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농림축산식품부장관)] ---- || {{{#fff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6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부천시 갑|{{{#cfa547 제21선거구[* 부천군]}}}]])'''}}} || || 제헌[br][[이유선(정치인)|이유선]] || → || '''제2대[br]박제환''' || → || 제3대[br][[장경근]] || || 제4대[br][[장경근]] || → || '''제5대[br]박제환''' || → || ''선거구 개편''[br][[옥조남]][* [[부천군]]·[[시흥군]]·[[옹진군(인천)|옹진군]] 선거구의 제6대 국회의원이다.] || }}} || ---- ||<-2> '''[[농림축산식품부|{{{#ffffff 대한민국 제17대 농림부 장관}}}]][br]{{{+1 박제환}}}[br]朴濟煥 | Park Jae-haw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kyeongin.com/729492_308318_3940.jpg|width=100%]]}}} || ||<|2> '''출생''' ||[[1905년]] [[2월 10일]] || ||[[경기도]] [[부평|부평군]] 옥산면 벌응절리 능골[br](現 [[부천시]] [[역곡동]]) || ||<|2> '''사망''' ||[[1995년]] [[3월 23일]] (향년 90세)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 || '''본관''' ||[[박(성씨)|죽산 박씨]] || || '''호''' ||지봉(芝峰)[* 고향인 부천시 역곡동에 그의 호를 딴 '지봉로'라는 도로명이 있다.] || ||<|2> '''재임기간''' ||제17대 농림부 장관 || ||[[1960년]] [[8월 22일]] ~ [[1961년]] [[5월 1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녀''' ||슬하 1남 4녀 || || '''학력''' ||[[휘문고등학교]] {{{-2 ([[졸업]])}}}[br][[도시샤대학]] [[법과대학|법학부]] {{{-2 ([[법학]] / [[학사]])}}}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제5대 국회의원|'''5''']] || || '''약력''' ||수리조합연합회 경기도 지부장[br]부천군 권업과장[br]경기도 식량과장[br]제17대 농림부 장관[br]제2대, 제5대 국회의원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호는 지봉(芝峰)이다. [[종교]]는 원래는 [[무종교]]였으나, 1963년에 [[가톨릭]]에 귀의하여서 가톨릭이며, [[세례명]]은 마르코이다. 제12대, 제14대 [[국회의원]]인 [[박규식]]의 숙부이다. == 생애 == 1905년 [[경기도]] [[부평]]군 옥산면 벌응절리 능골(현 [[부천시]] 역곡동)에서 태어났다. [[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였다가 퇴학되었다. 이후 [[경성부]] [[휘문고등학교]], [[일본]] [[도시샤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도시샤대학 재학 중 [[신간회]] [[교토]]지부에서 활동하였다. 귀국하여 [[조선총독부]] 관리 채용시험에 합격하고 경기도 산하 기관에서 근무하던 중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인정식[* [[신동엽(시인)]]의 장인이다. 다만 [[태평양전쟁]] 당시 모진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전향했고, 해방 후 [[보도연맹]] 간부로 활동하다가 [[납북]]되면서 여러 모로 끝이 좋지 못했지만...]을 도왔다는 이유로 옥고를 치렀다. 풀려나서도 경기도청, 부천군청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8.15 광복]] 후에도 경기도청 식량과장으로 근무하다가 자신의 소극적인 친일반민족행위 경력이 부끄러워 사임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소유한 농지를 기증하여 공립 부천농업중학원(현 [[부천중학교(경기)|부천중학교]])가 개교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기도 부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대한국민당 [[이유선(정치인)|이유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두 번 다 [[자유당]] [[장경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이었음에도 1960년 8월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임명되어 부임하였다. 그러나 1961년 5월 [[5.16 군사정변]]으로 경질되고 [[서대문형무소]]에 두 달 간 수감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후보로 경기도 부천군-[[시흥시|시흥군]]-[[옹진군(인천)|옹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옥조남]]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오학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 후보에 반기를 들고 [[윤보선]] 등과 신민당을 탈당하여 [[국민당(1971년)|국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이후 정치를 그만두고 천주교에 입교하여, 세종로 천주교회 사목위원회 위원, 세종로 천주교회 사목위원회 고문, 역곡 천주교회 사목위원회 고문으로 종교활동에 전력하였으며, 고향 부천에서 [[농업]]에 전념하기도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경기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05년 출생]][[분류:1995년 사망]][[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도시샤대학 출신]][[분류:농림부 장관]][[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장면 내각/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