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 4.3 사건)] [[파일:박진경.jpg]] 맨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박진경이다. [목차] == 개요 == 朴珍景 [[1920년]] ~ [[1948년]] [[6월 18일]] [[대한민국]] [[건군기]]의 [[군인]]. [[제주 4.3 사건]]의 초기 강경진압작전에 책임이 있는 인물로 부하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密陽).[[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2909|#]] == 생애 == 1920년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무림리에서 [[대정익찬회]] 간부의 아들로 출생했다. [[진주고등학교|진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여 [[일본]] [[오사카대학|오사카외국어대학]] [[영어영문학과|영어과]]에서 공부하였다. [[태평양 전쟁]] 때에는 학병으로 징집되어 일본육군공병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도]]에서 [[일본군]] 38군단 소속으로 복무하였다. [[8.15 광복]] 이후에는 대학에서 영어과를 졸업한 경력을 살려 [[조선경비대]]에서 활동하여 [[미군정]]의 호감을 샀다. 그리하여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인사국장과 11연대장 등을 거쳤다. 1948년 5월 6일 [[제주 4.3 사건]] 당시 [[김익렬]]의 뒤를 이어 조선경비대 제9연대장이 되었다. 무장대와의 평화적인 해결과 선무공작을 중시하던 김익렬과 달리 박진경은 강경한 진압작전을 펼쳐 제주도민 수천여 명을 무차별 체포하였다. 그가 부임한 지 한 달 열흘만(1948년 5월 6일 ~ 6월 18일)에 소위 '포로'만 6,000여 명에 달했다. 이로 인해 1948년 6월 1일 [[대령]]으로 재빠르게 승진한다. 하지만 6월 18일, 승진축하연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와 잠을 자는 도중 새벽 3시 15분경 부하 문상길 중위 등에 의해 총알 2발을 맞고 암살됐다. 문상길은 이후 재판에서 박진경이 '''"[[학살|우리나라 독립을 방해하는 제주도 폭동사건을 진압하기 위해서는 제주도민 30만을 희생시켜도 무방하다]]"'''고 그의 진압작전을 비판했다. 한편 미국 [[CIC]]에서 9연대 병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의 군인들이 존경하는 군인으로는 [[김익렬]], 증오하는 군인으로는 박진경을 각각 꼽았다고 한다. [[김익렬]]은 훗날 이 설문조사 결과를 자신의 [[수기]]에 적어놓았다. 박진경의 장례식은 육군장 제1호로 치러졌으며 문상길을 비롯한 암살자들은 재판을 받고 1948년 9월 23일 총살형에 처해졌다. == 논란 == [[제주 4.3 사건]] 진압 당시에 사망한 것이기 때문에 그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국가유공자]]로 취급되어 왔었다. 당장 제주도에서는 충혼묘지에 그의 [[http://www.jejuhistory.co.kr/bbs/view.php?id=local&page=4&sn1=&divpage=1&sn=off&ss=on&sc=on&cate=type&cate_no=18&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10|추도비]]가 1952년 세워졌고, 1968년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남해군]] 군민공원에는 1990년 그의 [[http://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9|동상]]까지 세워졌다. 특히 그의 고향인 남해에서는 그의 [[양자(가족)|양자]]인 국회의원 [[박익주]]의 영향력까지 겹치며 '창군 영웅'으로까지 여겨졌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4.3 당시 그가 시행했던 무차별 체포작전이 정말로 4.3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었냐부터 이전 사령관인 [[김익렬]]과의 비교에 이르기까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남해에서는 2005년에 그의 동상을 철거하려는 움직임이 시민단체들로부터 일었으나 동상은 현재도 여전히 남아 있다. 2017년에는 [[창원시]]의 현충일 추념식에서 박진경의 위패가 경남대표로 올라가 물의를 빚기도 했다. 한편 연구가 박명림은 그의 토벌작전에 대해 이렇게 평가하였다. >박진경은 이러한 무차별 체포 작전은 경비대의 힘을 과시함으로써 일반 민중들에게 두려움을 심어주고, 유격대와 그들을 분리시켰으며 유격대를 더욱 깊은 산 속으로 몰아넣었다는 점에서는 성공이었다. 그러나 그의 작전은 민중들이 그때까지 갖고 있던 경비대에 대한 상대적 호감을 반감으로 전환시켰으며 경비대 내부를 동요시켰고 유격대에게 경비대도 경찰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적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더 큰 대립과 갈등을 불러 일으켰으며, 그들을 더욱 깊은 산 속으로 몰아넣음으로써 '''사태를 오히려 장기화시켰다'''는 점에서 실패였다." == 기타 == SBS 드라마 [[야인시대]] 75화에서 9연대장이 좌익에게 피살당했다며 잠시 언급된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20년 출생]][[분류:1948년 사망]][[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태평양 전쟁/군인]][[분류:남해군 출신 인물]][[분류:밀양 박씨]][[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분류:암살된 인물/한국사]][[분류:제주 4.3 사건/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