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박화성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은관.jpg|width=170]] || || '''연도''' || '''1974년''' || || '''이름''' || '''박화성''' || || '''분야''' || '''소설가''' || ||<-2> '''[[틀:은관문화훈장|{{{#EDE4D3 은관문화훈장(2등급)}}}]]''' || ---- }}} || ---- ||<-3>
{{{+1 '''{{{#ffffff 박화성 [br] }}}''' }}} {{{#ffffff '''朴花城|Park Hwaseong '''}}} || ||<-2> {{{#ffffff '''본명''' }}} ||박경순 || ||<-2> {{{#ffffff '''호''' }}} ||소영 || ||<-2> {{{#ffffff '''국적'''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2><-2> {{{#ffffff '''출생''' }}} ||[[1904년]] [[4월 16일]] || ||[[대한제국]] [[전라남도]] [[목포시|목포부]] [[죽동(목포)|죽동]] || ||<|2><-2> {{{#ffffff '''사망''' }}} ||[[1988년]] [[1월 30일]] ^^(향년 84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 ||<-2> {{{#ffffff '''직업''' }}} ||[[소설가]] || ||<-2> {{{#ffffff '''수훈''' }}} ||[[은관문화훈장]] ^^(1974년 추서)^^ || ||<|2><-2> {{{#ffffff '''학력''' }}} ||목포정명여학교 고등과 (현.목포정명여자중학교) || ||[[숙명여자고등학교]] || ||<-2> {{{#ffffff '''본관''' }}} ||[[밀양 박씨]] || ||<-2> {{{#ffffff '''등단''' }}} ||추석전후 (조선문단) ^^(19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소설가로,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하층민의 실상과 노동자 등의 계급을 주제로하는 많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최초의 여류 소설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생애 == 1904년 음력 4월 16일, [[전라남도]] [[목포시|목포부]] [[죽동(목포)|죽동]]에서 태어났다. 목포정명여학교 고등과를 졸업하고 나서는 목포를 떠나 숙명여자보통학교를 수료 한 뒤, [[1925년]]에 조선문단에 '추석전후'라는 작품을 발표함으로서, 정식으로 등단하였지만, [[192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여자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여 후에 중퇴하였다. [[1932년]]에 [[이광수(소설가)|이광수]]의 추천으로 '동광'에 단편소설 '하수도공사'를 발표함으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이 작품에서는 조선인 노동자 같은 시대적 하층민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실상을 내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동년에 장편소설 '백화'와 [[1936년]]에 발표한 고향 없는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절필하고 고향인 [[목포]]로 돌아간다. 이때 아들인 소설가 천승세를 낳았다. [[광복]]을 맞이하고 다시 글을 쓰기 시작한 박화성은 1955년에 발표한 '고개를 넘으면'을 기준으로 장편 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 작품 목록 == === 장편소설 === * 고개를 넘으면 * 벼랑에 피는 꽃 === 단편 소설 === * 하수도공사 * 추석전후 * 홍수전후 * 백귀 * 한귀 * 고향 없는 사람들 === 수필 === * 추억의 파문 * 순간과 영원 사이 [[분류:목포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 여성 작가]][[분류:1904년 출생]][[분류:1988년 사망]][[분류:1925년 데뷔]][[분류:밀양 박씨]][[분류:은관문화훈장]][[분류:숙명여자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