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청주 KB 스타즈/선수단)] ---- ||<-2>
'''{{{#000000 박지수의 수상 이력}}}'''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ffffff '''보유 기록'''}}} || || 최연소 정규 리그 MVP || 20년 3개월 5일 (7,401일) || || 최연소 챔피언 결정전 MVP || 20년 3개월 19일 (7,415일) || || 역대 2번째 만장일치 정규 리그 MVP || 20년 3개월 5일 (7,401일) || || 역대 6번째 통합[* 정규 리그 및 챔피언 결정전] MVP || 20년 3개월 19일 (7,415일) || || 단일 시즌 전 경기 더블더블 || 역대 최초 || || 최다 라운드 MVP || 13회 || ---- ||<-5>
'''W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반지''' || || '''{{{#000000 2019}}}''' || '''{{{#000000 2022}}}''' || ---- ||<-4> '''클럽'''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D7AD59 '''한국여자프로농구 블록상'''}}}}}}||<-3> 2017-18, 2018-19, 2019-20, 2020-21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틀:WKBL 역대 리바운드상|{{{#D7AD59 '''한국여자프로농구 리바운드상'''}}}]]}}}||<-3>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D7AD59 '''윤덕주상(최고공헌도)'''}}}}}}||<-3> 2017-18, 2018-19, 2020-21, 2021-22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D7AD59 '''우수수비 선수상'''}}}}}}||<-3> 2017-18, 2018-19, 2019-20, 2021-22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D7AD59 '''한국여자프로농구 라운드 MVP'''}}}}}}||<-3>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6-17 5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7-18 1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7-18 3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7-18 6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8-19 1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8-19 3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9-20 1R]], [[틀:WKBL 라운드 MVP/2015~2020|2019-20 5R]], [[틀:WKBL 라운드 MVP/2020~2025|2020-21 1R]], [[틀:WKBL 라운드 MVP/2020~2025|2020-21 3R]], [[틀:WKBL 라운드 MVP/2020~2025|2021-22 1R]], [[틀:WKBL 라운드 MVP/2020~2025|2021-22 3R]], [[틀:WKBL 라운드 MVP/2020~2025|2021-22 4R]]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height=4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9em" {{{#D7AD59 '''한국여자프로농구 베스트 센터'''}}}}}}||<-3> [[틀:WKBL 베스트5/2015~2020|2017-18]], [[틀:WKBL 베스트5/2015~2020|2018-19]], [[틀:WKBL 베스트5/2015~2020|2019-20]], [[틀:WKBL 베스트5/2020~2025|2020-21]], [[틀:WKBL 베스트5/2020~2025|2021-22]] ||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16-17 wkbl 로고.png|width=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신인왕|{{{#D7AD59 '''2016-17 신인상'''}}}]]}}}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18-19 wkbl 로고.jpg|width=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MVP|{{{#D7AD59 '''2018-19 정규리그 MVP'''}}}]]}}}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18-19 wkbl 챔결 로고.png|width=4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D7AD59 '''2018-19 챔피언 결정전 MVP'''}}}]]}}} || [[한국여자프로농구 올스타전|[[파일:19-20 wkbl 올스타전 로고.jpg|width=7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D7AD59 '''2019-20 올스타전 MVP'''}}}}}} ||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 wkbl 로고.jpg|width=10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MVP|{{{#D7AD59 '''2020-21 정규리그 MVP'''}}}]]}}}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 wkbl 로고.jpg|width=10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득점왕|{{{#D7AD59 '''2020-21 득점상'''}}}]]}}}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 wkbl 로고.jpg|width=10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D7AD59 '''2020-21 2점 야투상'''}}}}}}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22 wkbl 로고.jpg|width=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MVP|{{{#D7AD59 '''2021-22 정규리그 MVP'''}}}]]}}} ||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1-22 wkbl 챔결.png|width=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D7AD59 '''2021-22 챔피언 결정전 MVP'''}}}]]}}}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22 wkbl 로고.jpg|width=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틀:WKBL 역대 득점왕|{{{#D7AD59 '''2021-22 득점상'''}}}]]}}} || [[한국여자프로농구|[[파일:2021-22 wkbl 로고.jpg|width=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83090; font-size: 0.7em" {{{#D7AD59 '''2021-22 2점 야투상'''}}}}}}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8b500 0%, #f8b500)" {{{+1 {{{#000000 '''청주 KB 스타즈 No.7'''}}}}}}}}} || ||<-3> {{{+1 {{{#000000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No.19'''}}}}}}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yer_19_1.jpg|width=100%]]}}} || ||<-3> '''{{{+2 박지수}}}[br]朴智修 | Park Ji-Su''' || ||<|2><-2> {{{#000000 ''' 출생 ''' }}} ||[[1998년]] [[12월 6일]] ([age(1998-12-06)]세) || ||[[경기도]] [[성남시]] || ||<-2> {{{#000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2> {{{#000000 ''' 학력 ''' }}} ||화서초등학교 {{{-2 (졸업)}}}[br][[청솔중학교]] {{{-2 (졸업)}}}[br][[분당경영고등학교]] {{{-2 (졸업)}}} || ||<-2> {{{#000000 ''' 가족 ''' }}} ||아버지 [[박상관]], 어머니 이수경[* 배구 선수 출신], 오빠 [[박준혁(배구선수)|박준혁]], 사촌 동생 [[선상혁]] || ||<-2> {{{#000000 ''' 신체 ''' }}} ||196cm(6' 5")[* 미국에서 잰 신장이다. [[대한민국]]에서 잰 신장은 193cm이지만 더 성장했다. 맨발 196cm / 착화 신장 198cm] | 93kg(206 lbs) | O형 | 300mm|| ||<-2> {{{#000000 '''포지션''' }}} ||[[센터(농구)|센터]]|| ||<-2> {{{#000000 ''' 프로 입단 ''' }}} ||[[2017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17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1순위, [[청주 KB 스타즈|청주 KB]])}}} [br] 2018 WNBA 드래프트 {{{-2 (2라운드 5순위, MIN)}}} || ||<-2> {{{#000000 ''' 소속 ''' }}} ||'''[[청주 KB 스타즈]] {{{-2 (2016~ / [[한국여자프로농구]])}}}''' [br]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2 (2018~ / [[WNBA]])}}} || ||<-2> {{{#000000 ''' 링크 ''' }}} ||[[https://www.instagram.com/jisupark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2> {{{#000000 ''' 응원가 ''' }}} ||[[방탄소년단]] - [[Dynamite]][*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에 사용.][br]현재: [[NewJeans]] - [[Hype Boy]]||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여자프로농구]] [[청주 KB 스타즈]] 소속, [[WNBA]]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 소속 [[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 현재 여자 프로 농구 역대 최상위의 센터 중 한 명이다. [[분당경영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2016 신인드래프트에서 청주 KB 스타즈에 1순위로 지명 받아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분당경영고를 여자 농구 최강으로 만드는 활약을 했다. 2014년 고1 시절, 종별선수권, 전국체전 대회에서 우승했다. 2015년 고2 시절, 한국여자프로농구 총재배, 협회장기, 연맹회장기, 주말리그 왕중왕전, 전국체전 우승을 이끈다. 한국여자프로농구 총재배대회와, 연맹회장기 대회에서는 MVP를 차지한다. 2016년 고3 시절, 춘계, 협회장기, 연맹회장기, 주말리그 왕중왕전 우승을 이끈다. 춘계대회 MVP를 차지한다. U-19 대회에서는 엄청난 활약을 보여줬다. 참고로 이 때 나이는 15세 밖에 안 된 나이로 1~2살 차이만으로 엄청난 차이가 나는 유망주 레벨에서 3-4살 차이 나는 선수들을 상대로 활약한 것은 대단한 것이다. 분당경영고 3학년 시절, 나윤정, 차지현 등과 함께 독립영화 <소은이의 무릎>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성인 농구대표팀에도 승선해서 대표팀의 중심이 돼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권을 따내기 위해 분전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FIBA에서도 '''한국의 박지수는 아직 17세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녀의 성장세와 재능은 깜짝 놀랄 정도다. 많은 세계대회를 거친 196cm 거구의 그는 낭트에서 지켜봐야 할 선수'''라고 소개한 바 있다. 리우 올림픽 최종예선 조별 경기에서 [[나이지리아]]와의 경기에서 4득점 16리바운드 2블록, [[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13득점 14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기록하며 경기 MVP로 꼽혔다.[* 리바운드의 경우 15개로 대회 평균 1위 달성.] 특히 경기 2분여를 남겨두고 65:64로 뒤지던 상황에서 포스트업 이후 그림같이 올려놓은 역전 언더슛은 그녀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는 무브였다. 이후 [[벨라루스]]와 최종전 재대결에서 패하면서 아쉬움을 남겼지만, 고작 만 17세의 소녀가 매 경기 10개 이상의 리바운드를 잡아내며 국가대표팀의 기둥 역할을 수행해내는 것을 보면 대단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진출에 실패한 후 인터뷰에서 아쉬움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앞으로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면 [[정은순]](혹은 [[신정자]]) 이후 대가 끊긴 대한민국 여자농구 센터 계보를 이을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101701220_0.jpg|width=100%]]}}} || || 박지수의 위상을 알려주는 사진 || 당연히 2016 드래프트 최대어로 떠올랐고 추첨 결과 박지수를 데려갈 1순위 팀은 [[청주 KB 스타즈]]가 되었다. KB 스타즈가 전체 1순위가 되는 순간 [[안덕수(농구)|안덕수]] 감독이 엄청나게 기뻐했다.[* KB는 총 21개 구슬 중 총 3개, 고작 14.3%의 확률이었는데 이게 뽑혔다(...).] 미리 박지수 이름, 배번 마킹한(....) 유니폼[* 현재는 19번을 달고 뛰고 있지만 드래프트 당시 유니폼에는 15번으로 마킹되어 있었다.]까지 감독이 직접 입혀주고 감독이 직접 큰절 세레머니까지 하는 등 기쁨의 도가니. ~~그 와중에 여농팬들은 우승 한 번 해야하지 않겠냐며 [[변연하|변코비]]에게 은퇴를 번복하라고 진지하게 권유하고 있다.~~ 참고로 [[KBS N 스포츠]] 아나운서 [[오효주]]가 1순위 추첨을 하였다. 이후 개막전 시구자로 초청되었다. 이후 발등 부상으로 경기에 나서지 못하다가 [[2016년]] [[12월 17일]] [[아산 우리은행 위비|우리은행]]전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 프로 시절 === ==== [[청주 KB 스타즈]] ==== 부상으로 시즌 초반에 못 나오다가 시즌 중반부터 나왔는데, 더블더블에 가까운 평균 스탯을 보여주며 팀에 공헌을 하고 있지만... ~~그 팀이...~~ 2017년 2월 3일 경기에서 1위 팀 ~~레알~~ [[아산 우리은행 위비]]를 상대로 '''30점 21리바운드 5블록'''이라는 남자 농구 외국인 선수들도 자주 나오기 힘든 스탯을 보여주며 팀을 2차연장 끝에 승리[* 참고로 2016~17 시즌 우리은행이 2패만 당했는데, 그 2패 중 한 경기이다.]로 이끌었다. [[양지희]]가 부상으로 결장했다고 --하지만 '''존쿠엘 존스'''라는 리그 최고의 외국인 선수를 압도하는 플레이를 보여줬으니 폄하할 것이 절대 아니다!!-- 엄밀히 말하면 존스를 압도한 게임은 아니었다. 이날 우리은행은 커리를 1,3쿼터 존쿠엘 존스를 2,4쿼터에 기용했는데, 전반에는 2쿼터 3분 남겼을때부터 박지수와 존스가 같이 플로어에 있었다. 거기다가 매치업도 존쿠엘 존스는 KB용병이었던 피어슨이나 카라랑 매치업이었다. 4쿼터에는 시작부터 박지수랑 존스가 코트에 있었으나, 매치업은 여전히 존스-피어슨, 박지수-김단비 매치업이었다. 거기다가 존쿠엘 존스는 이날 4쿼터 3분여를 남기고 5반칙 퇴장을 당한다. 박지수가 이 경기에서 득점을 집중시켰던건 4쿼터 막판부터 2차연장 끝날 때까지였으므로, 존쿠엘 존스를 압도했다는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 박지수의 매치업은 주로 김단비였다. 물론 30득점-20리바운드는 대단한 기록인건 틀림없다. [[2000년]] [[1월 10일]] [[정은순]]의 32점 20리바운드 이후로 '''17년 만의 여자농구 30-20'''이라는 사실은 덤이다. 2016-17 시즌 정규리그 종료 후 경쟁자였던 [[김지영(농구선수)|김지영]]과 [[진안(농구선수)|진안]]을 제치고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17-18 시즌 개막전 9득점 18리바운드 8어시스트 트리플 더블급의 기록을 작성하며 20-20을 기록한 단타스와 함께 KDB의 골밑을 박살냈다. 그 뒤로도 잘하고 있으나 체력적 문제가 거론되는데 평균 38분씩 출전하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8-19시즌 11월 11일 청주 홈에서 열린 [[부산 BNK 썸|수원 OK저축은행 읏샷]]과의 경기에서 12득점 16리바운드 10어시스트 4블록으로 프로 진출 첫 트리플 더블을 기록했다. 11월 18일 KEB 하나은행 원정 경기에서 11득점 22리바운드 10어시스트 2스틸 3블록으로 시즌 2호 트리플 더블을 기록했다. 참고로 상대팀이었던 하나은행 팀리바운드가 총 22리바운드였다. 상대팀 리바운드 수치만큼을 개인이 잡아낸것이다. 11월 22일 2018-2019 여자프로농구 1라운드 MVP에 선정되었다. 기자단 투표서 61표 중 35표를 획득 21표에 그친 [[아산 우리은행 위비|우리은행]]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을 제치고 수상에 영예를 가졌다. 1라운드 5경기서 평균 약 34분을 뛰며 10점 13리바운드 5어시스트 2스틸 3블록으로 여러 부분에서 맹활약, 자신의 전성시대를 알렸다. 1라운드 종료 기준 어시스트-블록 1위이다. 다만 몇몇 팬들은 WNBA에서 뛰고 온 박지수는 다방면에 잘하는 선수인데 센터로써 골밑 득점을 많이 올리고 좀 더 리바운드에 적극성을 보이기를 바라고 있다. 그럴 것이 KB스타즈에는 카일라 쏜튼이라는 득점을 많이 해주는 선수가 있는데 너무 그에게 쏠리다 보면 공격이 단조로워질 수 있으니 박지수가 패스와 수비에만 신경 쓰지 말고 득점을 더 올릴 필요가 있다는 것. 12월 9일 청주에서 열린 1위 우리은행과의 경기에서 14득점 23리바운드로 개인 최다 리바운드 타이를 세우며 팀의 60-59 승리를 도왔다. 팀은 에이스 쏜튼의 맹활약에 힘입어 막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공동 1위에 등극했다. 12월 12일 부천에서 열린 [[부천 하나원큐|부천 KEB하나은행]]과의 경기에서 10득점 10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기록했지만 4쿼터 막판 5반칙 퇴장을 당해 팀의 69-75 패배를 지켜보아야만 했다. 이 패배로 다시 2위로 떨어졌다. 2018-19시즌 팀을 정규리그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2019년 3월 11일에 열린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역대 최연소이자 두 번째로'''[* 첫 번째 만장일치 정규리그 MVP는 [[정선민]].] 만장일치 MVP를 수상하였다. 이날 시상식에서 정규리그 MVP, 윤덕주상, 베스트5을 포함해서 무려 '''6관왕'''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약은 챔프전까지 이어져 마침내 '''팀의 프로 출범 이래 첫 통합 우승'''을 이끌었고, '''기자단 투표 만장일치(83표 중 83표)로 역대 최연소 챔프전 MVP를 차지했다.''' ||
[[파일:박지수 챔결 mvp.jpg|width=100%]] || || '''2018-19 한국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MVP''' || 2019-20시즌 부산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MVP를 수상했다. 2020-21시즌의 박지수는 그냥 '''완전체 그 자체'''. 전무후무한 '''전경기 더블더블'''에 득점 1위, 블록 1위, 리바운드 1위, 2점 야투 1위까지 기록 4관왕에 올랐다. 용병선수를 협회에서 제한해버리자 박지수를 막을 수 있는 팀이 없었다. 그런데 아이러니한건 이러고도 KB는 정규시즌 우승을 못했다.(...) 하지만 MVP는 따놓은 양상이었고 결국 기자단 108표 중 76표를 쓸어담으며 '''개인 통산 두 번째 정규시즌 MVP'''를 차지했다. 준우승팀에서 MVP가 나온 건 역대 두 번째.[* 첫 번째는 2012-13시즌의 [[신정자]].] 박지수는 시즌 시상식에서 MVP를 포함하여 무려 '''7관왕'''[* 기록상 4개 & 윤덕주상 & 베스트5 & MVP]을 기록하며 한 시즌 역대 최다 수상을 기록했다. 4강 PO에서는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을 만났는데 1차전에서는 23득점 27리바운드, 2차전에서는 22점 25리바운드로 2경기 연속 더블 더블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그 덕분에 팀도 2승 무패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다.[[https://star.mt.co.kr/stview.php?no=2021030220560797139|#]] 챔피언 결정전 상대는 정규시즌 우승팀 우리은행을 패승승으로 꺾고 온 삼성생명. 1차전에서 분전했으나 팀은 패배했다. 23득점 9리바운드 4어시스트로 활약했지만, 한끗 차이로 더블더블은 실패하며 리그+포스트시즌 전경기 더블더블은 놓쳤다. 2차전에서 20득점 16리바운드 7어시스트로 더블더블을 다시 찍으며 에이스 몫을 다했다. 하지만 팀은 4쿼터에 대역전을 허용한 후 연장전에서 패배했다. 박지수도 체력이 방전되면서 김한별에게 마지막 위닝샷을 허용했다. 홈에서 열린 3차전에서는 30득점 16리바운드로 골밑을 폭격했다. 이는 역대 챔피언 결정전 한 경기 최다득점 기록. 1~2차전에서 좋은 활약을 하고도 삼성 김한별의 맹활약을 제어하지 못하며 아쉽게 패했던 것을 만회했다. 4차전에서도 21득점 19리바운드로 20-20에 가까운 스탯을 쌓으며 팀 승리의 1등 공신이 되었다. 하지만 결국 5차전에서 눈에 띄게 체력이 지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럼에도 17득점 15리바운드로 더블더블을 찍으며 분전했지만, 팀 동료들은 오히려 박지수를 더 힘들게 하는 삽질을 일삼았다. 결국 팀은 완패하며 역대급 업셋의 희생양이 되어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안덕수 감독이 자진사퇴로 물러나고 [[강이슬]]이 영입되어 다음 시즌에는 행복농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1월 17일 BNK 썸과의 원정경기에서 32득점 18리바운드라는 괴물같은 스탯을 찍었다. 특히 하이라이트는 6.9초를 남겨 놓고 81-79로 역전하는 위닝 샷 앤드원을 얻어낸 장면[[https://sports.news.naver.com/basketball/vod/index?category=wkbl&tab=&listType=total&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879476&page=1|영상]] 2021년 11월 28일 하나원큐와의 경기에서는 14분 59초만 뛰고 3쿼터 초반 일찌감치 벤치로 나가 끝까지 뛰지 않았음에도 18득점 11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21년 12월 20일 BNK 썸과의 경기에서 [[김진영(1996)|김진영]]과의 충돌로 다리가 꺾이는 부상을 당하여 잠시 경기에서 빠졌지만 조금의 휴식 후 다시 경기에 투입되어 31득점 16리바운드 10어시스트로 데뷔 4번째 트리플더블을 달성했다. 2022년 1월 9일 우리은행전 8득점 14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통산 더블더블 2위의 [[정선민]]의 기록에 2득점만을 남겼지만, 지난 BNK전처럼 2쿼터 막바지에 [[박지현(2000)|박지현]]과 충돌하여 다리가 꺾이는 부상을 당했다. 들것에 실려 코트를 나왔으며 이번에는 3, 4쿼터에 출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팀은 박지수의 부상 이후 20점차까지 크게 앞서던 경기를 1점차까지 추격당했지만 마지막에 우리은행의 공격이 득점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어렵사리 승리했다. 큰 부상이라면 소속팀 KB는 물론이고 곧 있을 농구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는 국가대표팀에도 비상이 걸린 셈. 하지만 다행히도 발등 근육 미세 파열로 밝혀져 3~4일 간의 휴식을 취하면 회복될 수 있다고 한다. KB의 다음 경기는 14일 하나원큐전인데, KB 측은 회복 상태에 따라 출장 여부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398&aid=0000054107|#]] 그리고 하나원큐전에서는 출장하지 않으며 휴식을 취했다. 2021-22시즌 1, 3, 4라운드 MVP에 선정되며 '''[[신정자]](12번)를 제치고 역대 한국여자프로농구 최다 라운드 MVP 수상자(13번)'''가 되었다. 2022년 1월 20일 BNK전에서는 팀원들이 부진했지만 31득점, 15리바운드를 기록하며 역전승을 이끌었다. 통산 111번째 더블더블을 기록하며 정선민을 제치고 역대 더블더블 2위에 올랐다. 국가대표 경기를 치른 이후 3월 9일 경기와 3월 16일 경기에서 부상으로 못 나오다가 3월 19일 BNK전에 출장하여 팀 3연패 탈출에 기여했다. 다만 그 다음 경기였던 하나원큐전에서 8득점에 그쳤으나, 신예영-엄서이가 33점을 합작하며 팀은 2연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3월 22일 오전 코로나 19에 확진됐다는 보도가 나왔으며 따라서 박지수는 26일 신한은행전은 물론이며, 28일 시상식마저도 참여할 수 없다.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새로운 변수가 생겼으며, 이렇게 KB스타즈는 모든 선수가 전부 다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게 되었다. 2022년 3월 28일 진행된 시상식에서 '''만장일치로 정규리그 MVP'''를 차지하는 등 지난 시즌에 이어 7관왕[* 정규시즌 MVP, 베스트5, 윤덕주상, 우수수비상, 기록상 3개(득점, 리바운드, 2점 야투)]을 차지했다. 그리고 PO 1차전을 멱살 캐리 하였으나, 경기 종료 이후 타박상을 당하고 CT 확인 결과, 단순 타박상으로 확인되어 2차전 1, 2쿼터 출전을 못하고 3쿼터 겨우 나왔는데 여기서 3점 2개를 넣고 팀 진출을 이끌었고 챔프전 1차전에서도 트리플더블에 근접한 활약을 기록하며 팀의 대승을 이끌었다. 2, 3차전에서도 활약하며 3년 만의 통합 우승에 큰 공헌을 했으며 다시 한 번 챔피언 결정전 MVP를 수상했다. 2022-2023 시즌 공황장애로 빠지면서 2016-2017시즌 초반 이후 처음으로 KB스타즈는 박지수 없이 경기 중이며 복귀시기라도 잡혔던 과거와는 달리, 이번에는 올 시즌 안에 복귀할 수도 있을지 미지수. 거기에다, 반년 넘게 농구를 쉬었다 보니 당장 기량 문제도 극복해야 되는 상황. 그나마 팀의 스태프들과 대화하거나, 사직에서 열린 연습경기를 관전하는 등 곧 좋은 소식이 올 것 같다. 11월 30일부터는 팀과 동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하나원큐와의 경기에서 훈련을 하는 모습이 등장했다. 원래는 12월 2일 신한은행전부터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김민정의 코로나 확진과 강이슬의 선발 결정으로 인하여, 1경기 일찍 동행한 것이었다. 결국 12월 17일 하나원큐전에서 271일 만에 복귀했다. 이 날 경기에는 후반전에 7분 58초 출전해 2득점 2리바운드 1어시스트 2블락을 기록했다. 특히 4쿼터에 본인의 시즌 첫 득점을 만들고 엄청나게 신나게 김완수 감독과 하이파이브를 했다. 팀은 초반부터 강이슬과 김민정이 하나원큐를 폭격해 77-60 대승을 거뒀다. 12월 19일 신한은행전에서는 18분 25초 출전해 19득점 7리바운드 1스틸 1블락이라는, 이제 복귀한지 두 경기 밖에 안 된 것,그리고 18분 가량밖에 뛰지 않은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활약을 펼쳤다. 그녀의 하드캐리로 KB는 신한은행에 62-55 승리를 거뒀다. 이제 두 경기 나온 것치고는 진짜 엄청난 임팩트를 보여주고 있다. 대체 왜 KB에는, 그리고 국대에는 박지수가 없으면 안 되는지,그리고 박지수가 대체 왜 리그보다 위대한 선수라고 불리는지 보여주는 활약이었다. 12월 22일 우리은행전에는 단 1분 24초 출전해 2득점 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팔꿈치 통증의 후유증 및 일요일 신한은행전[* 현실적으로 KB의 정규시즌 목표는 4위이며 그것을 위해서는 신한은행전에서 승리를 많이 가져와야 한다.] 대비를 위해 적은 시간 출장한 것으로 보인다. 팀은 ~~당연히~~ 66:79로 우리은행에게 패배했다. 그리고 12월 25일 신한은행전에는 36분 55초[* 참고로 이 날 경기는 2차 연장까지 진행되었다.]를 뛰고 30득점 8리바운드로 스탯만 보면 엄청난 모습을 보여줬으나 평소의 박지수라면 놓치지 않을 이지샷을 꽤 놓쳤고 혼자 턴오버를 무려 7개나 범했다. 물론 박지수가 아직 몸이 안 만들어졌다는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기록이다. 팀은 신한은행과 2차 연장까지 가는 접전 끝에 79-84로 패했다. 이후 경기들에서는 선발로 출장하여 4연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에 대한 희망을 살려갔지만... 2월 1일 하나원큐전에서 왼쪽 중지를 다쳐 탈골상을 당했고 이로 인한 인대손상으로 수술을 받게 되어 4주 간 재활을 거쳐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고, 사실상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다. 팀도 이 경기를 연장 끝에 패배함에 따라 플레이오프의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69&aid=0000721634|#]] 23-24시즌부터는 등번호를 7번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 [[전미 여자 농구 협회|WNBA]] 진출 ==== 2018년 4월 12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WNBA 2018 신인 드래프트에서 2017시즌 우승팀인 미네소타 링스가 2라운드 5순위, 전체 17순위로 박지수를 지명하였다. 그리고 미네소타는 당일 박지수와 2라운드 12순위 카리아 로렌스의 우선 협상권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가 3라운드 8순위로 지명한 질 바르타, 2019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지명권과 트레이드했다. 에이시스와의 협상을 통해 WNBA에서 뛸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본인이 드래프트에 신청도 하지 않았는데 지명이 돼서''' 선수 본인과 구단 모두 매우 놀랐다고 한다. 다만 유망주 확보를 위한 WNBA의 일방적인 드래프트였기 때문에 원 소속팀인 KB 스타즈와 계약이 해결되어야 WNBA로 진출이 가능한 상황. 다행히 KB 스타즈에서도 박지수의 WNBA 진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지수가 에이시스에 입단하면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배드 보이즈 1기의 일원으로 미국 여자농구의 명장으로 자리잡은 [[빌 레임비어]] 감독의 지휘를 받게 된다. 이전까지 한국인의 WNBA 입단은 [[정선민]] 딱 1명뿐이며 시애틀 스톰에서 1시즌만 뛴 이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트레이닝 캠프에서 리바운드와 블록 팀 내 1위, 득점과 야투 성공률 팀 내 2위를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고, 이런 활약을 바탕으로 2018년 5월 18일, 한국인으로서는 15년 만[* 2003년 시애틀 스톰에서 뛴 [[정선민]] 이후 처음]에 WNBA 개막전 12인 엔트리 안에 들었다. 에이시스가 샌안토니오 시절부터 박지수가 입단한 2018년 당시에는 약체팀이었기 때문에 첫해에 기회를 제법 많이 받았다. 초반에는 버벅거리기는 했지만 점점 적응해나가는 듯 6월 13일 경기에서는 두 자릿수 리바운드를 기록하기도 했다. 8월 18일(한국시간) 댈러스와의 경기에서 102-107로 패해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어 9위로 시즌을 마쳤다. 2018 시즌은 벤치멤버로 자주 기용되면서 포지션 경쟁자인 캐롤린 스워즈와 번갈아 가며 선발 출장하면서 거의 전 경기에 출장하고 기회를 많이 받았다. 평득 2.8점 오펜스 리바운드 0.8개 디펜스 리바운드 2.5개로 그럭저럭 괜찮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2019 시즌은 올스타급 센터에 지난 시즌 WNBA 득점왕인 호주 국가대표 출신인 리즈 캠베이지가 영입이 되면서 입지가 많이 줄어들었고 예상대로 가비지 타임 멤버 끝자락으로 밀려나 평균 출전 시간이 6분대로 떨어지면서 기록도 많이 안좋아졌다. 2020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 등이 겹쳐 참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어차피 WNBA도 5월 예정이었던 리그 개막이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기도 하고. 2020년 7월 26일 WNBA가 개막했지만 박지수는 앞서 말한대로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팀은 파이널까지 갔지만 시애틀 스톰에게 내리 3연패를 당하면서 우승컵을 들지는못했다. 박지수는 한국으로 돌아오기 전 자신의 처한 상황에 대해 레임비어 감독과 면담했는데 타 팀에서 들어온 트레이드 제의에 감독은 거절 의사를 표했다. 노는언니에 출연해 스스로 언급하길 박지수는 감독이 본인의 포텐셜을 높게 보고 있으며 전경기 출장 시간을 부여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팀은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다 결승까지 올라가 2021시즌을 앞두고 대대적으로 리빌딩을 하고 좋은 선수나 경쟁자를 데려올 가능성이 많아져 박지수의 입지에 물음표가 붙은 것은 사실이다. 5월에 개막하는 2021시즌 WNBA 경기에 맞춰 4월 19일경에 미국으로 들어간다. 레임비어 감독의 재합류 요청으로 합류하는건데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는 이번 시즌에 에이스인 주전 센터 리즈 킴베이지와 재계약을 맺었다.[* 리즈도 박지수와 마찬가지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2020 시즌을 뛰지 않았고 대신 호주 WNBL 리그에 전념하며 팀이 리그 우승을 하는데 크게 일조했다.] 감독은 박지수를 3, 4번 포지션으로 종종 기용하기도 하는데 그 자리는 2020시즌 리그 MVP인 에이자 윌슨이 버티고 있다. 박지수는 포스트업과 미들슛 능력을 발전시켜 평균득점을 5점대로 끌어올려야 가비지타임 멤버에서 벗어나 식스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것이다. 그리고 한국 시간으로 5월 31일 인디애나 피버와의 경기에서 8득점 3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득점 커리어 하이를 경신했다. 특히 자유투는 6개를 모두 성공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6월 18일에는 뉴욕 리버티와의 경기에서 16분 16초를 뛰고 7득점 8리바운드 3어시스트 3블록을 기록하는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이전 경기들에서 2,3분간의 짧은 출전시간으로 입지가 불안해 보였으나 이 경기 활약으로 롤 플레이어로써의 가치를 보여주었다. 7월 1일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와의 경기에서는 20분을 출전하면서 4득점 3리바운드 2어시스트 2블록을 기록하면서 출전시간에 비해 아쉬운 기록을 냈다. 7월 5일 애틀랜타 드림과의 경기에서는 출전시간이 9분 44초에 그쳤고 기록도 3득점 2리바운드 1어시스트로 부진하였다. 팀은 118-95로 승리하면서 4연승을 기록하며 단독 선두를 달리고 있다. 사실 19시즌까지 박지수의 모습을 살펴보면 냉정히 말해 WNBA에서 별다른 임팩트를 보이지 못했다는 게 사실이다. 18시즌에는 평균 13분 출장에 선발로 11경기나 나섰을 정도로 기회를 제법 많이 받았지만, 미숙한 신인의 모습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19시즌에 팀의 성적이 좋아지면서 박지수에게 기회를 줄 여유가 적어지자 출장시간이 급격히 줄었고, 성적 또한 야투율이 2할대에 그치는 등 팀내 최저수치로 하락하였다. 다만 한 가지 염두에 둘 것은 박지수의 나이가 웬만한 신인급으로 매우 어리다는 것. WNBA는 신인들의 나이가 NBA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이며 22세인 박지수는 2021 드래프트 로터리픽으로 뽑힌 12명 중 7명보다 어리고 팀내 최연소 선수이다.[* 같은 98년생인 조이너 홈즈는 생일이 10개월 가량 빠르다.] 따라서 잠재력이라는, 수치로 계량할 수 없는 면으로 평가한다면 아직까지 박지수에게 가능성이 남아있다고도 볼 수 있다. 어쨌든 박지수가 WNBA에서 고전하고 있는 주된 이유는 WNBA의 전체적인 피지컬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제 기량을 펼치지 못하는 것인데, 적응이 되면 충분히 성장세를 기대해 볼만하다. 박지수의 피지컬이면 WNBA에서도 (최정상급은 아니지만) 충분히 통할만하고 무엇보다 박지수는 세계무대에서도 더 강한 피지컬을 가진 선수들 상대로도 괜찮은 활약을 해온 선수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시즌인 21시즌에는 19시즌보다 미세하게 좀 더 개선된 모습을 보이기는 했다. 그러나 여전히 평균 출장시간이 8.9분에 그쳐 평균득점이니 야투율이니 따지기가 민망한 수준. 어쨌거나 2.0득점, 1.8리바운드. 0.3어시스트, 0.6블록을 기록하였고, 전 시즌의 2할 야투율보다는 높다지만 여전히 32.7%라는 영 좋지 않은 야투율을 기록하였다. 한편, 팀 상황도 박지수가 입단하기 전과 많이 달라졌다. 소속팀인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가 박지수가 입단할 무렵부터 그동안의 약체팀 신세에서 벗어나 컨텐더 팀의 자리에 오른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성적과 관계없이 진득하게 박지수를 키우고 기회를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게 된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언론에서 박지수의 WNBA 도전을 애써 포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팬들의 관심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며, 박지수의 WNBA 진출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까지 등장하고 있다. 심지어 우리은행의 감독 [[위성우]]가 우연히 마주친 박지수에게 '미국에서 놀다 왔는데 왜 이렇게 잘하냐'며 --비꼬기도-- 뼈 있는 농담을 날리는 해프닝까지 일어났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81&aid=0003234911|관련 기사]] 박지수가 공식 인터뷰에서 이 사실을 털어놓으며 울면서 '열심히 훈련했기에 놀다 온 것이 아니다'라고 항변했다. 하지만 사실 훈련은 한국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이고, 위성우가 은근히 말을 함부로 하는 스타일임을 고려해도 여농 관계자들 중에서도 박지수의 WNBA 진출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는 입장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박지수가 WNBA의 네 번째 시즌, 다섯 번째 시즌에서도 이 정도의 출장시간, 이 정도의 성적 밖에 기록하지 못한다면 비판적인 시각은 더욱 커지고 공개석상에서 이런 시각을 드러내는 사람도 많아질 수 있다. 어쨌거나 박지수의 WNBA 도전은 계속될 예정이다. WNBA에 도전한 아시아 선수들은 대부분 휴식기 없이 두 개의 리그를 뛰는 데서 비롯한 체력적인 한계로 2시즌 정도를 뛰고 그만두게 된다. 하지만 박지수는 코로나 사태로 20시즌을 거르긴 했어도 21시즌에 다시 WNBA에 참여하며 3시즌을 뛰게 되었다. 이로써 박지수는 WNBA에서 가장 오래 뛴 타 리그 선수가 되었다. 2021년 12월 말에 베키 해먼[* WNBA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스 출신으로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어시스턴트 코치를 지냈다.]이 LV 에이스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감독도 바뀌었고 사실 1년전에 구단주도 바뀐 상태이므로 박지수의 거취도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2022년 1월 8일, 라스베이거스 측에서 박지수에게 퀄리파잉 오퍼를 제시했다. 결국 2022 시즌에 WNBA에서 뛰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올해만 뛰지 않을 것인지 앞으로 계속 뛰지 않을 것인지는 불명확한 상태. 계약 종료나 해지는 아니고, 아직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와의 계약 기간이 1년 남아있는 상태로 1년을 건너뛴다는 것이다. 따라서 2023년에 에이시스의 팀 상황이나 박지수의 실력, 몸상태에 따라 1년 휴식이 될지 WNBA 진출 종료가 될지가 결정될 것이다. 어쨌거나 WNBA에서 뛰지 않기로 결정한 이유로는 2022년에 개최될 아시아게임과 농구 월드컵 출전 때문에 너무 바쁜 일정을 들었다. 그러나 정작 아시아게임과 농구 월드컵 모두 [[공황장애]]가 발병하여 출전이 무산되었다. 그러나 아시안게임은 코로나 문제로 2023년으로 미뤄졌다. 2022 시즌, 박지수 없이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가 1997년 창단 이후 처음으로 WNBA 파이널 우승에 성공하였다. 이로서 박지수가 WNBA에서 뛰고 말고의 문제는 박지수 개인의 의사보다는 에이시스 구단진의 판단에 딸린 문제가 되었다. 파이널 우승 팀이 한가하게 선수를 키우네 마네 할 이유가 없기 때문. 일단 팀 내 선수 재계약이나 은퇴, 이적 문제 처리가 급선무일 것인데, 이런 뒤에 센터 자리가 남는 경우에나 박지수에게 관심을 보일 것이고, 그것도 립서비스 차원이나 로또픽 수집 차원이 아닌 정말로 박지수가 팀의 미래 구상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나 해당될 것이다. 반대로, 이후에도 에이시스가 박지수를 안고 간다면 여전히 에이시스가 박지수의 가능성으로 어느정도 쳐주고 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을 것이고.... 23 시즌, 박지수의 체면을 고려한 것인지 언론 보도가 1도 되지 않은 상태로 박지수 없이 WNBA 23 시즌이 개막되었다. 따라서 아주아주 극적인 상황, 예를 들어 에이시스가 갑자기 하위권으로 추락하고 선수들이 대거 팀을 이탈하는 등의 상황[* 다만, 에이시스는 시즌의 3분의 1인 13 경기를 치른 상태에서 12승 1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니 팀이 갑자기 꼬꾸라질 확률은 0이라고 보면 된다].이 발생하지 않는한 '''박지수의 WNBA 경력은 이걸로 끝이 난것으로 보인다'''. 박지수의 보유권은 에이시스가 여전히 가지고 있기에 트레이드 없이는 다른 팀과 계약하는게 불가능한데, 트레이드 가치가 없어서 무상으로 보유권을 넘긴다해도 엔트리 제한 때문에 다른 팀들이 딱히 관심을 보이지도 않을 듯하다. === 국가대표 === 아주 어린 시절부터 성인국대를 포함해 U대표팀 등 갖은 대회를 빠짐없이 출장 중이다. WNBA 시즌 종료 직후인 25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북 단일팀에 합류하기 위해 24일 서울을 거쳐 자카르타로 출국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basketball/news/read.nhn?oid=003&aid=0008766969|기사]] 직전 맞대결에서 한국을 무너트린 장신 센터 바오시러를 가볍게 압도하면서 더블더블을 작성하며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이어진 중국과의 결승전, 각급 대표팀에서 그간 고전해왔던 한쉬와 리위에루를 상대로 15득점 13리바운드 6블록으로 활약했으나 팀은 아쉽게 지고 말았다. 이어진 2018 FIBA 여자 월드컵에서는 강호 [[프랑스]], [[캐나다]], [[그리스]]와 상대했다. 박지수만은 제 몫을 했지만 그 외 선수들이 누구도 활약하지 못하면서 3패로 탈락. 2019년 도쿄올림픽 지역예선 중국과의 경기에서 23득점 야투 69.2%(9/13)을 기록하며 위닝샷을 넣은 박혜진과 승리의 1등공신이 된다. ||
2012 FIBA U17 세계선수권대회 9위 || 9득점 8.1리바 0.6어시 3.8블록 야투 35.9% || || 2013 FIBA U19 세계선수권대회 13위 || 12.2득점 13.2리바 3.7어시 1.8블록 46.9% || || 2014 FIBA U17 세계선수권대회 10위 || 18.6득점 13.4리바 2.1어시 4블록 야투 40.7% || || 2014 FIBA U18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 || 16.2득점 15.7리바 1.8어시 3.8블록 야투 43.3% || || 2014 FIBA 세계선수권대회 13위 || 11득점 5리바 0.3어시 1.3블록 야투 33.3% || || 2015 FIBA U19 세계선수권대회 13위 || 10득점 10.2리바 2.8어시 4블록 야투 37.5% || || 2015 FIBA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 || 5.5득점 4.2리바 0.7어시 0.8블록 야투 44.8% || || 2016 FIBA 리우올림픽 최종예선 퀄리파잉 토너먼트 || 7.0득점 10.8리바 0.4어시 1.6블록 야투 48.5% || || 2017 FIBA 아시아컵 4위 || 10.3득점 8.2리바 1.5어시 2.2블록 야투 47.2% ||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은메달 || || || 2019 도쿄올림픽 지역예선 프리-퀄리파잉 토너먼트 || 15득점 9.3리바 3.7어시 1.3블록 야투 54.8% || || 2020 도쿄올림픽 최종예선 퀄리파잉 토너먼트 || 8.7득점 5.7리바 1.7어시 2블록 야투 36.7% || || 2020 도쿄 올림픽 10위 || 13.3득점 10.7리바(4.0공리) 3.7어시 3.3블록 야투 45.9% || 예상대로 [[2020 도쿄 올림픽]] 본선 대표팀에도 합류했는데, 조별예선 첫 경기였던 스페인[* 지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다.]과의 경기에서도 33분 출전해 더블더블(17득점 10리바운드)를 기록해 팀의 선전에 기여했다. 덕분에 대표팀은 대패를 예상했던 스페인전에서 5점차 석패로 분전했다. [[WNBA]] 일정과 [[코로나19]] 이후 까다로워진 출입국 절차로 인해 대표팀에 본선을 겨우 1주일 앞두고 합류했고, 그로 인해 전반적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았음에도 좋은 활약을 펼쳐 기대감을 높였다. 도쿄 올림픽 2번째 경기였던 캐나다전에서도 더블더블(15득점 11리바운드)을 작성하며 선전했다. 블록도 5번 찍으며 활약했지만, 경기는 팀의 3점슛이 터지지 않아 패배했다. 2020 도쿄 올림픽 블록왕, 공격리바운드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2022 호주 월드컵 최종예선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20득점 13리바운드 2어시스트 11블록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월드컵 본선 무대에 뛰기 직전 [[공황장애]] 초기증상을 보이며 대표팀에서 하차하게 되었다. 그래도 결국 2022년 12월, 무사히 코트에 복귀한 박지수는 [[2023년]] 열린 FIBA 여자 아시아컵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대표팀에 차례로 합류했다. 2023 FIBA 여자 아시아컵에서는 뉴질랜드와의 경기에서 18득점 10리바운드, 중국과의 경기에서 22득점 8리바운드를 기록했지만 전반적으로 기대보다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물론 박지수 개인의 컨디션 문제도 있지만 감독인 [[정선민]]의 전술 능력 부족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도 감독의 무전술 농구 속에서도 가장 빛나는 모습을 보였으며, 대표팀이 결국 3·4위전에서 북한을 꺾고 동메달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이 와중에 감독의 혹사 속에 상당히 고생했는데 조별예선 북한전에서 이미 승부가 갈린 상황에서도 풀타임을 소화하게 해 부상 우려가 생겨 다음 경기인 대만전에 결장해야 했으며, 4강인 일본과의 경기에서도 이미 승부가 기운 4쿼터까지 박지수를 계속 투입하는 이해불가한 모습을 보였음에도 본인은 정신력으로 끝까지 맹활약했다. == 플레이 스타일 == 키가 198cm로 매우 크다. 2미터가 넘었던 [[하은주]]나 [[김영희(농구)|김영희]]보다 약간 작지만, 사실 하은주, 김영희가 한국 역사에 기록될 수준의 장신이기 때문에 박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아보일 뿐, 박지수의 신장 역시 한국여자농구 역사에서 다섯 손가락에 들만한 수준. 특히 박지수가 하은주 등과 다른 점은 스피드와 운동능력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키는 크지만 느리고 둔한 타입'이 절대 아니라는 것. 즉, 매우 큰 신장에도 불구하고, 스피드와 센스, 운동능력, 점퍼까지 갖춘 완전체, 완성형의 선수이다. 다만, 과거의 [[정은순]]이나 [[정선민]]과 같은 언더사이즈 빅우먼들과 비교했을 때, 기술적인 완성도나 슈팅능력은 이들에 못 미치는 편. 그러나 아직까지 성장중인 선수이고 정선민 등에 비해 신체조건이 월등하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종합하면, [[하은주]], [[정은순]], [[정선민]] 등 역대 여농 센터들 각각의 장점들을 하나씩 따와서 약간씩만 다운그레이드한 뒤 한 명의 선수에게 몰아넣은 듯한, 능력치 육각형이 아주 큼지막하고 예쁘게 균형잡힌 선수이다. 과장 살짝 보태서 얘기하자면, [[박신자]]-[[박찬숙(농구인)|박찬숙]]-[[정은순]]의 뒤를 잇는 대한민국 여자농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센터 계보를 이을 선수. 선수로서 능력치를 세부적으로 보면, 보드 장악력이 좋고 블록 슛에 대한 타이밍 감각 또한 뛰어나다. 시야가 좋고 패스에도 재능이 있어 어시스트도 제법 쌓는다. 드리블 능력 또한 단독 돌파가 가능한 수준으로 뛰어나다. 올스타전에서 덩크를 시도해볼 정도로 운동 능력까지 갖췄다. 이로 인해 골밑 공격력에 있어서는 이미 국내 최고 수준. 또한 득점 실패 이후 공격 리바운드, 팁인 능력 또한 국내 최고 수준이다. 대인수비나 더블팀 등으로 달라붙는다고 해도 본인의 높이와 타점으로 스스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으며, 본인이 해결하기 여의치 않으면 동료에게 볼을 뿌려줄 수 있는 능력과 이타심 또한 갖추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동료의 패스를 받아 먹어 득점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직접 득점을 창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선수이며, 이로 인해 팀 공격을 조립해내는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선수이다. 공격도 공격이지만 수비 능력 역시 뛰어난데, 간단히 말해 '''인사이드 수비는 외국인선수 포함 리그 원탑'''이다. 사이즈, 스피드, 시야, 판단능력을 갖췄고, 거기에 더해 윙스팬 또한 키보다 긴 2m 이상으로 여자 선수로는 보기 드문 신체 조건을 갖췄다. 따라서 외국인 빅우먼 선수들도조차 박지수를 쉽게 뚫지 못할 정도이며, 세계 무대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이 통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스피드가 좋기 때문에 세로수비뿐만 아니라 가로수비 또한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너무 수비가 좋고 발이 빠른 탓에 지나치게 넓은 범위까지 상대방을 따라나가려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데뷔 초창기에 보완해야 할 단점으로, 가진 툴에 비해서 완성도가 아쉽다는 지적이 있었다. 여기에 더해 신체조건에 비해 근력이 부족해[* 이는 집안 내력인 듯 싶은데, 오빠 [[박준혁(배구선수)|박준혁]] 역시 근력이 쉽게 붙지 않아 농구에서 배구로 전향할 수밖에 없었다.] 박지수보다 단신이더라도 힘이 좋은 상대를 만나면 고전한다는 평가 또한 있었다. 이런 부분들을 종합하여 포스트업이 다소 아쉽다는 지적을 받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신인티를 벗기 시작함에 따라 데뷔 초창기보다는 발전했다는 얘기가 있다. 어쨌든 박지수는 포스트업보다 페이스업을 선호하는 편이며, 시즌 중에는 페이스업이 워낙 뛰어나기 때문에 포스트업의 약점이 쉽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다만 시즌 막판이나 포스트시즌에는 상대가 거칠게 수비하기 때문에 단점이 다소 드러나는 듯하다. 또한 데뷔 첫해 [[자유투]] 성공률이 50%대여서 슛과 점퍼가 안 좋은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그러나 사실은 데뷔 첫해+많지 않은 자유투 시도 숫자가 겹쳐져서 그렇게 보였을 뿐. 자유투의 경우 데뷔 2년차인 2017-18시즌부터 70~75%의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고, 점퍼, 중거리슛 또한 괜찮은 수준으로 성공시키고 있다. 특히 중거리 슛의 경우, WNBA에서는 픽앤팝을 이용한 롱2 점퍼를 주무기로 쓸 정도로 시도 횟수나 성공률에서 유의미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롱2보다 골밑 공격을 더 선호하는 편이지만, 사실 그것은 국내리그에서는 박지수의 골밑 공격을 막아낼 선수가 없기 때문일 뿐이며, 롱2 역시 골밑슛만큼은 아니지만 주요한 무기로서 종종 활용하고 있다. 한편 3점슛의 경우, 슛거리를 늘려 실전에서 던지고는 있지만, 2020-21시즌까지는 시도 횟수나 성공 횟수는 아직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다. 다만, 매년 조금씩 시도 횟수를 늘리고 있는데, 이는 박지수 본인이 의도적으로 3점을 실전용으로 장착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 중이라는 증거로서 3점 장착에 성공만 한다면 지금보다도 더 무서운 선수로 거듭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재밌게도,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의 감독이었던 --어둠의 제왕, 버팔로빌-- [[빌 레임비어]]는 현역시절 상대의 허를 찌르는 3점슛으로 재미를 많이 봤었다.] 실제로도 2021-22 시즌에 [[강이슬]]이 KB로 FA 이적을 해옴에 따라 스코어링에 부담이 많이 줄어든 상황에서 3점슛 시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 여담 == * 가운데는 이 두 명의 아버지이자, 과거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전자]]에서 활약했던 [[박상관]][* 현 분당경영고등학교 코치][* [[서장훈]] 항목에 서술되어 있는 서장훈 미국 유학 사건의 발단인 살인미수급 퍽치기를 저지른 그 박상관이 맞다. 목장훈 사건과 헷갈리기 쉬운데 목장훈 사건의 원인은 [[김주성(농구)|김주성]]의 [[을용타|주성타]] 사건이다. 부녀가 모두 [[센터(농구)|센터]] 포지션이다.], 왼쪽이 박지수의 오빠인 [[박준혁(배구선수)|박준혁]][* 現 배구선수로, 농구선수에서 배구선수로 전향했다. 명지대 출신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소속], 오른쪽이 박지수이다. 사진에 안 나온 어머니는 배구선수 출신 이수경이다. 가족들이 모두 운동을 하는 집안이다. [[파일:박준혁 박지수 남매.jpg|width=300]] * 기량이 기량인지라, 미국 대학에서 오퍼가 오는 등 해외 진출을 모색했으나 [[박상관]] 씨가 소위 농구계 원로들에게 불려가서 "한국 농구를 버릴거냐?"라고 꾸중을 들어야 했다고 한다. ~~꼰대~~ * 프로 데뷔 이후부터 에이스라면 누구나 자주 겪는 일로 위험한 수준의 몸싸움같은 파울과 심한 견제를 받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보통의 경우 이러면 과격하게 플레이를 하는 상대 선수들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데, 이런 글마다 [[박상관|과거 서장훈의 뒤통수를 무방비 상태에서 갈겨서 거의 요단강 앞까지 보내버린 아버지]]에 대한 얘기와 조롱이 같이 등장하는 바람에 본의 아니게 별로 팬덤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게다가 정작 피해자였던 [[서장훈]]은 가해자 [[박상관]]과 이미 화해를 한 것으로 보인다. * 서장훈이 출연하던 KBS1 농구 예능 "우리들의 공교시" 19회에서 당시 분당경영고에 재학 중이던 박지수와 [[서장훈]]의 만남이 성사됐다. 서장훈은 박지수를 만나자마자 반갑게 악수를 하면서 농담조로 '''[[https://youtu.be/6hrd7vkBG5c|"저기 누구야...]] [[박상관|상관이 형]] 아들!!"''' (오타가 아니라 실제로 한 말이다.) 이라고 개그를 쳤고, 박상관과의 앙금이 상당 부분 사라졌음을 은연중에 보여주었다. 사실 서장훈은 당시 박상관이 무슨 상황에 직면했는지 이미 알고 있었다. 그래서 [[박상관]]의 딸에게 이렇게 다정하게 대우해준 것이다. * 아이러니하게도 상관타의 최대 피해자 서장훈과 흡사한 면이 많은데, 서장훈의 딸이라 해도 충분히 믿을 만큼의 유사한 인상이며, 박지수 역시 여자농구계의 '[[국보급 센터]]' 칭호를 받고 있고, 서장훈처럼 최장신 라인[* 서장훈 205cm, 박지수 196cm.]의 농구선수이며, 플레이 또한 현역 때 서장훈의 플레이를 떠오르게 한다. * 마이너한 사실이 있는데 [[이종현(농구선수)|이종현]] 선수와 친분이 있다고 한다. 청솔중 2학년 재학 시절 미디어 인터뷰를 통해 이종현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현재도 줄곧 [[http://sports.naver.com/basketball/news/read.nhn?oid=421&aid=0002729849|꾸준히 연락을 주고받는다고 한다.]][* 공교롭게 [[이종현(농구선수)|이종현]]이 드래프트되었을 때 박지수 역시 드래프트되었다.] 이 외에 [[김종규(농구)|김종규]] 역시 청솔중 재학 시절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Zel1AY9OOs0|알고 지낸 사이]]라고 한다. * [[A.R.M.Y]]이다. [[방탄소년단]]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인 SNS에 꾸준히 덕질 활동을 하는 중이다. ~~성덕~~ 심지어 2018-19 챔프전 MVP로 선정된 후 인터뷰에서 4월 7일에 열리는 BTS의 태국 콘서트를 예매하면서 이것이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http://naver.me/xRMFzeC0|말할 정도.]] 그리고 공연 당일 낮에 마침 공연장이었던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바로 옆에 있는 후아막 체육관에서 한국-태국 [[V-리그|여자프로배구]] 슈퍼매치가 열렸는데, 배구선수 출신인 어머니와 함께 이 경기도 관람하러 온 게 중계되면서 콘서트 보러 온 걸 한국에도 인증해 버렸다. 여기에 20-21시즌 수상식에는 '보라해'라는 의미인지 보라색 정장을 입고 시상식에 참석했다. 그래서 응원가도 Dynamite를 썼었다. 2022-23 시즌부터는 하입 보이로 변경. * 최근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32&aid=0002987458|인신공격성 악플러들에 대한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 강도가 꽤 센 모양인데 '''농구를 그만두고 싶을만큼'''의 참담한 심정이라고. * [[NBA 2K|NBA 2K20]]에서 WNBA로 플레이 시 박지수의 소속팀인 라스베가스 에이시스팀을 선택하면 박지수로 플레이 할 수 있다. 다만 선발에서 12번에 위치해 있기에 선발로 내보내려면 교체가 필수다. 다음 시즌인 2K21에서는 플레이할 수 없다.[* 정확히는 등록은 되어 있지만 이 시즌에는 리그에 참가하지 않았기에 전치 4~6주의 부상자로 등록되었기 때문(...). 후에 개인 사유로 8~10개월로 업데이트 되었다.] 이후 2K22부터는 다시 정상적으로 출전이 가능하다. * [[박지수(축구선수)|동명의 축구선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니 농구선수 박지수와 비교된다고 얘기가 나오기도 한다. * 중앙대에서 농구선수로 활동중인 [[선상혁]]의 사촌누나이다[[https://n.news.naver.com/sports/basketball/article/065/0000196984|##]]. 그 또한 [[2021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에 지원해서 1라운드 6순위로 SK에 지명된 유망주이다. * 엄마는 주위 배구 선배들의 권유로 초등학교 2학년이었던 박지수를 [[https://www.yna.co.kr/view/AKR20190402001000007?input=1195m|배구 선수로 키우려고 했다]]. 자신이 합숙 훈련에 참가한다는 것을 모른 채 [[애착 인형]]이었던 곰돌이 인형을 가지고 체육관에 갔지만, 합숙 훈련 기간에 감독이었던 사람은 박지수가 곰인형을 가져왔다는 이유로 망신을 주었고 곰인형을 뺏었다고 한다. 그 일로 배구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fivb&no=256061&page=2|연을 끊었다]]. --그리고 그 배구감독은 국대급 센터를 놓쳤다며 두고두고 배구팬들에게 까이고 있다.-- * 신인드래프트 때 몸에 맞는 사복이 없었던 듯 그냥 교복차림으로 나왔는데, 언론의 초관심대상이었던지라 이때 당시 사진이 많이 찍혔고, 방송도 제법 탔다. 사실 박지수 이전에는 드래프트 때 신인들의 옷차림이 거의 예외없이 맨투맨에 청바지 차림이었는데, 박지수 이후에는 고졸 신인들이 교복 차림으로 나오는 것이 대세가 됐다. * 2022년 FIBA 월드컵을 앞둔 시점에서 공황장애가 와 대표팀 차출을 고사한 상태에까지 이르러 여자농구대표팀에 비상이 떨어졌다. 사태가 심각해져서 22-23시즌 한국여자프로농구도 등록만 됐지 개막전부터는 출전하지 못할 전망이다. 다행히 상태가 호전되어 시즌 중반 복귀했지만 손가락 부상으로 시즌 아웃 되었다. 그리고 지금 역시도 공황장애로 인해 고충을 겪는 듯하다. * 2023년 3월 11일 [[HL 안양]] 아이스하키단의 홈 경기에 퍽드롭(시구)을 다녀갔다. 경기도 승리하며 승리요정으로 등극한건 덤. ==# 올림픽 출전 이력 #== [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0 도쿄 올림픽/농구)] == 시즌별 성적 == ||<-11>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필드골}}}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br](평균)}}} || || 2016-17 ||<|6> [[청주 KB 스타즈|KB국민은행]] || 22 || 89/161 [br] (55.28%) || - || 51/91 [br] (56.04%) || 229 || 226 || 61 || 14 || 49 || || 2017-18 || 35 || 192/384 [br] (39.37%) || 0/5 [br] (0.00%) || 114/153 [br] (74.51%) || 498 || '''{{{#red 451}}}'''[br](1위) || 115 || 50 || '''{{{#red 88[br](2.51)}}}'''[br](1위) || || 2018-19 || 35 || 185/382 [br] (48.43%) || 0/6 [br] (0.00%) || 87/125 [br] (69.60%) || 457 || '''{{{#red 389}}}'''[br](1위) || 106 || 45 || '''{{{#red 61[br](1.74)}}}'''[br](1위) || || 2019-20 || 21 || 110/228 [br] (48.25%) || 3/9 [br] (33.33%) || 60/78 [br] (76.92%) || 289 || '''{{{#red 231}}}'''[br](1위) || 90 || 29 || '''{{{#red 49[br](2.33)}}}'''[br](1위) || || 2020-21 || 30 || '''{{{#red 274/470}}}'''[br] (58.30%)[br](1위) || 3/16 [br] (18.75%) || 113/160 [br] (70.63%) || '''{{{#red 670}}}'''[br](1위) || '''{{{#red 457}}}'''[br](1위) || 120 || 22 || '''{{{#red 75[br](2.5)}}}'''[br](1위) || || 2021-22 || 26 || '''{{{#red 207/346}}}''' [br] (59.82%)[br](1위) || 2/9 [br] (22.22%) || 131/166 [br] (78.91%) || '''{{{#red 551}}}'''[br](1위) || '''{{{#red 374}}}'''[br](1위) || '''125'''[br](5위) || 17 || '''46[br](1.77)'''[br](2위) || ||<-2> '''[[한국여자프로농구]] 통산''' [br] (6시즌) || 169 || 1057/1971 [br] (53.62%) || 8/45 [br] (17.78%) || 556/773 [br] (71.92%) || 2,694 || 2,128 || 617 || 177 || 368 || ||<-11>
{{{#000000 역대 기록}}} || || {{{#000000 시즌}}} || {{{#000000 소속팀}}} || {{{#000000 경기수}}} || {{{#000000 필드골}}} || {{{#000000 3점슛}}} || {{{#000000 자유투}}} || {{{#000000 득점}}} || {{{#000000 리바운드}}} || {{{#000000 어시스트}}} || {{{#000000 스틸}}} || {{{#000000 블록슛}}} || || 2018 ||<|3> [[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LVA]] || 32 || 38/98 [br] (38.78%) || 0/2 [br] (0.00%) || 13/21 [br] (56.04%) || 89 || 107 || 30 || 10 || 20 || || 2019 || 25 || 8/37 [br] (21.62%) || 0/1 [br] (0.00%) || 4/9 [br] (44.44%) || 20 || 27 || 10 || 5 || 4 || || 2021 || 25 || 17/52 [br] (48.43%) || 0/4 [br] (0.00%) || 15/18 [br] (83.33%) || 49 || 46 || 21 || 3 || 16 || ||<-2> '''[[전미 여자 농구 협회|WNBA]] 통산''' [br] (3시즌) || 82 || 63/187 [br] (33.69%) || 0/7 [br] (0.00%) || 32/48 [br] (66.67%) || 158 || 180 || 61 || 18 || 40 || == 역대 프로필 사진 == ||<-2> '''국가대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 박지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지수 항저우.jpg|width=100%]]}}} || || '''{{{#fff 2020 도쿄 올림픽}}}''' || '''{{{#fff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청주 KB 스타즈]] [[분류:1998년 출생]][[분류:성남시 출신 인물]][[분류:농구 선수 자녀]][[분류:배구 선수 자녀]][[분류:분당경영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센터(농구)]][[분류:2016년 데뷔]][[분류:청주 KB 스타즈/현역]][[분류:라스베이거스 에이시스/현역]][[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