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곤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반딧불이)] == [[Owl City]]의 곡 == [youtube(psuRGfAaju4)] '''Fireflies''' Owl City의 히트곡. ==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 螢 [[노르웨이의 숲(소설)|상실의 시대]]의 프로토타입이라고 볼 수 있는 작품인데 친구의 자살, 그리고 상처를 안고 사는 두 남녀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노르웨이의 숲과 비교해 보면 노르웨이의 숲 초반부의 형성에 역할을 한것으로 볼 수 있다. 노르웨이의 숲과는 달리 작중에서 등장 인물들의 이름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나, 그녀, 친구, 같은 기숙사의 방을 쓰는 룸메이트로 칭해질 뿐이다. 여기서 발전해서 나오코, 기즈키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1Q84]]의 흥행으로 다시 분 하루키 붐에 맞춰서 2010년에 문학동네에서 반딧불이를 포함한 다섯 편의 단편 소설을 엮은 책을 출간한 바가 있다. 그리고 2019년 12월 말에는 모리이즈미 다케히코(森泉岳土)가 [[조지 오웰]]의 [[1984(소설)]]와 함께 [[만화화]]했다.[[https://x.com/moriizumii/status/1247062859084787713?s=20|#]] == [[반기문]] 팬클럽 "반딧불이" == 2016년 11월 10일 창립된 반기문 팬클럽.[[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909_0014379185&cID=10301&pID=10300|뉴시스 기사]] [[https://twitter.com/banditbuli2017|공식 트위터]] == 은어 == [[영화관]]에서 시시때때로 휴대폰을 열어보는 사람. 어두워진 영화관 안에서 켜진 휴대폰의 화면이 밝게 빛나는 것이 반딧불이를 연상케 해서 생긴 은어. 그나마 영화가 시작하기 직전이나 끝나서 엔딩 크레딧 올라갈 때 그러면 모르겠는데, 종종 한참 영화가 상영중일때 휴대폰 액정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올리는데 혁혁한 공을 세우는 진상 민폐짓도 볼 수 있다. 뒷좌석에서 '어디서 반딧불이가 있네?' 라는 소리는 바로 이런사람들을 까는 영화관 은어. 휴대폰 OFF나 진동은 영화관의 기본 매너이다. [[마음의소리]]에서는 이를 발전시켜 시도 때도 없이 폰을 보는 이들을 "폰딧불이"라고 부르면서 페이크 다큐멘터리를 만든 적이 있다. == [[쿠키런 시리즈]]의 등장 펫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반딧불이(쿠키런 시리즈))] [[피스타치오맛 쿠키]]의 짝꿍 펫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반딧불이, version=361)] [[분류:동음이의어]][[분류:단편소설]][[분류:무라카미 하루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