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거침없이 하이킥〉 등장인물, rd1=박승찬(거침없이 하이킥))] [목차] >[[아리스토텔레스]]와 [[성경]]에서 공통으로 이야기하는 '[[정의]]'는 '각자의 몫을 각자에게 되돌려주는 것'(''Suum cuique'')입니다. 풍부한 자연과 이성을 주신 하느님께서 풍부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주셨는데 굶주린 사람이 있다면 야단치실 것입니다. 부자와 라자로의 이야기{{{-2 ([[루가의 복음서|루카 복음서]] 16장 19~31절)}}}처럼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소중한 몫을 돌려주는 것이야말로 우리 교회와 사회 전체가 지향해야 할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이웃에 대한 사랑이 없는 정의는 생떼이고요. 진정한 정의는 이웃에 대한 사랑과 배려, 특히 약자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가톨릭평화방송]]과의 인터뷰 中 (2017.08.27) [[https://news.catholic.or.kr/WZ_NP/section/view.asp?tbcode=Sec06&cseq=8&seq=140849|#]] == 개요 == [[1961년]] [[서울]] 출생. ([age(1961-01-01)]세)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며, [[세례명]]은 [[엘리야]]다. 국내 학계에서 [[중세]] [[스콜라 철학]]의 권위자로 유명하며,[* 앞선 세대에는 성염 前 교황청 대사, 정의채 신부, 박영도 [[부산대학교|부산대]] 교수가 유명했으며, 현재 활동 중인 다른 중세 전공 학자로는 이재룡 신부, 이상섭 [[서강대학교|서강대]] 교수, 이재경 [[연세대학교|연세대]] 교수 등이 있다.] 서양 중세 역사와 문화에도 해박해 종종 '서양 중세 전문가'라는 타이틀로 미디어에 출연해 강연을 펼치고 있다. == 생애 == 국내 철학 교수 가운데서도 유난히 [[변곡점]]이 많은 삶을 살아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태신앙으로서 어렸을 적부터 [[신부(성직자)|신부]]가 되기를 꿈꿨지만, 더 넓은 세상을 보고 난 후 결정하라는 아버지의 만류로 일단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에 입학했다고 한다.[* [[김용옥]]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식품공학과는 [[의대]]를 뛰어넘는 입결을 자랑했다고 하니, 청소년 시절부터 공부에 두각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졸업 후에도 신부를 향한 꿈이 식지 않아 다시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과]]에 입학했고, 지도교수의 도움으로 장학금을 받아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로 석박사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사실 천주교에는 이런 케이스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차동엽]] 신부, [[정순택]] 주교도 서울대 졸업 후 신학교에 입학했다.] 그렇게 독일에서 유학 생활을 하던 중, 똑같이 철학을 공부하러 온 '''한국인 여학생을 만나게 되었고''', 몇 달 동안 고민한 끝에 [[사제]]가 되려던 꿈을 포기하고 여학생과 연을 맺은 뒤, 중세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본인은 전공을 식품공학에서 신학으로, 신학에서 철학으로 두 번 바꾸었다면서 이중전과자라는 농담을 한다.][* 박사학위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에 위한 중세 언어철학의 신학적 수용: 유비 문제를 중심으로'(1999)] 당시 [[한국 천주교]]에서는 그에게 중책을 맡기려 고심 중이었는데, 그가 아내를 데리고 귀국한 모습에 적잖이 당황했다고.[* 이때 여학생이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노성숙 교수. 교수 임용 후엔 부부가 함께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강사로서 생활하던 가운데, [[1995년]]에 [[성심여자대학교]]와 통합해 새롭게 출범한 가톨릭대학교에선 기존 신학대학 철학과를 인문대학으로 옮기며 교수진을 정비 중인 상황이었는데,[* 통합 이전 철학과 출신인물로는 [[박홍(종교인)|박홍]] 루카 신부가 있다.] 이 과정에서 '중세 철학 전공자를 구한다'는 모집 공고를 접하고는 2000년에 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임용될 수 있었다. 이후 교수 생활을 이어가며 한국중세철학회 회장,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2009년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선종 후에는 그의 삶과 사상을 연구하는 "김수환추기경연구소"가 가톨릭대학교에 설치되며 관련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http://cardinal.catholic.ac.kr/|#]] [[철학실천]]과 [[철학상담]]에 대한 관심도 커서, 철학을 통한 청소년 인문상담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 강연 영상 == || [youtube(BsXcoWwIt9Y)] || || 중세 유럽 역사 속 [[혐오]] (2020.10) || *JTBC 〈[[차이나는 클라스 - 질문 있습니다|차이나는 클라스]]〉 강연 (2020.03) *[[https://youtu.be/k_LX7HR4ZsA|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1편]] *[[https://youtu.be/rKngLTMmrkw|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2편]] *[[https://youtu.be/dLkLgYVg9M0|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3편]] == 저서 == '''주 저서'''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중세의 재발견」 *「알수록 재미있는 [[그리스도교]] 이야기」 *「철학의 멘토 멘토의 철학」 (공동 저술) *「서양고대철학 2」 (공동 저술) '''번역''' *「존재자와 본질」 - [[토마스 아퀴나스]] 저 *「신학요강」 - 토마스 아퀴나스 저 *「대이교도대전」 - 토마스 아퀴나스 저 *「모놀로기온 & 프로슬로기온」 - [[안셀무스]] 저 '''감수''' *「중세」 - [[움베르토 에코]] 저 [[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1961년 출생]][[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