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조직폭력배, rd1=박철민(조직폭력배), other2=북한의 정치인, rd2=박철민(북한))] [include(틀:더블에스지컴퍼니 소속 아티스트)] ||<-2> '''{{{#FFFFFF {{{+1 박철민}}}[br]朴哲民 | Park Chul-M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F.21187661.1.jpg|width=100%]]}}} || ||<|2> '''{{{#white 출생}}}''' ||[[1966년]] [[5월 31일]][* 음력 4월 12일] ([age(1966-05-31)]세)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br](現 [[광주광역시]] [[동구(광주)|동구]]) || ||<|3> '''{{{#white 가족}}}''' ||아버지[* [[서울대]] 출신의 엘리트라고 한다.], 어머니[* 학교 [[영어교사]]였으며, 박철민을 포함한 4남매를 키웠다고 한다. 2008년 경 갑자기 쓰러진 후 [[치매]] 증상이 왔다고 한다.][[https://foryouhot.tistory.com/233|#]] || ||형 박경민^^(1961년생)^^[* 연극 배우였으며, 동생인 박철민을 연기의 길로 이끌기도 했다. 1993년 불과 32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아리랑치기]] 사고를 당해 유명을 달리했다. [[https://youtu.be/Nq7e-mN67Gk?t=15m36s|[[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https://youtu.be/x_JXkhDHxbA?t=19|[[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포함 4남매 || ||배우자 이미양[* 박철민이 대학 시절 연극 무대에 올인할 때 아내는 같은 극단의 작가였는데 이때 처음으로 만나 열애 끝에 결혼에 골인하게 되었다. 참고로 [[동갑내기]]다.][br][[차녀]] 박솔[* [[https://youtu.be/FgLyIZWveUc?t=53|2013년 KBS2 힐링투어 야생의 발견 24회 박철민 편]]에서 처음으로 얼굴을 비쳤다. 이때가 15세였으니 대략 1998년생일 것이다. [[https://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1061703130410|#]] [[https://news.nate.com/view/20131107n16553|#]] [[https://kstar.kbs.co.kr/list_view.html?idx=3830|#]] [[창덕여고]]를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 || '''{{{#white 학력}}}''' ||[[광주계림초등학교]] {{{-2 (졸업)}}}[br][[광주동성중학교]] {{{-2 (졸업)}}}[* [[이한열]] 열사의 중학교 동기다. 이한열은 [[광주진흥고등학교]]로 진학했다.][br][[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2 (졸업)}}}[br][[중앙대학교]] 경영대학 {{{-2 (경영학 / 학사)}}}[* 경력을 보면 알겠지만, [[사회과학대학]] 회장과 중앙대 [[1987년]] 임시 학생회장을 맡고, 이후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그렇게 [[연극]]판 위주로 살다가 우연한 기회에 [[방송]]에 출연하게 된 것.] || || '''{{{#white 종교}}}''' ||[[불교]] || || '''{{{#white 데뷔}}}''' ||[[1988년]] 노동연극 전문극단 현장 입단 || || '''{{{#white 소속사}}}''' ||더블에스지컴퍼니 || || '''{{{#white 서명}}}''' ||[[파일:박철민 서명.pn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 생애 == [[냉장고를 부탁해]]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부모님이 모두 교사였으며 대학을 다닐 때 연극 동아리에 들어가면서 연기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5.18 민주화운동]] 당시 중학생이어서 광주에서 일어난 참상을 몸소 겪었고, 선생님이던 아버지가 계엄군에 의해 엄청나게 폭행 당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인지 꽃잎, 스카우트, 화려한 휴가 등 5.18 관련 영화에 상당수 출연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러한 과거를 겪었던 박철민은 자연히 대학에 입학한 이후 연극학생이면서도, [[운동권]]으로 활동했다, 당시 단과대 학생회장을 거쳐 총학생회장(권한대행)까지 올랐다. 학생운동을 하면서 [[안내상]]과 함께 광주 미문화원 폭탄 테러 시도 사건에 참여하기도 했다. 전경에게 무려 3번이나 사제폭탄을 던졌는데 불발되었다고 하는데 그 일을 우스꽝스러운 일로 표현하기도 했다. [[https://v.daum.net/v/M0NmiJRhRD|관련기사]] 그러다가 [[1988년]] [[연극]]계에 데뷔한 후, 연극과 노래극 등에 50여편 이상 출연하였다. 이 때 연기뿐만 아니라 노동운동이나 학생운동 같은 재야단체의 집회의 명사회자로 이름을 날렸다. 대체로 재야집회는 무겁고 침울한 분위기가 흐르는데 반해, 박철민이 진행하는 집회는 웃음과 해학이 넘치는 재미있는 분위기였다. 이렇게 1990년대 중반까지 지내다가, 연기로는 생활이 안 되자, 연기를 접고 한동안 [[과일]]장사를 했다고 한다. 사업확장을 하다 실패한 후 연극계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SBS]]의 한 [[PD(방송)|PD]]와의 인연으로 [[햇빛 쏟아지다|연속극]]에 단역 출연하면서 복귀했다. 이후 [[취화선]], [[목포는 항구다]] 등의 영화와 [[뉴하트]],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 [[불멸의 이순신]] 등의 드라마에서 [[조연]]으로 출연했다. == 연기 스타일 == 본인 말에 의하면, [[암기]]력이 좋지 않아서 [[애드리브#대본에 없는 즉흥 대사를 뜻하는 말|애드립]]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김현석(영화 감독)|김현석]] 작품에서는 그러한 애드립도 최대한 자제한다고 캐릭터 소개 영상에서 밝혀졌다. 어쩌다 애드립을 하게 되도 감독이 다 짜른다고 한다.] 극에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감초]] 역할로 많이 나오고 있다. [[서남 방언]]([[전라도 사투리]])을 맛깔나게 구사하며 이를 이용한 애드립도 많이 보여준다. 그 유명한 [[이것은 입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여]]의 주인공. ~~취취췻~~ 일각에서는 [[전라도 사투리]]를 쓰는 감초 역할밖에 못한다는 비평도 있다. 코믹한 감초 역할을 수십여 편의 작품에 출연해서 반복하다 보니, 공장에서 찍어낸 공산품처럼 패턴화된 일정한 모습이라, 새로운 작품에 출연해도 매번 이전 작품에서의 기시감을 떠올리게 만든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본인도 알고 있는지, 영화 '[[수상한 고객들]]'과 '[[또 하나의 약속]]', 드라마 [[바보엄마]][* 여기서는 아예 특유의 [[서남 방언]]도 버리고 '''[[동남 방언]]'''을 쓴다.] 등에서 기존의 코믹한 이미지를 버리고 캐릭터 변신을 시도했지만, 잘 되지는 않는 듯하다. 그 뒤 영화 <[[약장수#s-2]]>에서 박철민 특유의 개성을 버리고, 진지한 나쁜 놈으로 나오면서 호평을 받았다. 다만, 영화의 흥행은 같은 날 개봉한 [[어벤져스 2]] 때문에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다. 코믹한 감초 역할밖에 못 한다고 까이지만, 반대로 말하면 '''코믹한 감초 연기에 있어서는 따라올 배우가 없는 진정한 씬 스틸러.''' 사실 엄밀히 따지면 실력이 없어서 코믹 역할만 하는게 아니라, 이미지가 너무 그 쪽으로 박힌 나머지 들어오는 배역들이 죄다 코믹 역할 뿐인지라 본의 아니게 그 쪽으로 나가게 된 것이 더 크다. 비슷한 예로 [[유해진]]과 [[오달수]]를 들 수 있다.[* 다만, 이 둘은 진지한 역할로 나왔을때의 흥행작도 꽤 있다.] ~~많은 연예인들이 그렇듯 한 배역이 뜨면 그 이미지와 비슷한 역할만 들어오기 때문일지도~~ 특유의 애드립 연기 때문에 가벼워 보이는 역할을 많이 맡지만, 작중 연기를 보면 가벼워 보이는 모습 속에서도 해당 인물의 진지한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굉장히 능숙하다. 특히 코믹 연기 속에 진한 페이소스를 담는 데 있어서는 가히 달인급. 대표적인 것이 불멸의 이순신에서 연기한 사도첨사 김완 역. 작중 김완은 시종일관 촐싹거리는 가벼운 인물로 그려지지만, 그런 가벼운 모습 속에서도 어영담을 이순신의 군진에 데려오기 위해 내뱉는 진심어린 호소나 왜군들에 대한 속 끓는 분노, 동료가 죽었을 때 관을 잡고 통곡하는 슬픔 등을 연기하여 진중하고 무거운 분위기의 드라마에 다양한 색깔을 입혀주었다. == 활동 == === 드라마 === ||
'''{{{#white 방영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방송명}}}'''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2004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햇빛 쏟아지다]]|| 교통경찰 박경장 ||<:>|| ||<:>2004~2005년 ||<:> [[KBS1|[[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불멸의 이순신]]||<:>사도첨사 [[김완]]||<:>|| ||<:><|2>2005년 ||<:><|2>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봄날(드라마)|봄날]]||<:>진태||<:>|| ||<:>[[루루공주]]||<:>문 기사||<:>|| ||<:>2005~2006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사랑도 리필이 되나요?]]||<:>레스토랑 주방장 최동원||<:>|| ||<:><|2>2007년 ||<:>[[한성별곡]]||<:>포도대장||<:>|| ||<:><|5>[[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그라운드 제로(드라마)|그라운드 제로]]||<:>택시기사 유동선||<:>|| ||<:>2007~2008년 ||<:>[[뉴하트]]||<:>[[배대로]]||<:>|| ||<:><|2>2008년 ||<:>[[밤이면 밤마다(드라마)|밤이면 밤마다]]||<:>문화재 단속반원||<:>||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배용기||<:>|| ||<:><|3>2009년 ||<:>[[돌아온 일지매]]||<:>왕횡보||<:>||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파트너(KBS)|파트너]]||<:>변향로||<:>||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천사의 유혹]]||<:>경찰||<:>특별출연|| ||<:>2010년 ||<:><|2>[[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부자의 탄생#KBS에서 방영되었던 전 드라마|부자의 탄생]]||<:>캡틴||<:>|| ||<:><|2>2011년 ||<:>[[동안미녀]]||<:>선남||<:>|| ||<:><|2>[[SBS|[[파일:SBS 로고.svg|width=40]]]]||<:>[[무사 백동수]]||<:>인(人)||<:>|| ||<:>2012년 ||<:>[[바보엄마]]||<:>김대영||<:>|| ||<:>2013년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구암 허준]]||<:>구일서||<:>|| ||<:><|2>2014년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감격시대: 투신의 탄생]]||<:>파리노인||<:>||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호텔킹]]||<:>장호일||<:>|| ||<:><|2>2016년 ||<:><|2>[[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KBS 드라마 스페셜/2016년#s-2.6|KBS 드라마 스페셜 - 동정없는 세상]]||<:>담임||<:>우정출연||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등장인물#s-6.3|김의교]]||<:>|| ||<:><|3>2017년 ||<:>[[SBS funE|[[파일:SBS funE 로고(2014~2018).svg|width=40]]]]||<:>[[아이돌마스터.KR - 꿈을 드림]]||<:>[[심민철]]||<:>||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군주 - 가면의 주인]]||<:>우보||<:>||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학교 2017]]||<:>박명덕||<:>|| ||<:>2018년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비밀과 거짓말]]||<:>윤창수||<:>|| ||<:><|2>2019년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사이코메트리 그녀석]]||<:>남대남||<:>||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br][[Dramax|[[파일:Dramax_CI.png|width=40]]]] ||<:>[[우아한 가]]||<:>[[우아한 가/등장인물#김부기|김부기]]||<:>|| ||<:><|2>2020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아무도 모른다(드라마)|아무도 모른다]]||<:>[[아무도 모른다(드라마)/등장인물#한근만|한근만]]||<:>|| ||<:> [[KBS1|[[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누가 뭐래도]]||<:>[[한재수]], [[한억심]]||<:>1인 2역|| ||<:><|3> 2021년 ||<:><|2> [[KBS2|[[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안녕? 나야!]] ||<:> 영구 ||<:>|| ||<:> [[오월의 청춘]] ||<:> [[오월의 청춘/등장인물#최병걸|최병걸]] ||<:>|| || [[파일:Seezn 로고.svg|width=40]][br][[KT스카이라이프|[[파일:20210617_194059.png|width=40]]]][br][[SKY(skyTV)|[[파일:SKY(skyTV) 로고.svg|width=40]]]] || 복제인간 || 오형무 || || ||<:><|4>2022년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고스트 닥터]]||<:>[[고스트 닥터/등장인물#반태식|반태식]]||<:>||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어게인 마이 라이프]]||<:>[[어게인 마이 라이프/등장인물#김찬성|김찬성]]||<:>|| ||<:><|2>[[tvN|[[파일:tvN 로고.svg|width=40]]]]||<:>[[멘탈코치 제갈길]]||<:>[[멘탈코치 제갈길/등장인물#전창길|전창길]]||<:>|| ||<:>[[월수금화목토]]||<:>[[월수금화목토/등장인물#수석부장|김상수]]||<:>|| ||<|6> 2023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닥터 차정숙]] || [[닥터 차정숙/등장인물#윤태식|윤태식]] || ||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하늘의 인연]] || 슈퍼 사장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 [[가슴이 뛴다(드라마)|가슴이 뛴다]] || [[가슴이 뛴다(드라마)/등장인물#주집사|주집사]] || || || [[ENA|[[파일:ENA 로고.svg|width=40]]]] || [[오랫동안 당신을 기다렸습니다]] || 목동만 || || || 미정 || [[내 친구의 졸업식]] || [[내 친구의 졸업식#홍승배|홍승배]] || || === 영화 ===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1995년]]) - 한미사 재단사 역 * 《[[꽃잎(영화)|꽃잎]]》- 우리들 역([[1996년]])[* 그 유명한 [[장선우]] 작품] * 《[[박봉곤 가출사건]]》- 달중 역 * 《창》- 탄광촌 술집 손님 역 * 《[[키스할까요]]》- 회사동료1 역 * 《만고건달》 * 《이재수의 난》([[1999년]]) - 백학탄 역 * 《[[춘향뎐]]》- 구경꾼 역 * 《[[킬리만자로(영화)|킬리만자로]]》- 반장 역 * 《하면 된다》- 금이발 외판 역 * 《불후의 명작》- 진원 역 * 《[[번지점프를 하다]]》([[2000년]]) - 체육교사 역 * 《[[신라의 달밤(영화)|신라의 달밤]]》(2001년) * 《베사메무쵸》([[2001년]]) - 친구 2역 * 《[[취화선]]》([[2002년]]) - 그림소장자 집 집사 역 * 《일단 뛰어》- 요금속 직원 역 * 《쇼쇼쇼》- 경찰 역 * 《선택》 * 《[[목포는 항구다]]》(2004) - 가오리 역 * 《맹부삼천지교》(2004) - 강북고 담임 역 * 《[[신부수업(영화)|신부수업]]》(2004) - 여관 주인 역 * 《역도산》([[2004년]]) - 김명길 역 * 《[[혈의 누(영화)|혈의 누]]》(2005) - 조달령 역 * 《[[미스터 소크라테스]]》(2005) - 탈옥범 백창규 역 * 《[[광식이 동생 광태]]》([[2005년]]) - 바텐더 역 * 《[[손님은 왕이다#영화|손님은 왕이다]]》- 슈퍼 주인 역 * 《방과 후 옥상》(2006) - 담임 역 * 《[[구미호 가족]]》- 형사 역 * 《[[가을로]]》- 박수관 역 * 《누가 그녀와 잤을까》([[2006년]]) - 안도민 역 *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2007) - 둘째 역 * 《이대근, 이댁은》(2007) - 사위 역 * 《[[화려한 휴가]]》(2007) - 인봉 역 * 《[[스카우트(영화)|스카우트]]》([[2007년]]) - 서곤태 역 * 《분교이야기》- 담임 역 * 《[[마이 뉴 파트너#한국 영화|마이 뉴 파트너]]》 (2007) - 장병삼 역 * 《오이시맨》 ([[2008년]]) * 《[[4교시 추리영역]]》 (2009) - 한강만(미친개) 역 * 《아부지》 (2009) - 담임 역 * 《킬 미》 (2009) - 이만수 역 * 《광태의 기초》 ([[2009년]]) * 《[[시라노 연애조작단]]》([[2010년]]) - 철민 역 * 《[[투혼(한국 영화)|투혼]]》 (2011년) - 채문 역 * 《[[위험한 상견례]]》(2011년) - 대식 역 * 《[[7광구(영화)|7광구]]》(2011년) - 도상구 역 * 《[[마당을 나온 암탉(애니메이션)|마당을 나온 암탉]]》([[2011년]]) - 달수[* 작중 등장하는 [[수달]] 캐릭터. [[최민식]]과 더불어서 이 작품에서는 최고의 더빙을 선보였다.] 역 * 《[[몽타주(영화)|몽타주]]》([[2012년]]) - 구과장 * 《[[타워(영화)|타워]]》([[2012년]]) - 김길수 역 * 《[[후궁: 제왕의 첩]]》([[2012년]]) - 약방 내시 역 * 《[[또 하나의 약속]]》 ([[2014년]]) - 상구 역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2014년]]) - 스님 역 * 《[[약장수#s-2]]》 ([[2015년]]) - 철중 역 * 《[[조선마술사]]》 (2015년) - 기탁 역 * 《[[나쁜놈은 죽는다]]》 (2016년) * 《[[인천상륙작전(영화)|인천상륙작전]]》 (2016년) - 남기성 역 * 《[[재심(영화)|재심]]》 (2017년) - 황계장 역 * 《[[악녀(영화)|악녀]]》 (2017년) - (우정출연) 숙희부 역 * 《[[용순]]》 (2017년) - (우정출연) 교무주임 역 * 《[[아이 캔 스피크]]》 (2017년) - 양팀장 역 * 《채비》 (2017년) - 박계장 역 * 《[[배반의 장미(영화)|배반의 장미]]》 (2018년) - 광기 역 * 《대부업자: 소울 앤 캐시》 (2018년) - 사 의원 역 * 《[[리벤져(2018)|리벤져]]》 (2018년) - 이파 역 * 《[[언더독(2018)|언더독]]》 (2019년) - 짱아 역 (목소리) * 《[[나의 특별한 형제]]》 (2019년) - 송주사 역 * 《[[미스터 주: 사라진 VIP]]》 (2020년) - (특별출연) 버스기사 역 * 《[[소리꾼]]》 (2020년) - 대봉 역 * 《[[이웃사촌(영화)|이웃사촌]]》(2020년) - (특별출연) 민노국 역 * 《[[새콤달콤(영화)|새콤달콤]]》 (2021년) - 총괄팀장 역 * 《[[기적(영화)|기적]]》 (2021년) - 영주역장 역 * 《[[태일이]]》(2021년) - 재단사 신씨 역 * 《[[소년들]]》(2023년) - 과장 역 === 연극 === * 《대한민국 김철식》 - 김철식 역 * 《연극열전 2》늘근도둑 이야기 - 덜 늘근 도둑 역[* '늙은'의 오타가 아니다.] * 《주머니속의 돌》 - 김갑택 역 === 광고 === * 《[[참이슬]] fresh》- [[하이트진로|진로]] (뉴하트 드라마 팀 공동) * 《찰떡 와플》- [[롯데제과]] * 《올림픽선수단선전기원캠페인 이모양편》- 공익광고 * 《프로야구 H3》- [[엔씨소프트]] * 《[[T전화]]》- [[SK텔레콤]] === 방송 === * [[김승우의 승승장구]] * [[아빠를 부탁해]] * [[좋은 아침]] * [[냉장고를 부탁해]]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 * [[차이나는 클라스]] * [[주먹쥐고 소림사]] * [[비정상회담]]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 식사 하셨어요? * 청춘, 희망을 품다 * 주문을 잊은 음식점 === 그 외 === * 1988년 노동연극 전문극단 현장 입단 * 2008년 제4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홍보대사 * 2010년 [[전태일]] 40주기 홍보대사 == 수상 정보 == * 2005년 [[KBS 연기대상]] 남자 조연상 《불멸의 이순신》 * 2008년 제5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남자조연배우상 《화려한 휴가》 * 2008년 [[MBC 연기대상]] 조연배우 부문 황금연기상 《뉴하트》 * 2010년 골든티켓 어워즈 연극배우부문 티켓파워상 * 2010년 제6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남우조연상 《시라노 연애조작단》 * 2015년 제35회 황금촬영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약장수》 == 여담 == * [youtube(liOsYMPoDIs)] [[2010년]]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에서는 '''시상 소감'''을 발표해 큰 웃음을 선사했다. * [[파일:박철민/시구.jpg|width=400]] [[왼손잡이]]이다. * [[KIA 타이거즈]] 골수 팬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사회인 야구단 비광의 감독을 맡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8&aid=0003226738|있다.]][* 2007년 개봉한 영화 [[스카우트(영화)|스카우트]]에 출연하여 '''비광''' 이라는 시를 써서 읊는 장면이 나오는데, 마침 스카우트가 야구 관련 부분이 나오기도 해서 팀을 창단했다고 한다.][* 사회인야구리거들 사이에선 야구환자로 유명하다. 하루에 두 게임씩 뛰는 것은 예사이며,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폼에서 나오는 빠른 직구와 절묘한 커브는 3,4부 수준에선 대응이 어려울 정도.] * [[이한열]] 열사와 중학교 동창이었다고 한다. * [[김명민]]의 익살스런 부하 역을 맡은 일이 2번 있어서 넘버 3의 이미지가 있다. [[불멸의 이순신]]과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 * [[박중훈]]과 절친한 사이이다.~~둘다 시상소감으로 유명하다~~ * 라디오 [[최화정의 파워타임]]에 출연했을 당시, [[아프니까 청춘이다]]에 대해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5241&yy=2014#axzz3PYgV4xaw|"쓰레기와 같다. 아프면 환자다"며 일침을 가했다.]] 이후 [[비정상회담]]에 출연했을 때는 해당 발언이 과격하였다고 말했다. 자고로 김대승 감독 작품에 모두 출연한 바가 있다. * [youtube(4vbvjFos_MQ)] 어머니의 치매 때문에 상당한 고충을 겪고 있는 듯하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31791163|#]]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했을 때는 엄마 손 밥상을 메뉴로 정해 조기매운탕, 가지무침, [[카스텔라]]를 먹고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손맛을 다시 느낄 수 있어 행복했다며 눈물을 흘려 감동을 안겨주었다. * [[문재인]] 대통령 당선 후, '찾아가는 대통령 치매 국가 책임제'에 참석하기도 했다. 여기서 애드립으로 자신이 한 연기를 선보이다가 문재인 대통령을 찍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이를 웃으면서 받아줬다고 한다. <냉장고를 부탁해>에 출연해서 여성분을 찍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당시 투표에서는 심상정 후보를 찍은 것으로 보인다. * [[조재현]]과 오랫동안 같은 소속사에 있었고, 이 때문에 친분이 상당한 듯하다. 조재현의 감독 데뷔작에 카메오 출연을 하기도 했고, 조재현의 딸 조혜정에게 술을 가르친 장본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빈도는 낮지만, 같이 예능에 출연하면 서로를 스스럼없이 디스한다. * 정치 성향은 [[19대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를 지지했을 정도로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의외로 보수적 영화로 평가받은 [[인천상륙작전(영화)|인천상륙작전]]에 출연하기도 해서 정치성향에 구애받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 지위가 높은 사람을 닮았다. 물론 그 지위가 높은 정치인들은 날카롭고 도시적이라면 박철민은 순둥순둥 시골스타일. [[김재규]] 중앙정보부장과 닮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김재규와 닮은 또다른 인물인 [[정해균]]과 박철민을 비교해보면, 박철민은 순하고 둥그러워 보이고 [[정해균]]은 날카롭고 도도한 이미지라 기본적으로는 서로 인상이 많이 다르다. 그리고 [[도조 히데키]] 내각총리대신과 닮았다. 한국 드라마에 도조가 등장하게 된다면 1순위. * 명대사로는 "박수 쳐.", "이것은 입에서 나는 소리가 아니여."가 있다. 또한 최고 유행어는 뉴하트에서 담당한 배역 배대로의 뒤질랜드가 있다. [[분류:동구(광주) 출신 인물]][[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88년 데뷔]][[분류:1966년 출생]][[분류:학생운동가]][[분류:민주운동가]][[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