주 영화 한편을 정해 명장면을 연기하고, 해당 영화 OST로 한시간이 채워진다. 남자 역할 게스트로는 도경완 아나운서가 초기부터 나왔으나, 금요일 변경 이후에는 [[홍대광]] 등 남자가수들이 게스트로 나오는 편. === 굿나잇 뮤직 === 평일 방송 말미에 나오는 코너. 문자 사연 하나를 소개하고 신청곡을 들려준다. 사연이 소개되면 커피와 도넛을 준다. 하루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사연으로 나름의 의미가 있다. == 주말 코너 == === (토) 토요 BGM === 매주 한 주제를 정해 사연을 받고, 그와 관련된 신청곡을 들려준다. === (일1부) 시네마 레터 === 22시 30분경 방송. 영화 한편을 정하고, 그 영화 주인공이 다른 등장인물에게 보내는 편지를 읊어주는 형식. 편지의 내용이 인물의 감정에 중심을 둘 때가 많아 영화의 내용을 더 깊이 곱씹어 볼수있다. == 방송 참여 == === 인터넷 스트리밍 (KONG, my K), FM/AM라디오 === 이 방법은 사용하는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하고,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데이터 통신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또, 이 방법으로 다시듣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KBS 웹 회원이어야 한다. 회원이 아니거나 로그인하기 귀찮은(...) 애청자들은 아래 '''다시듣기''' 부분을 참조하자. * 이 프로그램은 거의 전국에 송출되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 방송을 들을 경우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경상남도|경남 동부권]]에서 주파수를 '''106.1㎒'''[* 이 때문에 사연과 신청곡을 보내는 문자 번호가 #1061이다.]로 맞추면 청취할 수 있다. 그 외 지역일 경우 KBS 홈페이지의 주파수 표를 참조해 보자.[* 만약 송출국이 없다면 야간에 AM(중파) 주파수(603, 558 kHz)로 맞춰 보자. 본사 해피FM의 AM 신호는 엄청난 대출력이라, 회절이 잘 되는 야간에는 전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 '''KONG''' KBS의 인터넷 기반 설치형 라디오 앱 '''KONG'''([[http://www.kbs.co.kr/radio/kong/|Windows]],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kbs.kong|안드로이드]], [[https://itunes.apple.com/kr/app/kbs-kong/id928368733?mt=8|iOS]])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만 된다면 KBS에서 제공하는 모든 라디오를 들을 수 있다.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안드로이드나 iOS 앱은 비교적 최근에 나왔지만 윈도우 앱은 몇년째 그대로인지 참...-- 보이는 그대로 '콩'이라고 읽으면 된다. --다만 음질이 거지같은건 덤이다-- 이 앱의 장점은 선곡표가 실시간 제공되기 때문에 지금 무슨 노래가 나오는지 궁금해서 음악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플레이어K에는 이 기능이 없다. 원래는 콩3 버전까지 있다가 지금은 버전이 다시 1.x로 바뀌었다.[* 기존과는 다른 UI이다. 그리고 기존 버전은 지금 설치해도 서버 접속 실패로 사용이 불가하다.] 기존에는 윈도우 98 SE도 지원했으나 현재는 윈도우 7 이상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지못미 윈도우 XP~~ * '''my K''' PC에서 my K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http://k.kbs.co.kr|여기]]로 접속하면 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드 프로그램을 설치하라고 하는데, F12 개발자 도구에서 사용자 에이전트 문자열을 구글 크롬으로 설정하면 그리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kbs.kplayer&hl=ko|여기]], iOS는 [[https://itunes.apple.com/kr/app/k-for-iphone/id462725252?mt=8|여기]]에서 my K 앱을 설치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my K가 KONG보다 나은 점이 있다면 TV 방송도 지원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KBS TV를 자주 시청하는 애청자라면 KONG 대신 my K만 설치해도 된다. --KONG이랑 my K랑 둘 다 깔아도 되긴 된다-- == 사연 보내기 == 사연을 보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SMS/MMS''' #1061로 보내면 되고, SMS는 50원, MMS는 100원의 정보이용료가 문자메시지 전송 요금과는 별도로 부과된다. 하지만 2010년 부터 대부분의 휴대전화 이용자가 패키지형 요금제[* 데이터/음성/메시지를 통합한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메시지 전송 요금이 따로 고지서에 찍혀 나오는 경우는 별로 없다. * '''KONG, 플레이어K, 홈페이지 게시판''' SMS/MMS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이용료가 없다는 것. 사연을 보내려면 KBS 홈페이지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어야 한다. 주로 KONG과 플레이어K는 비교적 짧은 글을 보낼 때 유용하고, 장문의 사연을 보내고 싶다면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의 KBS Happy FM을 통해서 사연을 보낼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KBS AM)] [include(틀:KBS 제2라디오)] ||<-5> '''[[한국방송대상|{{{#FFFFFF {{{+2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라디오연예오락부문 작품상}}}}}}''' || || [[9595쇼|배칠수 김세아의 9595쇼]][br](2014년) || {{{+1 →}}} || '''임지훈의 밤을 잊은 그대에게[br](2015년)''' || {{{+1 →}}} || [[송은이, 김숙의 언니네 라디오]][br](2016년) || [[분류:KBS 라디오]][[분류:동양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