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4> '''[[파일:화성군 CI.svg|height=15]] [[화성군|{{{#000000,#dddddd 화성군}}}]]{{{#000000,#dddddd 의 폐지된 면}}}'''[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화성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반월면}}}'''[br]半月面[br]{{{-1 Panwŏl-myŏn[* 폐지 당시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반월면, 너비=100%, 높이=100%)]}}} || ||<-2> '''행정복지센터[br]소재지''' ||<-2> [[건건동|건건리]] 641[* 현 건건동 641-2, 반월동 행정복지센터] || ||<-2> '''광역자치단체''' ||<-2> [[경기도]] || ||<-2> '''기초자치단체''' ||<-2> [[화성군]] || ||<-2> '''하위 행정구역''' ||<-2> 9[[리(행정구역)|리]][*기준 1994년 화성군 통계연보 기준] || ||<-2> '''면적''' ||<-2> 37.51㎢ || ||<-2> '''인구''' ||<-2> 19,786명[*기준] || ||<-2> '''인구밀도''' ||<-2> 527.48명/㎢ || || '''국회[br]의원''' || [[화성시 갑|{{{#ffffff '''오산·화성'''}}}]] || [include(틀:민주자유당)] || [[정창현]] ,,(초선),,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31''', '''0343''', '''0345'''[* 현재 031] || ||<-2> '''존속기간''' ||<-2> '''[[부군면 통폐합|1914년 4월 1일]] ~ 1994년 12월 2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1914년]] [[4월 1일]]부터 [[1994년]] [[12월 26일]]까지 [[경기도]] [[수원군]]-[[화성군]]에 있었던 [[면(행정구역)|면]]. [[안산시]] [[상록구]]에 있는 [[반월동(안산)|반월동]]의 모태가 되는 면이며 [[안산선]] [[반월역]]의 유래가 되는 면이기도 하다. == 역사 == [[조선시대]] 및 [[구한말]]에는 [[1577년]] 기준으로 [[1906년]]까지 [[광주시|광주군]]의 [[견아상입지]][* 강학상으로 봐도 [[월경지]] 맞다.]로서 북방면[* 둔대리, 속달리, 도마교리, 대야미리, 건건리, 팔곡일리, 팔곡이리에 해당된다.], 성곶면[* 본오리, 일리, 이리, 사리에 해당된다.], 월곡면[* 입북리, 당수리, 사사리, 월암리, 초평리에 해당된다.]의 3개 면으로 나뉘어 있었다가, [[1906년]] [[월경지]] 정리에 따라 [[안산시|안산군]]에 편입되고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원군]]에 편입되면서 3개 면이 통합되어 설치된 면이다. [[1949년]] 수원군의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화성군]] 반월면으로 개칭되었다. [[면사무소]] 소재지는 현재의 반월동 주민센터가 있는 곳이다. [[1970년대]]~[[80년대]] 반월면 서부 및 [[시흥군]] 군자면·수암면 각 남부에 [[안산시|반월신공업도시]]가 조성되면서 이들 지역을 관할하는 반월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반월출장소 지역을 '''신'''반월로, 기존 반월면 동부 지역을 '''구'''반월로 불렀다. 전통적으로 평온한 농촌 지역이었으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42번 국도]]([[수인산업도로]]), [[47번 국도]] 등 온갖 [[도로]]들이 만나고 [[안산선]]이 개통되면서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며 조금씩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 [[파일:크기1280_1986 시화지구개발계획도 관내지도-7.jpg]] 1986년 당시 시화지구개발계획도. 당시 반월면이 있던 화성군의 모습이 보인다. [[1983년]] [[월암동(의왕)|월암리]], [[초평동(의왕)|초평리]]가 [[시흥군]] [[의왕시|의왕읍]]으로, [[1986년]] 반월출장소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서부 지역이 안산시로 편입되었으며, 이후 [[지방자치제]]의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완전 부활]][* [[1991년]]부터 [[지방의회]]에 한해 제한적으로 선거가 실시되는 상태였다.]을 앞둔 [[1994년]] [[12월 26일]], [[대통령령]] 제14434호로 반월면의 잔여지역이 [[안산시]], [[군포시]], [[수원시]] [[권선구]][* [[수원시]]는 이 당시에 [[화성군]] [[태안읍(화성)|태안읍]]의 [[영통동|영통리]], [[신동(수원)|신리]], [[망포동|망포리]]도 [[팔달구]]에 편입했다.]에 분할 편입되면서 폐지되어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행정구역 == [[1949년]] [[8월 14일]][* 수원의 시 승격으로 인해 수원군이 화성군으로 개칭된 날] 기준으로 반월면은 17개의 [[리(행정구역)|리]]를 관할하고 있었으며, 하위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 건건리, [[당수동|당수리]], [[대야미동|대야미리]], [[도마교동|도마교리]], [[둔대동|둔대리]], [[본오동|본오리]], [[사동(안산)|사리]], [[사사동|사사리]], [[속달동|속달리]], [[월암동(의왕)|월암리]], [[이동(의왕)|이리]], [[일동|일리]], [[입북동|입북리]], [[초평동(의왕)|초평리]], 팔곡이리, 팔곡일리 || == 분할 == [[안산시|주변]] [[군포시|지역]][[수원시|의]] 확장 등으로 인해 반월면은 [[1983년]] 월암동, 초평동의 의왕 편입을 시작으로 [[1986년]]과 [[1994년]]에 법정구역 조정에 의거해 면역 대부분을 주변 지역(안산, 수원)에 넘겨 주었으며, 최종적으로 [[1994년]] 폐지 당시 [[면(행정구역)|면]]의 전 지역을 [[안산시|안산]], [[군포시|군포]], [[수원시|수원]]에 3분할 편입[* 이전에 일부 리를 주변 지역에 넘겨준 역사를 포함하면 5분할.]함으로써 공중분해 되었다. || '''[[1949년]] [[8월 14일]] 당시의 법정구역''' ||<-2> '''현재의 법정구역''' ||<|2> '''법정구역 편입 일자''' || || '''리''' || '''시·구''' || 동 || || 월암리, 초평리 || [[의왕시]] || 월암동, 초평동[* 월암동+초평동 : 부곡동(행정동)][* 구 반월면 지역 중, [[의왕시]] 편입 지역은 유일하게 자체 행정동이 설치되지 않았다.] || [[1983년]] [[2월 15일]] || || 일리, 이리, 사리, 본오리, 팔곡이리와 둔대리 일부 ||<|2> [[안산시]] [[상록구]] || 일동, 이동[* 일동+이동 : 일동(행정동)], 사동[* 사동 : 사1~3동(행정동)], 본오동[* 본오동 : 본오1~3동], 팔곡이동[* 본오1동 관할] || [[1986년]] [[1월 1일]][* [[안산시]] 승격일] || || 건건리[* [[1988년]] 당시 [[시흥군]] 소속이었던 군포읍에서는 건건리도 이듬해 군포시 승격 당시 군포에 편입시켜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건건리는 최종적으로 [[안산시]]에 편입되었다.], 사사리, 팔곡일리 || 건건동, 사사동, 팔곡일동[* 건건동+사사동+팔곡일동 : 반월동(행정동)] ||<|3> [[1994년]] [[12월 26일]] || || 대야미리, 둔대리, 속달리, 도마교리 || [[군포시]] || 대야미동, 둔대동, 속달동, 도마교동[* 대야미동+둔대동+속달동+도마교동 : 대야동(행정동)] || || 입북리, 당수리 || [[수원시]] [[권선구]] || 입북동, 당수동[* 입북동+당수동 : 입북동(행정동)] || == 기타 == 반월면이 5분할 되는데는 주민들의 입김도 작용한 상태로 인식된다. 그만큼 단일 지역으로 수십년간 묶여 있었다가 도로 분리된 것 치고는 행정구역 분리 이후의 부작용이 거의 없는 편이다. 분할 편입 당시 인접 도시들과의 생활권을 고려하여 [[행정구역]]을 조정한 것이기 때문. 참고로 당시 화성 반월면 지역의 [[시외전화]] 통화권은 [[1983년]] 일찍이 의왕(안양 통화권 일부, 지역번호 0343)에 포함된 월암/초평과, 애초에 수원이 코앞이라 원래부터 수원 통화권(지역번호 0331)이었던 입북동[* 입북동 시가지는 [[성균관대역]](당시 율전역, 성대앞역)이 있는 수원 율전동에서 불과 1km도 떨어져 있지 않을 정도로 가까워서 반월면 시절에도 틈만 나면 수원 편입 주장이 제기되었을 정도로 수원과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었다.]을 제외하고 모두 안산 통화권(지역번호 0345)에 속한다.[* 현재 수원에 속한 당수동과 군포에 속한 대야미동 포함.] 통화권이 [[1980년대]] 말 [[시외전화]] 보급과 함께 정립되면서 당시 반월면[* 입북동 제외]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안산 일부의 모체를 이뤄서 안산 통화권에 들어갔기 때문. 또한 당수동에는 수원농협이 아닌 반월농협이 존재한다.[* 다만, 당수동에 반월농협 지점이 개점한 시기는 반월면 해체 이후인 [[1999년]]이다. 화성 반월면 시절에는 아직 당수리에 [[농협]]이 없었다.] [[2021년]] 8월말 발표된 [[3기 신도시]] 계획 중 [[의왕군포안산신도시]]의 영역으로 반월면의 동부 지역이었던 월암동, 초평동, 부곡동, 도마교동, 사사동, 건건동 일원이 포함되었다. 현재는 [[시흥군]]의 후신에 속하는 행정구역들 중에 안산시 및 군포시가 옛 화성군 반월면 지역을 관할하고 있지만, 1983년 반월면에서 의왕읍에 편입된 일부 리(월암리, 초평리)를 제외하면 시흥군에 직접 속해 본 적은 없다. 부군면 통폐합 이후부터 일개 면 자체의 폐지 직전까지 줄곧 수원군-화성군에 속했다. [[분류:화성시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914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1994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화성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