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박윤중}}}[br]朴潤重}}}'''}}} || || '''이명''' ||박용업(朴用業), 박용래(朴用萊, 朴用來) || || '''자 / 호''' ||윤일(允一) / 학암(鶴巖) || || '''본관''' ||[[밀양 박씨]][* 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派) 25세 리(履) 항렬. 족보명은 박이중(朴履重). 밀양박씨사문진사공파대동보 1권 621쪽 참조.] || ||<|2> '''출생''' ||[[1876년]] [[10월 27일]] || ||[[경상도]] 문경현 가현면 수예리[br](現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수예리[* [[밀양 박씨]] 집성촌이다.] 34번지) || ||<|2> '''사망''' ||[[1907년]] [[8월 1일]] ||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114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76년 10월 27일 경상도 문경현 가현면 수예리(現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수예리 34번지)에서 아버지 박광문(朴光文)과 어머니 [[경주 이씨]][* 이규수(李圭壽)의 딸이다.] 사이의 4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상경하여 [[대한제국군 시위대]]에 입대하였으며 [[한성부]] 서부 황화방 서소문계 [[소의문|서소문]] 근처(現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서소문동)에 거주했다. 1907년 대한제국군 시위대 참교(參校)로 복무하던 중, 그해 8월 1일 [[대한제국 군대 해산|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군대해산]]을 당하자, 이에 분격하여 대한제국군 동료들과 함께 한성부 중심으로 진출해 군대 해산과 무기 접수를 위하여 파견된 일본군에 대항하여 접전하였다. 그러나 아군의 열세가 확정되던 사이, 일본군의 총탄에 맞았고 '대한만세'를 세 번 외친 뒤 장렬히 전사하였다. 전사 후 칙령(勅令)에 의하여 [[장충단]]에 이름이 새겨졌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으며, 이어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16년 4월 2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밀양 박씨]][[분류:문경시 출신 인물]][[분류:1876년 출생]][[분류:190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