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박지은 [br] 朴鋕恩 / Pak Chi-eun}}}''' || ||<-2> [[파일:0321-h3.jpg|width=300]] || || '''{{{#white 직업}}}''' || [[바둑기사]] || || '''{{{#white 소속}}}''' || [[한국기원]] || || '''{{{#white 생년월일}}}''' || [[1983년]] [[11월 4일]]([age(1983-11-04)]세)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white 출신지}}}''' || [[경기도]] [[부천시]] || || '''{{{#white 입단}}}''' || [[1997년]] || || '''{{{#white 단급}}}''' || 九단 || || '''{{{#white 누적우승경력}}}''' || 9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여성 [[프로]] [[바둑]] [[기사(바둑)|기사]]. 1983년 11월 4일 생. 프로 바둑 기사의 길을 가기 위해 중학교를 중퇴한다. 그 후 1997년 14세라는 나이에 프로에 입문한다. 2008년 원양부동산배 우승으로 승단하면서 한국 최초의 여성 九단이 되었다. [[대한민국]] 대회는 [[루이나이웨이]]는 물론 [[조혜연]]에게도 밀리는 편이지만, 국제대회에만 나가면 돌변하여 좋은 성적을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냥 좋은 성적이 아니라 가히 독보적인 수준. 2007년 12월 이후 5년간 박지은의 국제기전 전적은 36승 5패 승률이 무려 87.5%다. 여류 최강 [[루이나이웨이]]와의 통산 상대 전적은 10승 14패로 다소 밀리는데, 국제기전 전적만 놓고보면 6승 1패로 오히려 크게 앞선다. 박지은이 얼마나 국제전에 강한지 알 수 있는 사례. 국제대회때 상당히 강해 승부사의 면모를 보여줬다. <세계대회 개인전 타이틀> 총 5회 * 2004년 [[정관장배]][* 이 때까지는 개인전. 2005년부터 단체전으로 바뀜.] * 2007년 대리배 * 2007년 [[원양부동산배]] * 2010년 [[궁륭산병성배]] * 2011년 궁륭산병성배 물론 단체전에서도 한국팀의 마지막 수호신 역할을 수행하며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2010년 정관장배에선 마지막 4연승으로 역전우승시켰고, 2011년엔 최종전에서 [[루이나이웨이]]를 꺾고 2연패를 직접 완성하였다. 2012년 2월 현재 한국 여류 [[기사(바둑)|기사]] 랭킹 1위 고수 중. [[조혜연]]과 함께 한국 여자 바둑계의 투톱이라 할 수 있다. 다만 2014년 언저리부터 여성 [[기사(바둑)|기사]] 1위는 [[최정(바둑기사)|최정]]으로 바뀌었다. [[일본]] [[만화]] [[히카루의 바둑]]에도 박지은에 대한 내용이 있다. 스토리상에 나오는 건 아니고, 각화 중간에 나오는 잠깐 한마디 코너(구판기준 19권 172쪽)에 여성[[기사(바둑)|기사]]에 대한 내용 중 간접적인 언급이 있다. "2000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루이나이웨이|여성기사]]가 [[국수전|일반기전의 타이틀]]을 따냈습니다. 그리고 2002년에는 약관 18세의 한국 여성[[기사(바둑)|기사]]가 일본의 명인을 국제기전에서 이겼습니다." 여성[[기사(바둑)|기사]]의 약진에 대한 내용인데, 여기서 [[2002년]] [[일본]]의 명인을 국제기전에서 이긴 약관 18세의 한국 여성 [[기사(바둑)|기사]]가 박지은이다.(2002년 도요타덴소배 본선에서 당시 일본 명인 [[요다 노리모토]] 九단에게 승리) [[2013년]]부터는 [[조혜연]] 9단과 같이 [[미국]]과 [[영국]], [[유럽]] 등 구미 [[선진국]]에 바둑을 전파하는 보급기사 역할을 겸임하고 있다. 1년에 절반은 해외에서 보낸다. [[파일:Honeycam 2016-08-13 20-41-16.gif]] [[2016년]] [[한국여자바둑리그]] 승리 세리머니. 2017년 4월에 국내 여자 기사로는 최초로 1천 대국을 소화했다. [[프로연우]]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5국]] 중계 당시 [[조혜연]] 9단과 같이 게스트로 나왔다. 여기서 시청자들이 채팅창에 [[스누피]]를 비롯한 온갖 닮은 꼴을 거론하는 모습을 보고 [[멘붕]]하는 모습을 보여줬다.(...)--[[조혜연]] 9단에 대한 [[유재석]] 드립은 덤.(...)-- 그 와중에서도 알파고의 다음 수를 여러 차례 맞추는 모습을 보면서 괜히 9단이 아니란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2017년부터는 성적이 예전에 비해서는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언제라도 상위 탑권에 갈 수 있는 기본기 탄탄한 바둑인이므로, 바둑판 앞에 앉으면 항상 기대감을 가질 수 있다. [[2018년]] [[9월 17일]]부터 1년간 [[한국기원]]에 휴직계를 제출하고 휴직하기로 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70&aid=0000003918|기사]] [[이슬아(바둑)|이슬아]] 五단은 [[유학]]을 간다. 2020년 7월 여자 프로 바둑 기사로는 두번째로 통산 600승의 업적을 달성했다. 거의 단발머리 스타일을 고수하고 있으며, 웃는 모습이 해맑다. 2020년 말 바둑 분야 유튜버로 [[https://www.youtube.com/channel/UCsCVtdS8ezMdtcXtCSsQAtw|채널]]을 열었으며, 차분한 외모처럼 안정적이고 성실함에 호평을 받고 있다. 위에 서술한대로 예년에 비해 성적이 저조한 편에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18년에 휴직을 내기도 하던 끝에 결국 [[한국여자바둑리그/2021시즌|한국여자바둑리그 2021시즌]]부터 불참을 선언했는데, [[http://naver.me/x8lINbJ8|인터뷰]]에서 "승부에 대한 열정이 식었다."고 밝히며 앞으로는 이벤트성 행사와 [[대주배]], [[지지옥션배]] 같은 제한 기전에 주로 나설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2시즌|여자선수 참가자격이 완화된 시즌의 시니어리그]] 참가신청에는 거절했다. 참가자격에 제한은 있기는 하지만(여자, 시니어) '''어쨌거나 "리그"라서'''..[* 리그 특성상 승부 바둑을 해야 하는데, 본인이 과거 인터뷰에서 밝혔던 것이 있던 만큼 참가하는 것이 모순일 수 밖에 없었다.] 현재는 유튜브외에 [[K바둑]]에서 여자바둑기전 위주로 해설자로 활약하고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지은, version=76)] [[분류:1983년 출생]][[분류:바둑 기사/한국]][[분류:부천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