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파일:반자유주의1.png|width=330]] || [[파일:푸곰과 곰돌이푸.png|width=320]] || || 21세기 [[유럽]]의 대표적인 두 반자유주의 지도자들. [br] 왼쪽부터 [[오르반 빅토르]]와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 반자유주의적 세계질서를 대표하는 두 열강의 지도자들. [br]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시진핑]]([[중국]]). || 반자유주의([[反]][[自]][[由]][[主]][[義]] / Anti-liberalism)는 자유주의나 자유주의적 가치에 대해 반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항자유주의라고도 한다. 현대의 대표적인 반자유주의 사상가로는 [[알렉산드르 두긴]]이 있다. == 역사 == 전통적인 의미의 반자유주의는 (고전적)[[전통적 보수주의|보수주의]]와 관련이 있었다. 보수주의는 애초에 시초부터 명백히 반자유주의적으로 시작하였는데 이는 19세기 초중반까지만 해도 (고전적)[[고전적 자유주의|자유주의]]는 메인스트림 좌파 이념이였고 보수주의와 대립하였기 때문이다. 자유주의자들이 추구한 시장경제,인권,민주주의,반봉건,왕권의 약화 등의 가치는 보수주의자들이 경악할만한 것이였다. 물론 뿌리가 그렇다는 것이고, 이후에는 [[자유보수주의|자유주의를 받아들인 보수주의]]자들도 등장하게 된다. [[사회주의]]의 경우 [[마르크스주의]] 등장 이전까지만 해도 [[급진적 자유주의]]와 연관있었기 때문에 뿌리 자체는 자유주의에 있다. 물론 소련식 사회주의나 아랍사회주의 등 권위주의 세력으로 인해 일부 사회주의 분파는 반자유주의로 분류되게 되었다. == 범주 == 범주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단순히 좁은 의미에 [[사회주의]]나 [[보수주의]]가 아닌 자유주의 세력에 대한 반대부터, 자유주의적 문화,사회,경제,정치체제 자체에 대한 반대까지 넓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후자의 의미의 경우 [[유럽공산주의]]나 현대 서유럽 주류 [[우익대중주의]]와 [[좌익대중주의]] 운동, 일반적인 자유주의 범주를 벗어난 강경 [[자유지상주의]] 운동 등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호모포비아]], [[트랜스포비아]] 등 성소수자 혐오나 [[반세계화]]도 반자유주의와 종종 엮이는 경우가 많다. [[남성 우월주의]]나 [[여성 우월주의]], [[대안 우파]], [[신반동주의]] 등도 이쪽으로 엮인다. == 반자유주의와 관련 있는 대표적 인물들과 사상들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NaughtyTangyUnsuitableSquare, 합의사항1=도널드 트럼프 서술을 고정하며 해당 항목의 명제를 '반자유주의와 관련 있는 대표적 인물들과 사상들'로 하기)] * '''전세계의 [[독재자|독재 정치인]]들''' - [[:분류:독재자|분류:독재자]] 문서 참조.[* 다만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같이 초창기 [[급진주의(역사적)|급진(자유)주의]] 성향 독재자들도 있긴 있었다. 자유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사유재산, 법 앞에 평등, 세속주의)등이 이식되지 않은 전근대 사회에서 그것을 매우 빠르게 이식하기 그런 것이라 특수 케이스이고, 현대의 독재자들은 대부분 자유민주주의 기본 원칙 자체를 부정하기에 비자유주의자 내지 반자유주의자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밑으로는 가독성을 위해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현 주요 양당인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이나 윤석열,문재인같이 논란의 여지가 큰 사례는 서술하지 마세요. * '''[[권위주의]]''' * '''[[전체주의]]''' * [[교권주의]] - 반대로 자유주의~급진주의자들은 [[반교권주의]]를 지지했다. * [[이슬람주의]]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알리 하메네이]] * '''[[수구주의]]''' * [[고전적 보수주의]](전통적 보수주의) * [[조제프 드 메스트르]]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 [[프란시스코 프랑코]] (프랑코주의) * [[근본주의]] * [[기독교 근본주의]] * [[이슬람 근본주의]] - 이슬람 근본주의가 아닌 [[이슬람주의]] 중에는 [[엔나흐다]] 같이 자유민주주의를 받아들이는 케이스도 있다. * '''[[반동주의]]''' * [[법통주의]] *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주의]]) - 트럼프의 강성 지지층 중 하나인 [[대안 우파]]들이 반자유주의 성향으로, 대안 우파들의 반자유주의적 행태는 미국 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제도권 언론]]인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84832.html|한겨레]]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사회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반자유주의적 억압을 겪음을 언급하고 있다. * [[라이히스뷔르거 운동]] * [[리콴유]] * [[밀로시 제만]] * [[박정희]] *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 [[블라디미르 푸틴]] ([[푸틴주의]]) * [[샤를 모라스]] *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 [[오르반 빅토르]] * '''[[제3의 위치]]''' * [[조지프 매카시]] - [[매카시즘]] 문서 참고. * '''[[파시즘]]''', '''[[파시스트]]''' * '''[[나치즘]]''', '''[[나치]]''' *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네오 파시즘]] * [[알렉산드르 두긴]] ([[유라시아주의]]) * [[유사 파시즘]] * [[대안 우파]] * [[일민주의]] * [[장제스]] ([[장제스주의]]) - [[남의사]] 등 장제스를 따르는 파시스트 조직도 있었다. * [[카를 슈미트]] * [[후안 페론]] ([[페론주의]]) - 다만 정통 페론주의와 달리 현대 좌파/우파 페론주의인 [[키르치네르주의]]/[[메넴주의]]는 반자유주의로 분류되지 않는다. * '''[[이탈리아 파시즘]]''' * [[베니토 무솔리니]] * '''[[천황제 파시즘]] / [[쇼와 국가주의]]''' * [[기타 잇키]] - 초기 일본 파시즘 사상가로, '[[제3의 위치|순정 사회주의]]'를 주장하였다. 입헌 리버럴들이 주도하는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증오했다. * [[오카와 슈메이]] - 극우 민족주의자로 반자본주의, 반민주주의, 반자유주의, 반공주의 신념을 지녔다. * '''[[현실사회주의]]''' (주류) * [[덩샤오핑]] ([[중국특색 사회주의]])[*A 덩샤오핑과 그 이후 중국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레닌주의나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벗어나 있고 [[시장사회주의]]에 가깝다. 물론 정치적으로 여전히 자유민주주의와 거리가 멀며, 시진핑 이후부터는 전체주의 논란이 있다.] * [[시진핑]]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A] * [[블라디미르 레닌]] ([[레닌주의]]) * [[이오시프 스탈린]] ([[마르크스-레닌주의]]) *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주체사상]]) * [[마오쩌둥]] ([[마오주의]]) - 특히 마오쩌둥은 1937년부터 적극적으로 반자유주의를 설파했다고 평가받는데 이를 Combat Liberalism이라고 칭한다. * [[엔베르 호자]] ([[호자주의]]) == 나라별 유명 반자유주의 단체들 == 과거의 케이스는 ○ 표시. 각국의 [[:분류:독재정당|독재정당]]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 '''대부분 [[독재]] 국가들의 여당들'''[* 극히 예외적 케이스로, [[자코뱅]]은 독재정당이였지만 오히려 급진적 자유주의 정당이였다.] * '''현존했던 대부분의 [[:분류:공산주의 국가|현실사회주의 국가]][* 권위주의적 공산주의인 [[레닌주의]], 특히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에 기반하였다. [[좌파공산주의]]에 기반한 공산주의 국가들의 여당들은 아직까지 존재한 바 없다.]들의 여당들''' * '''[[파시즘/국가 목록|파시스트 국가]]들의 여당들'''○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 * [[대정익찬회]]○ 이 밑으로는 가독성을 위해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 [[독일]] * [[독일 국가인민당]]○ * [[러시아]][* 주류 보수정당인 [[통합 러시아]], 노골적인 극우정당인 [[러시아 자유민주당]] / [[로디나]], 소련 복고주의 극좌정당인 [[러시아 연방 공산당]], 반자유주의적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공정 러시아]] 등등. 물론 원내에 자유주의 정당도 존재하지만 거의 다 친푸틴 어용 자유주의 정당으로, 서방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자유주의와 거리가 멀다. 과거의 정당 중에는 대놓고 반자유주의를 주장한 [[진실을 위하여]]도 있었다.] * [[유라시아당]] * [[전러시아 인민전선]] * [[러시아 연방 공산당]] * [[러시아 자유민주당]] * [[진실을 위하여]]○ * [[통합 러시아]] - 푸틴주의부터 반자유주의적 이념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이란]] * [[원칙파]] * [[이탈리아]] * [[역사적 극우파]]○ * [[일본]] * [[일본군]]○ - [[입헌자유주의]] 정치 체제를 증오하였고, 군부가 정권을 장악한 1930년대 말부터 1945년까지 자유주의자들은 비국민이나 신체제에 반대하는 반동으로 몰려 철저하게 탄압당했다. 자유주의자, 의회민주주의자라는 것 자체가 처벌의 이유가 될 정도였다. * [[통제파]]와 [[황도파]]○ * [[일본회의]] - 외신에서도 '자유'(주의)적 가치 (liberal values)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종종 언급된다. * [[중화인민공화국]] * [[중국 공산당]] * [[폴란드]] * [[법과 정의]] * [[헝가리]] * [[청년민주동맹]] == 같이 보기 == * [[국수주의]] - [[내셔널리즘]]이 극단화된 형태이다. * [[대한민국/문화 검열]] * [[보수정치 마이너 갤러리]] * [[비자유민주주의]] - 단순하게 '비자유주의'라고도 한다. * [[빈 체제]] -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전유럽에 심어진 자유주의 가치를 무위로 돌리려는 반자유주의, 반동주의적 합의. * [[집단주의]] * [[호모포비아]], [[트랜스포비아]] - 문화적 의미에서 반자유주의. 소수자 시민들의 [[시민자유|자유권]]을 비롯한 인권을 침해하거나 부정한다.[* 모든 포비아들이 반자유주의라고 보기는 애매한게 [[크리스티아노포비아]]나 [[이슬라모포비아]] 같은 경우는 자유주의와 역사적으로 연관이 깊은 [[반교권주의]]일수도 있어서 항상 반자유주의는 아니다. 가령 [[헤이르트 빌더르스]]는 이슬람혐오 [[극우]]인 점은 확실하지만 반자유주의자이긴 커녕 되려 [[국민자유주의]]자로 분류된다.] * [[혼합정치]] - 민주화의 과도기적 형태가 아닌, 독재 내지는 유사 독재의 경우. == 둘러보기 == [include(틀:보수주의)] [include(틀:공산주의)] [include(틀:파시즘)] [[분류:자유주의]][[분류:비판 사상]][[분류:권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