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0%, #FFFFFF 25%, #1D439B 25%, #1D439B 75%, #E31F2B 75%)" '''{{{#!html 발레리 니폼니시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대표팀'''}}} || || [[틀: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7451C; font-size: 0.9em" [[틀: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ac70a '''카메룬'''}}}]]}}}[br]{{{-2 9대}}} || [[틀: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UFA logo.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68B3; font-size: 0.9em" [[틀: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우즈베키스탄'''}}}]]}}}[br]{{{-2 15대}}} || || || ||<-4> {{{#333333,#cccccc '''클럽'''}}} || || [[틀: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파일:부천 SK 로고(1997~2001).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C2E24; font-size: 0.9em" [[틀: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ffffff '''부천 SK'''}}}]]}}}[br]{{{-2 4대}}} ||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height=6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4539E; font-size: 0.8em;"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FFF '''발티카'''}}}]]}}}[br]{{{-2 52대}}}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러시아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pomniachi_namuwiki.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발레리 니폼니시'''}}}[br]'''Valery Nepomnyashchy''' || ||<-2> {{{#000000,#e5e5e5 ''' 본명 ''' }}} ||발레리 쿠지미치 네폼냐시[br]Вале́рий Кузьми́ч Непо́мнящий[* '(혈통이) 기억나지 않는'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성씨이다. 강세를 따른 발음은 '[nʲɪˈpomnʲɪɕːɪɪ̯\](니폼니시)'에 가깝다.] || ||<|2><-2> {{{#000000,#e5e5e5 ''' 출생 ''' }}} ||[[1943년]] [[8월 7일]] ([age(1943-08-07)]세) || ||{{{-1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SFSR]] [[알타이 공화국|알타이 크라이]] 슬라브고로드}}} || ||<-2>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공격수]],[[수비수(축구)|수비수]] / ^^은퇴^^)[br][[축구 감독]] || ||<|3>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SKIF 아시가바트]] (1961~1965)[br][[스파르타크 사마르칸트]] (1965~1967) || || {{{#000000,#e5e5e5 ''' 감독 ''' }}} ||[[스트로이텔 아시가바트]] (1982~1983)[br]'''[[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 대표팀]] (1988~1990)'''[br][[겐츨레르비를리이 SK]] (1992~1993)[br][[MKE 앙카라귀쥐]] (1993~1994)[br]'''[[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과 SK 시절|유공 코끼리/부천 SK]] (1995~1998)'''[br][[선양 하이시]] (2000)[br][[산프레체 히로시마]] (2001)[br][[산둥 루넝]] (2002~2003)[br][[상하이 선화]] (2004~2005)[br][[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2006)[br][[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대표팀]] (2006)[br][[FC 톰 톰스크]] (2008~2011)[br][[FC 톰 톰스크]] (2014~2016)[br][[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18) || || {{{#000000,#e5e5e5 ''' 기타 ''' }}} ||[[중국축구협회]] (1991 / ^^기술고문^^)[br][[PFC CSKA 모스크바|CSKA 모스크바]] (2011~2014 / ^^기술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2014년]]부터 [[2016년]]까지 FC 톰 톰스크 감독을 맡았다. 애칭은 '니포'. [[K리그]]에 처음 '''전술적 충격'''을 준 외국인 감독으로 기억된다. 끝내 리그 우승은 차지하지 못했지만 그가 보여준 축구는 지금까지도 회자될 정도 == 생애 == === K리그에 오기 전까지 === 시베리아의 소도시 슬라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출생 시기를 보면 알겠지만 [[독소전쟁]] 중에 아버지가 전사했고, [[모스크바]]에서 피난온 모친에게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1947년 [[투르크멘 SSR]]로 이사해 유년기를 보냈고, 선수 시절도 주로 중앙아시아에서 보냈다. 1961~65년 SKIF 아슈하바트, 1965~67년 스파르타크 사마르칸트에서 뛰었다. 현역 시절에는 무명의 수비수였지만,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의 8강 신화를 이끌면서 주목받았고[* [[카메룬]]의 경제적 사정은 차치하더라도, 선수들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국가대표팀 통역은 [[카메룬]] 주재 [[소련]] [[외교공관|영사관]]에 고용된 운전기사였다고 하니, 말이 필요한지?], 이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등의 고문을 맡다가 1994년 [[K리그]] 팀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 코끼리]] 감독으로 내한해 부천 SK로 팀명을 변경한 1998년까지 감독을 지낸다. === [[K리그]]에서의 모습 === 당시 그가 보여 준 [[축구]]는 그 동안 [[제리 로이스터|대한민국에서 볼 수 없는 신선함 그 자체였다]]. 확실한 스트라이커가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플레이 메이커 [[윤정환]]을 중심으로 [[헝가리]] 출신의 [[쇼모지 요제프]](Somogyi József), [[윤정춘]], [[김기동(축구)|김기동]], [[이을용]] 등 뛰어난 미드필더들을 중용하여 물수제비 뜨듯 깔끔한 패스로 여러 차례의 득점 기회를 만들었고, [[조윤환]] 수석코치[* 니폼니시 이후 부천의 감독을 지냈고, 이후 [[전북 현대 모터스]]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 [[최윤겸]] 수비코치에게 직접 스타팅 멤버를 짜게 하면서 후진들의 양성에 앞장섰다. 그 때문인지 PC통신상에서는 '유공의 축구는 패해도 표값이 아깝지 않다'는 칭찬이 쏟아졌고, 비슷하게 4-4-2 기반의 패싱 축구를 구사하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붙는 날이면 당시 팬들에겐 '명경기 보증수표'로 통할 지경었다. 지금도 올드 팬들은 이 두 팀의 매치업을 다시 보고 싶어하는 경기로 꼽고 있다. 감독감을 키우는 감독으로도 유명해서 니포 밑에서 코치 생활을 했던 조윤환과 [[최윤겸]] 前 [[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은 물론 선수들 중에도 지도자가 여럿 배출되었다. [[조성환(1970)|조성환]] [[인천 유나이티드 FC]] 감독, [[남기일]] [[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 [[송선호]] 前[[부천 FC]] 감독, [[윤정환]] [[제프 유나이티드]] 감독, [[강철(축구인)|강철]] [[화성 FC]] 감독, [[이임생]] 前 [[수원 삼성]] 감독, [[김한윤]] 前 [[제주 유나이티드 FC]] 코치, [[김기동(축구)|김기동]] [[포항 스틸러스]] 감독 등 이다. U-23 감독을 맡았던 [[이광종]] 감독도 (니폼니시 감독 밑에서 선수 생활을 한 건 1995년 한 해뿐이지만) 니폼니시의 영향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436&article_id=0000001468|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승권과 거리가 멀었다. 1996년 [[K리그 리그컵|아디다스컵]] 우승을 제외하고는 매번 우승 문턱에서 주저앉았고, 1997년 정규 시즌에서는 최하위의 수모까지 겪었다. 속공을 통해 게임을 풀어 가는 유공의 축구 스타일상 몸싸움을 잘 하고 100m를 11~13초대에 끊을 타깃형 스트라이커가 필요했지만 1996년 K리그 베스트 11이었던 [[세르게이 부르딘]] 정도를 제외하고는 좋은 타깃형 스트라이커를 구하지 못했고, 또 구단의 모기업이 스포츠단 운영에 있어서는 '''막장으로 유명한 [[SK그룹|솩]]이었다.''' 정확히 말하면 SK라고 다 같은 SK가 아니었다. 축구단의 모기업은 [[SK에너지]]고, 야구단과 농구단은 [[SK텔레콤]]을 모기업으로 해서 같은 SK그룹이라고 해도 계열이 달랐다. SK그룹은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으로 서울에서 쫒겨나 연고도 없는 부천으로 강제이전 당한 뒤 축구단에 투자할 의욕을 잃었다. 심지어 SK에서 낙하산으로 내려온 축구단 단장이라는 사람이 대놓고 '전국에 보면 SK 주유소 간판이 얼마나 많은데, 그게 축구단보다 홍보효과가 더 크다' 라는 헛소리를 하기도 했다.[* 당시 드래프트 4라운드는 구단과 자매결연을 맺은 대학의 에이스를 지명하는 시스템이었는데, [[SK그룹|SK]]는 [[동아대학교]] - [[인천대학교]] 이런 식으로 자주 자매결연 대학을 옮겼다.] 그래서 1997년에 최하위를 했을 때도 니폼니시 감독을 비판하기보다 [[SK그룹]] 수뇌부를 비판하는 네티즌들이 많았다. 그리고 이 당시에는 조직력 축구보다 에이스에게 몰아 주는 축구가 주류였기 때문에, 국가대표급 선수진을 갖춘 포철, 일화, 대우[* 각각 現 [[포항 스틸러스]], [[성남 FC]], [[부산 아이파크]]]에 밀리는 경우가 많았다. 여담으로 수원은 1998년과 1999년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1993년부터 1995년까지 K리그 3연패를 달성한 동대문 일화, 1997년 리그 전관왕을 달성한 [[부산 아이파크|부산 대우]]와 더불어 1990년대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 팀으로 남았다.[* 1999년 수원은 K리그 30년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팀을 꼽으라 해도 후보로 명함을 내밀 수 있을 만큼 압도적인 위용을 뽑냈다. 이 해 컵대회(슈퍼컵, [[아디다스]]컵, [[롯데손해보험|대한화재]]컵)와 K리그를 모두 제패했으며, 2위 부천과 승점 차이가 12점이었다.] === K리그 감독 사임 이후 === 1998년 퇴임 후 [[J리그]]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거쳐 2003년 [[중국]] 산둥 루넝의 감독을 맡아 FA컵 우승을 따내며 한국 시절 이루지 못한 우승의 한과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의 한을 풀었다. 이후 고향 [[러시아]]의 톰스크 팀 감독으로 재임하다가 2011년에 물러나 2014년까지 [[PFC CSKA 모스크바]]의 기술고문으로 일했고, 이후 다시 톰스크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7년 6월 7일, [[부천 FC 1995]]의 재창단 10주년 기념으로 10살인 외손녀[* 참고로 니포의 외손녀는 [[방탄소년단]]의 팬이다. [[방탄소년단]]의 앨범이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할아버지를 졸라서 같이 방한했다고 한다.]와 함께 [[부천 FC 1995]] 구단의 초청으로 방한했다. 6월 10일에 열린 부천과 [[서울 이랜드 FC]]의 [[K리그 챌린지]] 경기를 참관했다.[[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77&aid=0000077550|기사1]]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68&aid=0000273382|기사 2]]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216&aid=0000089525|기사 3]] 당시 축구선수는 '극장'을 좋아하는 게 아니라 '영화'를 좋아해야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https://www.sports-g.com/2017/06/10/%ea%b9%80%ed%98%84%ed%9a%8c-%eb%8b%88%ed%8f%bc%eb%8b%88%ec%8b%9c-%ec%a0%9c%ec%9e%90%eb%93%a4%ec%9d%b4-%ea%b0%90%eb%8f%85%ec%9c%bc%eb%a1%9c-%eb%b6%80%ec%a1%b1%ed%95%98%eb%a9%b4-%ea%b7%b8|니폼니시 인터뷰]] 그가 남긴 성적과는 무관하게 K리그를 전술적으로 한 단계 발전시킨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전술적 성취와 복장, 큰 키 등 묘하게 [[아르센 벵거]]와 오버랩되는 부분이 많아 K리그의 [[아르센 벵거]]라 불리기도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감독)] [include(틀: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감독)] [각주] [[분류:1943년 출생]][[분류:알타이 지방 출신 인물]][[분류:소련의 축구선수]][[분류:소련의 축구감독]][[분류:러시아의 축구선수]][[분류:러시아의 축구감독]][[분류:외국인 감독(축구)]][[분류:공격수]][[분류:수비수]][[분류: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겐츨레르비를리이 SK/역대 감독]][[분류:MKE 앙카라귀쥐/역대 감독]][[분류: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역대 감독]][[분류: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역대 감독]][[분류:FC 톰 톰스크/역대 감독]][[분류: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역대 감독]][[분류: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감독]][[분류:1961년 데뷔]][[분류:1967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