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34632a 20%, #34632a 80%, #2a4f22)" '''{{{+1 박종규}}}[br]朴琮圭 | Park Jong-Gyu'''}}} || ||<|2> '''출생''' ||[[1944년]] || ||[[충청남도]] [[대전시|대전부]] (現 [[대전광역시]]) || ||<|2> '''사망''' ||[[2010년]] [[12월 7일]] (향년 66세)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학력''' ||[[대전고등학교]] {{{-2 (졸업)}}}[br][[육군보병학교]] {{{-2 (졸업)}}}[br][[육군대학]] {{{-2 (졸업)}}}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23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67년 ~ 1993년 || || '''최종 계급''' ||[[소장(계급)|소장]] {{{-2 (대한민국 육군)}}} || || '''주요 보직''' ||[[제3공수특전여단]] 15[[대대장]][br][[제30기계화보병사단|제30보병사단]] 91연대장[br][[제56보병사단]]장 || || '''병과''' ||[[보병]]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육군 예비역 소장. 대통령 경호실장을 역임한 [[박종규|피스톨 박]]과 동명이인이다. == 생애 == [[대전고등학교]]를 거쳐 1967년 [[육군사관학교]](23기)를 졸업했다. 동기 중 유일한 미국 특수전교육 수료자라고 한다. 1979년 12월 12일 자정 [[육군특수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 15대대장으로서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라는 [[최세창]] 여단장의 지시를 받고 특전사령관 부관 [[김오랑]] 소령을 살해한 뒤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했다.[*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정병주의 체포에 처음에는 반대의견도 냈으나 결국 명령에 따랐고 정병주 체포과정 중 국가를 위해 충성하다 죽은 [[김오랑]]을 발견한 뒤 오열하는 장면이 나온다. 김오랑 소령과 박종규 중령은 피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거의 친형제에 가까울 정도로 우의를 자랑하던 관계라서 박종규 입장에서는 슬프겠지만 신군부에 부정적인 이들에게는 '지가 명령해서 쏴죽여 놓고 왜 오열하냐?'라는 눈총을 사는 장면이기도 하다.] 1980년 [[5.17 내란]] 때 3공수여단은 [[서울국립현충원|서울 국립묘지]]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신군부]]는 항쟁 3일째인 5월 20일에 3공수여단을 광주로 내려보낸다.[* 3공수여단은 이미 전날 '''19일 새벽'''에 광주에 투입하기로 결정한 상황이었고 20일 새벽에 광주로 기차를 통해 이동했던 것이다. 당시 광주에 투입된 3공수여단은 11, 12, 13, 15, 16대대였다.] [[12.12 군사반란]] 때부터 3공수여단 15대대장이었던 그는 5.18 강제 진압에도 참여하여 유혈진압을 하였다. 본인 말로도 시위대가 무장하기 전인 20일 밤[* 시위대가 최초로 무장한 시점과 장소는 다음날인 '''21일 오후 1시 30분경, 나주 남평지서'''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남지방경찰청 "5.18 민주화운동 과정 전남경찰의 역할", 전남지방경찰청 2017)] 광주역에서 시위대를 향해 '''본인이 직접 권총을 발사'''했다고 시인했다.[* [[조갑제]] "조갑제의 광주사태", 조갑제닷컴 2013] 1993년 [[제56보병사단]]장([[소장(계급)|소장]])으로 있다가 [[김영삼]]의 [[하나회]] 숙청으로 강제 전역했다. 물론 하나회 항목의 '하나회 회원 명단'에도 나와 있지만, 그는 하나회 회원이 아니다. 1997년 4월 17일 [[대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징역 3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지만 사면되었다. 당시 이희성 주영복 신윤희 이원조과 함께 불구속 수사를 받았으나 징역을 선고 받았다. 그러나 실형 선고로 [[군인연금]]을 포함한 모든 예우를 박탈당해 부인이 [[동대문시장]]에서 옷가게를 운영한 수입으로 어렵게 살았다고 한다. 풍문으로 [[전두환]]이 징역을 마치고 나온 박종규를 불렀다고 하는데, 그 부름을 거절했다고 한다. [[장태완]]의 케이스에서도 그렇듯 자기 사람 뿐 아니라 관련된 사람들 다 챙기는 [[전두환]]의 성격 상 꽤 큰 보상을 받을 수 있었을텐데 본인은 군인으로 명령을 따랐을 뿐, 전두환을 위해 한 행동이 아니었다는 걸 지키고 싶었던 듯 하다. 다만 일말의 양심은 있었는지 2009년 12월 9일, 김오랑추모사업회에 전화를 걸어 자신이 지금 병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하늘의 벌이라면서 12.12에 참여했던 자신과 자신의 부하들을 용서해 달라는 말을 전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1962871?sid=102|#]] 2010년 12월 7일 [[식도암]]으로 투병 중 66세로 사망했다. == 대중매체 == * 2023년 영화 [[서울의 봄(영화)|서울의 봄]]에서는 배우 이승희가 연기했다. 죽은 [[김오랑|오진호]] 소령을 보며 망연자실해 있는 모습을 보이지만[* 여기서 [[정병주|공수혁]] 특전사령관이 "친한 동생이라며...? 니가 죽인거야..!"라고 일갈하고 그 일갈을 들으며 넋이 나간 표정을 짓는다.] 뒤이어 들아온 [[최세창|여단장]]이 냉혈한스러운 모습으로 사령관님 모시라고 명령하자 동시에 냉정한 모습으로 뒤돌아서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분류:1944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밀양 박씨]][[분류:12.12 군사반란/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위기관리정부/인사]][[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식도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