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교수, rd1=박홍근(교수))]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중랑구 을|{{{#cfa547 중랑구 을}}}]])'''}}} || || 제18대[br][[진성호]] || → || '''제19-22대[br]박홍근''' || → || ''현직'' || || {{{#fff '''박홍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70000b,#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국회운영위원회|{{{#cfa547 운영위원회 위원장}}}]]'''}}} || || 제21대 전반기[br][[윤호중]] || → || '''제21대 전반기[br]박홍근''' || → || 제21대 후반기[br][[권성동]] || [include(틀:역대 예산결산특별위원장)]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 || ||<-2> '''{{{#fff 대한민국 제19-22대 국회의원[br]{{{+1 박홍근}}}[br]朴洪根 | Park Hong-geun}}}''' || ||<-2> [[파일:100152749.jpg|width=100%]] || ||<|2> '''출생''' ||[[1969년]] [[11월 17일]][* 음력 1969년 10월 8일.] ([age(1969-11-17)]세) ||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봉덕리 외봉마을[* [[https://www.youtube.com/watch?v=R4_PJCjJizo|#]]]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신내11단지 대명아파트 || || '''본관''' ||[[밀양 박씨]]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서울 [[중랑구 을]] 지역위원장[br][[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예산지원팀장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박홍근 서명.svg|width=140]]}}} || || '''링크''' ||[[https://facebook.com/maumgi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BaghongGe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park_hong_ge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aumgil, 크기=20)] | [[https://youtube.com/channel/UCaVYvfVsC1ns3_aE66i6ZI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blog.naver.com/bakhonggeun|[[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post.naver.com/bakhonggeun|[[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 [[https://story.kakao.com/ch/maumgil88/|[[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pf.kakao.com/_KxexhxjC|[[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고흥도덕국민학교 {{{-2 (졸업)}}}[br]고흥도양중학교 {{{-2 (졸업)}}}[br][[순천효천고등학교]] {{{-2 ([[졸업]] / 2회)}}}[br][[경희대학교/학부/문과대학|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2 ([[국어국문학]] 88 / [[학사]])}}}[br][[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 ([[행정학]][* 환경행정학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351859|南北韓(남북한) 環境問題(환경문제)와 統一(통일)을 對備(대비)하는 環境政策方向(환경정책방향)에 關(관)한 硏究(연구) : 東西獨(동서독) 環境統合(환경통합)의 敎訓(교훈)에 立脚(입각)하여]](1999).])}}} || || '''병역''' ||[[전시근로역]][* 1996년 1월 4일 [[전시근로역]]에 편입되었다.] {{{-2 ([[형벌|수형]])}}} || || '''종교''' ||[[개신교]] {{{-2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신내교회 권사이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 || '''가족''' ||아내 장미경, 슬하 1녀 || || '''신체''' ||165cm, [[O형]]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중랑구 을]] || || '''의원 선수''' ||'''4''' || ||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 || '''경력''' ||[[경희대학교]] 제24대 총학생회장[br]2030유권자네트워크 상임위원장[br]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청년위원장[br]서울시민포럼 공동대표[br]민주평화통일자문회 상임위원[br][[대통합민주신당]] 대변인[br][[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br][[김상희(정치인)|김상희]] 국회의원 보좌관[br][[민주당(2008년)|민주당]] 부대변인[br][[민주당(2008년)|민주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박원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중랑선거대책본부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중랑구 을|서울 중랑구 을]]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br][[민주당(2013년)|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위원장[br]반값등록금국민운동본부 공동 대표[br]전대협 동우회 회장[br]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2 (서울 중랑구 을 / [[더불어민주당]])}}}[br][[제20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br]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br][[제21대 국회의원]] {{{-2 (서울 중랑구 을 / [[더불어민주당]])}}}[br][[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br][[대한민국 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이재명]] 대통령 후보 공동비서실장[br][[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br][[민주연구원]] 이사장[br][[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br][[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br]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예산지원팀장[br][[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br][[민주개혁진보대연합]] 공동의장[br][[제22대 국회의원]] {{{-2 (서울 중랑구 을 / [[더불어민주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의 4선 중진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며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제3기 위원장이다. == 생애 == [[1969년]] [[10월 8일]],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군/행정|도덕면]] 봉덕리 외봉마을에서 태어났다. 고흥도덕초등학교, 고흥도양중학교(現 고흥도덕중학교)를 졸업 후 순천으로 넘어가 1988년 [[순천효천고등학교]](2회), 1994년 [[경희대학교/학부/문과대학|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 [[경희대학교/대학원|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환경행정학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재학 시절 총학생회장을 지냈고, [[학생운동]]으로 인해 투옥되어 1991년 6월 14일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과 [[화염병 사용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1992년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의장 권한대행을 맡았다. 경희대학교 졸업 후에는 청년유권자연대 위원장,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동우회 등의 활동을 했고, 한 차례 더 투옥된 전력이 있다. === 정치 활동 === 본격적으로 정계에 입문한 것은 2007년 민주당계 정당이 이합집산을 거듭하던 때였다. 당시 이른바 정당과 시민 세력의 대통합을 화두로 벌어지던 [[열린우리당]]의 해체와 민주당 계열 정당의 통합 작업 당시 시민사회 세력의 대표격으로 미래창조연대라는 조직이 생겼고, 이 조직에서 청년 담당을 맡아 활동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그리고 이 조직이 기존의 이러저러한 신당, 열린우리당 등과 합당하면서 생긴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되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신당으로 합류했다. 이 신당에서 대변인, [[제17대 대통령 선거]] 선대위 청년대책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비례대표 출마를 노렸지만 공천받지 못했고, [[18대 국회]]에서는 [[김상희(정치인)|김상희]]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지역에 출마를 선언했다. 경선에서 [[친노]] 계열의 핵심으로 분류되던 [[양정철]] 후보를 누르고 [[민주통합당]]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 지역의 터줏대감 격이던 [[김덕규]] 전 의원이 컷오프에 불복해 [[정통민주당]]으로 출마하는 악재가 있었지만, [[새누리당]]에서도 친이 계열이던 현역 [[진성호(정치인)|진성호]]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대혼전이 벌어진 끝에, 결국 [[새누리당]] [[강동호(정치인)|강동호]] 후보를 854표차로 제치고 당선되었다. [[19대 국회]]에서는 주로 교문위에서 활동하였다. 2016년 3월 11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중랑구 을]] 선거구의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 지난번보다 큰 8,000여표 차로 승리하였다. [[20대 국회]]에서도 교문위를 희망했지만, 재선 의원 중에 미방위 지원자가 없다는 이유로 당에서 미방위로 강제 배치되었다. 2017년 5월 16일, [[우원식]] 원내대표에 의해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로 선임되었다. 2017년 7월 10일, 미공개 이용정보를 이용한 LH공사 처벌 수준을 징역 5년에서 3년으로 완화하는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부적격 의견 등이 나오며 폐기되었는데 "당시 법안을 담당했던 직원이 퇴직해 어떤 취지로 발의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해명했다. 2018년 7월에는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 위원, 예산결산특위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18년 10월,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을지로위원회) 제3기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을지로위원장으로서 LG 유플러스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화, 파인텍 고공농성, 전주택시 고공농성 문제 등을 중재, 해결하는 역할을 했다. 언론에서 고공농성과 관련된 중재, 해결 사항이 많이 보도되어 '고공농성 해결사'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019년 10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 등 ‘모빌리티 혁신법’을 대표발의했다. 2020년 3월 국회를 통과하여 새로운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적 요소를 플랫폼운송사업으로 제도화해 지원하고 기존 택시산업과의 상생과 택시서비스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나 타다를 금지하고, [[배달의민족]] 합병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등 벤처 업계에서는 신산업폭격기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Amp.html?idxno=70964|#]]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단수공천을 받아 3선에 도전했다. [[미래통합당]]의 윤상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택배노동자의 안전한 근무환경을 만들기 위한 ‘택배기사 과로사 방지법’(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을 대표발의해 그동안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택배업을 제도화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144&aid=0000710516|#]] 2021년 4월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의 정책본부장을 맡아 정책공약을 총괄했다. [[https://news.imaeil.com/Society/2021030312405325519|#]]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2021 재보궐선거]]에서 참패를 당했다. 2021년 5월 20일,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차기 대선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http://naver.me/xRQ8dFB2|#]]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첫 [[원내대표]]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다. [[더불어민주당]] 비대위가 경선 방식을 [[콘클라베]]식으로 정하기로 결정하면서 공식 입후보 절차는 없어졌다. [[이낙연계]]의 핵심인 [[박광온]] 의원과 맞대결을 벌일 것으로 추측되어 왔으며 박홍근 의원이 선출될 경우 [[이낙연계]] 입지가 다시 한번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2년 3월 24일, 결선 투표 끝에 [[박광온]] 의원을 누르고 원내대표로 최종 선출되었다. 언론에서는 박홍근 의원의 원내대표 선출을 더불어민주당 주류가 [[친문]]에서 [[이재명계]]로 교체되었다는 신호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IUV259R|#]] 하지만 해당 선거를 [[친문]]과 [[이재명계]] 사이의 분쟁으로 보는 특정 언론의 시각에는 여러 의문이 남는다. 구 [[동교동계]]를 기반으로 한 [[이낙연계]]도 [[친문]]의 하위 분파로 분류되긴 하지만, 실상 [[친문]] 세력은 둘로 나뉘어 양 진영을 지원하였다. 즉, [[친문]] 세력의 구심점이 없는 상황에서 각기 다른 후보를 선택하여 대리전을 치른 셈이다. 이른바 [[친문]] 의원들의 양 진영에 대한 지지 비중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보이는데, 투표가 무기명이었으므로 정확한 통계를 내기는 어렵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009040600001|#]] [[https://www.sedaily.com/NewsVIew/263JKTXHO9|#]] 반면 [[친문]] 지지자들에서는 눈에 띄는 비중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이 [[이재명계]]인 박홍근 의원을 지지하였다. 당초 [[이낙연계]]의 [[박광온]] 후보 당선이 유력하던 상황에서 의원들에 대한 문자 총공과 당사 앞 시위 등으로 분위기가 반전되었는데, 이러한 행동에 [[친문]] 지지자들이 대거 참여하였다.[[http://m.segye.com/view/20220324504829|#]] [[이낙연계]]의 [[친문]] 지지자들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을 지지하는 방법으로 [[이재명]] 상임고문에 대한 반감을 표출한 바 있으며,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서도 이러한 모습이 여과없이 노출되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39W5ZL0I|#]] 아울러 박홍근 원내대표를 쉽게 [[이재명계]]로 분류하는 것 역시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는 장기간 [[박원순계]]로 분류되던 인물로, [[이재명]] 고문과의 관계는 [[20대 대선]]에서의 활동이 전부에 가깝다. [[박주민계]]의 친문 의원이 [[이재명계]]로 분류되는 것과 유사한 경우로 볼 수 있다. 그 때문에 언론 등에서도 '신(新) 이재명계' 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5058111|#]] [[https://www.yna.co.kr/view/AKR20210729159200001|#]] 박홍근 원내대표는 당선 소감에서 “검찰,언론 개혁과 민생을 챙기는 강한 야당으로 거듭나고, [[문재인]]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과 [[이재명]] 상임고문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밝혔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03249117i|#]]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 [[파일:홍근환호.jpg|width=100%]] || || '''{{{#fff '''환호하는 박홍근 신임 원내대표'''}}}''' || 원내대표 취임 다음 날인 2022년 3월 25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과 환담을 나누면서 "국민과의 소통,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와의 소통이 중요하고, 현직 대통령에 대한 격의 없는 소통(이 중요하다)"이라며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간 충돌 양상을 거론, "격의 없이 두 분이 직접 만나면 많은 부분이 풀릴 텐데 이렇게 국민을 걱정시키는 상황이 전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얘기를 했다"고 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25064851001|#]] 같은 날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도 취임 축하 난을 전달받은 뒤 전화 통화에서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아 어깨가 무거울 것 같다. 을지로위원회 활동을 통해 민생을 챙겨왔고, 섬세하고 치열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기에 기대가 크다’고 축하의 뜻을 전달받았다고 한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06166632266928&mediaCodeNo=257&OutLnkChk=Y|#]] [[3월 29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임대차 3법]] 폐지, 축소 방침에 반발해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전)후보와 우리 당은 이 문제(임대차 3법)에 대해 원칙적으로는 지켜져야 한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면서 "올해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계약 기간이 새롭게 갱신되는 상황에서 현장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더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말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329029900001|#]] 이틀 뒤에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발전적 반성을 골자로 "당내 부동산특위를 외부 전문가도 참여시켜 확대·개편하고, 관련 상임위 차원의 논의를 진행해 4월 중으로 종합적 입장을 내놓겠다"고 다짐했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01_0001816837&cID=10301&pID=10300|#]] 4월 3일, [[윤석열]] 당선인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하자 "같이 일해 본 적이 없어 잘 모른다"면서도 "팔이 안으로만 굽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덕수]] 후보자가 호남 출신에 과거 [[참여정부]]에서 총리를 역임했던 이력 때문에 이런 표현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고향이 어디냐, 어느 정부에서 일했느냐 등은 전혀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며 "시대에 적합한 리더십과 역량을 가지고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그 점에서 엄격하게 인사청문회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고 송곳 검증을 예고했다.[[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40315390801455|#]] 6월 1일 치른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더불어민주당]]의 대패로 막을 내리며 [[윤호중]],[[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전원 사퇴하면서 비대위원장이 취임하기 전까지 원내대표인 상태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게 되었다. 6월 7일, [[우상호]]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하면서 약 5일만에 원래대로 원내대표 업무만 맡게 되었다. [[법제사법위원회]], 그리고 뒤이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를 두고 후반기 원구성 협상이 한달 가까이 지연되면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함께 비판의 도마에 오르기도 했으나 법사위를 양보하는대신 [[사법개혁특별위원회]]를 다시 구성하고 위원장을 민주당이 가지기로 합의하고, 행안·과방위원장은 여야가 각각 1년씩 맡는 형식으로 겨우 합의를 이루면서 원구성을 이뤘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51977.html|#]] 2023년 4월 28일, 신임 [[박광온]] 원내대표가 당선됨에 따라, 지난 1년간의 원내대표 임기를 마치고 평의원으로 복귀했다. ==== 원내대표 이후 ==== 국회 [[교육위원회]] 상임위원장에 내정되었다.[[https://v.daum.net/v/20230527120451643|#]] == [[/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홍근/논란)] == 이력 == * [[제21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제21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 * 제8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2022.03 ~2023.04) * 더불어민주당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을지로위원회) 위원장 * [[제20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제20대 국회]] 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 [[제20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 [[제20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제20대 국회]] 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간사 *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을/더불어민주당) *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을/ 더불어민주당) *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을/새정치민주연합) *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을/민주당) *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중랑을 지역위원장 * 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 위원장 * 제19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국회 청년플랜2.0 대표의원 * 제19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회 위원 *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 * 국회 학교폭력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중랑구 을/민주통합당)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동우회 회장 * 반값등록금국민본부 공동대표 *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대변인 *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중랑구선거 대책본부 공동본부장 * [[대통합민주신당]] 전국청년위원회 위원장 * [[대통합민주신당]] 창당준비위원회 대변인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 서울시민포럼 공동대표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운영위원 * 한국자원봉사협의회 이사 * 2030 유권자네트워크 상임위원장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청년위원장 * 한국, 재일동포, 일본청년포럼 한국위원회 위원장 * 한국청년연합(KYC) 공동대표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의장대행 * 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7 || 정계 입문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열린우리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4> 서울 [[중랑구 을|중랑 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4,212 (44.50%)''' ||<|4> '''당선 (1위)'''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49,620 (44.29%)''' || '''재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74,131 (59.28%)''' || '''3선'''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73,600 (57.72%)''' || '''4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19대총선박홍근.png|width=100%]] || [[파일:20대총선박홍근.pn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9대 총선}}}]] [[중랑구 을|{{{#000,#fff (서울 중랑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중랑구 을|{{{#000,#fff (서울 중랑구 을)}}}]] || || [[파일:21대총선박홍근.png|width=100%]]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중랑구 을|{{{#000,#fff (서울 중랑구 을)}}}]]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2대 총선}}}]] [[중랑구 을|{{{#000,#fff (서울 중랑구 을)}}}]] ||}}}}}}}}} || == 여담 == * 탈모라고 한다. 과거 모습과 최근 모습을 비교해 보면 [[모발이식]]을 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ParkHonggeunTalmo01.jpg|width=55%]] [[파일:ParkHonggeunTalmo02.jpg]] * LG그룹 회장 [[구광모]]와 [[스포티비]], [[이스타TV]] 소속의 축구해설위원인 [[임형철]]과 닮았다. * 2014년 9월, 학교폭력으로 피해자에게 서면 사과를 한 것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지 못하게 하고 가해학생 본인과 그 학부모의 동의 없이는 제3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332691|#]] * 이재명에 대해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견결히 싸워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견결하다"가 국어사전에 있는 어휘이기는 해도 북한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 반면 남한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어서, 이에 대해 [[조선일보]]는 운동권의 퇴화 흔적이라고 비판했다. [[https://www.chosun.com/opinion/chosun_column/2023/03/04/VLB4RZKY6FFFVKEHYNS5DWN5WA/|#]] * 역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중 최연소로(당시 만 53세) 나이가 가장 어리다.(1969년생)[* [[이종걸]](당시 만 59세)(1957년), [[우원식]](당시 만 60세)(1957년), [[홍영표]](당시 만 61세)(1957년), [[박광온]](당시 만 66세)(1957년), [[우상호]](당시 만 54세)(1962년), [[윤호중]](당시 만 58세)(1963년), [[이인영]](당시 만 55세)(1964년), [[김태년]](당시 만 56세)(1964년), [[홍익표]](당시 만 56세)(1967년), [[박찬대]](당시 만 57세)(1967년).]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고흥군 출신 인물]][[분류:1969년 출생]][[분류:밀양 박씨]][[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순천효천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분류:경희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분류:더불어민주당 대표]][[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