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fff 등번호 63번}}}''' || || [[김재현(1979)|김재현]][br](2010) || {{{+1 →}}} || '''{{{#fff 박건우[br](2011~2012)}}}''' || {{{+1 →}}} || [[하주석]][br](2013.6.19.~2013)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108번}}}''' || || [[류재인]][br](2015~2016) || → || '''{{{#00275a 박혁[br](2018)}}}''' || → || [[김수윤(야구선수)|김민수]][br](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302271635327901.jpg|width=100%]]}}} || ||<-2> '''{{{+1 박혁}}}[br]朴赫 | Park Hyuk'''[* 개명 전 이름은 박건우] || ||<|2> '''출생''' ||[[1992년]] [[7월 1일]]([age(1992-07-01)]세) || ||[[충청북도]] [[청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원초 - [[세광중학교|세광중]] -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 - ([[영남사이버대학교|영남사이버대]]) || || '''신체''' ||193cm, 93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s-3|2011년 10라운드]] (전체 78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1~2013) [br][[NC 다이노스]] (2018)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화 이글스]],[[NC 다이노스]] 소속 우완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및 프로입단 === 평생을 유격수로 뛰었던 선수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정식 경기에서, 그것도 고교 생활에서 단 한 번 선발 투수로 등판한 경기'''에 한화 스카우트가 와 지켜보는 기회가 찾아왔다. 더군다나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는 [[2010년]]에 1회전에서 떨어져서 대회에서 뛴 경기가 매우 적었기에 모습을 보여줄 기회도 더 이상 없었던, '''그야말로 단 한 번의 기회'''였다. 이 단 한 번의 등판에서 8이닝 2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면서 기회를 잡아 그저그런 유망주에 불과했던 박건우는 10라운드, 그리고 드래프트 전체에서 맨 마지막 순위로 프로에 입단하는데 성공한다. 보충하자면 한화의 처참한 내부 팜의 상황에 힘입은 행운도 따랐다. 한화는 몇 년간 당장 눈앞의 성적에 급급해서 신인 선수의 육성보다는 타 팀에서 버린 중고참들에게 팀의 주전을 맡겼으며, 이에 따라 신인픽의 숫자를 극단적으로 줄였고 그나마도 즉전감이란 명목하에 대졸선수 위주로 픽했다. 이 때문에 2010년 이후에는 군 입대가 임박한 미완성의 선수 몇 명만 달랑 남아서 퓨처스리그 경기에 선수가 부족해서 1군에서 백업으로 뛰던 [[오선진]]을 급하게 불러오는 촌극을 벌일 정도로 팜이 완벽하게 붕괴하였다. 선수 부족을 통감한 한화는 오랜만에 신인픽을 한계치까지 꽉꽉 채워서 픽했다. 게다가 신고선수를 영입하려는 꼼수로 대학진학이 결정된 선수를 픽한 케이스도 없어서 모두 계약하게 되는데 이런 해는 근래 10년 간 한화 픽중에 한 번도 없었다. 정말 이런 해에 드래프트에 나와서 픽이 된 것은 행운 중에 행운이었다고 볼 수 있다. 기대치는 다르겠지만 2005년의 [[양훈]]처럼 하드웨어를 보고 뽑은 선수로 190cm의 장신을 가진 선수. 신체 밸런스도 좋고 유연성도 나쁘지 않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이 장신의 투수의 원래 포지션은 [[유격수]]. 본래의 운동 신경도 나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이런 모습을 보고 장기적으로 키우기 위해 지명한 투수라고 한다. === 프로 경력 === 아무래도 다듬을 부분이 많은 선수라 그런지 2011년 2군 등판 기록이 거의 없다. 그 다음년도인 2012년에도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2013년 3월경 부친이 의료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리고 2013년 시즌 중 입대했다고 한다. 그러나 군복무 중 방출되었다. 2018년 [[NC 다이노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입단 후 박혁으로 개명했다. 그러나 [[2018년]] [[2월 28일]] 무슨 이유에서인지 선수단에서 제외되었다. == 여담 == * 앞서 서술했듯이 고교시절 주포지션이 유격수였으나, 타격에는 영 소질이 없었다고. * 재미있게도 어렸을 적 야구를 계속하게 된 계기가 연고 지역에 봉사 차원으로 나온 [[송진우(야구)|송진우]]에게 잠깐 코칭을 받은 것이었고,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등학교]] 시절에는 재활과 코치를 병행하고 있었던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의 지도를 받았다. 여러모로 [[한화 이글스]]와의 관계도 짙은 투수.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건우, version=45)] [[분류:개명한 인물]][[분류:청주시 출신 인물]][[분류:1992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세광중학교 출신]][[분류:세광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