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회수석비서관)]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민생각 대표)] ---- ||<-5> [[한나라당|[[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width=30]]]] [[한나라당|[[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width=73]]]] {{{#ffffff '''정책위원회 의장'''}}} || || 14대[br][[이한구]] || → || '''15대[br]박세일''' || → || 16대[br][[맹형규]] || ---- [include(틀:역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include(틀:여의도연구원 원장)] }}} || ---- ||<-2> '''{{{#ffffff 문민정부 초대 사회복지수석비서관}}}[br]{{{#ffffff {{{+1 박세일}}}[br]朴世逸 | Park Sae-il}}}'''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_박세일_교수의_생전_모습.jpg|width=100%]]}}}|| ||<|2> '''출생''' ||[[1948년]] [[5월 12일]] || ||[[서울특별시]] || ||<|2> '''사망''' ||[[2017년]] [[1월 13일]] (향년 68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 '''본관''' ||[[밀양 박씨]] || || '''배우자''' ||조미경 || || '''자녀''' ||1남 1녀 || || '''학력''' ||[[서울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코넬 대학교]] {{{-2 (경제학 / 석사·박사)}}} || || '''병역''' ||[[병역면제]] {{{-2 (고도근시)}}} || || '''종교''' ||[[불교]] {{{-2 ([[법명]]: 영성(領星))}}}[* [[서울대학교 총불교학생회]] 출신이며, 초대 청불회장이기도 하다.]|| || '''호''' ||'''위공 爲公'''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 || '''약력'''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br][[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br][[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정책기획수석비서관]][br]대통령비서실 사회복지수석비서관[br]한국개발연구원 정책경영대학원 초빙석좌교수[br][[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br]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장[br][[제17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 [[한나라당]])}}}[br]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br]제7대 [[여의도연구원|여의도연구소장]][br][[국민생각]] 대표[br]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br][[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서울대 법경제학 교수, 청와대 수석비서관, 국회의원 등을 지냈다. == 상세 == 1948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네이버 프로필에는 서울법대 졸업으로 써 있지만, 한국개발연구원 프로필에는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으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미국]] [[코넬 대학교]] 대학원 노동경제학 [[석사]] 및 동 대학원 경제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한국산업은행]] 조사부 법제조사과에서 근무하다가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그리고 모교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경제학]] [[교수]]를 지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김영삼]] 정부의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 및 사회복지[[수석비서관]]을 지냈다. 당시 [[국정기획수석비서관|정책기획수석비서관]]으로 김영삼 대통령이 1994년말 호주 시드니에서 발표했던 [[세계화#s-5|세계화 선언]]을 주도하였다. 사실상 21세기 대한민국을 규정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혹은 미국화 노선을 국내에 처음 제시한 인물이다. 박세일의 세계화론은 이후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지배적인 이념이 되었고,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집권한 민주당계의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도 받아들이면서 박세일이 제시한 정책과제들이 차례로 실현되었다. 김영삼 정부에서 추진하다가 실패했던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대표적이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5022041015&code=990100|참고 시론]]. 김영삼 정부 이후로는 [[한국개발연구원]] 정책경영대학원 초빙석좌교수를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제2번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2005년 신 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주 지역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통과에 반발하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고 [[이성구]] 전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이 승계하였다. 2006년부터 새로운 보수의 과제로 선진화 개념을 주장하면서 [[http://www.hansun.org/|한반도선진화재단]]을 창립하여 [[이사장]]을 지냈다. 2012년 초 [[국민생각]]을 창당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생각]] 후보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구 갑|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김회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7년 1월 13일 오후,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8세.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3/0200000000AKR20170113192051001.HTML|#]] == 여담 == * 서울대 법대에서 교수로 재직하던 1980년대 초, 법대생들에게 경제 관련 과목들을 가르치며 학생들에게 [[사법고시]]보다 [[행정고시]]를 볼 것을 권했다. 로스쿨이 도입되기 전 서울대 법대는 한국 최고의 엘리트들이 가는 곳이었고 법대 특성상 사법고시를 준비하는게 당연한 것이었는데 박세일은 학생들에게 자주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사시 패스한 사람은 어떤 사건이 벌어진 다음, 잘잘못을 따져 뒤처리하는 일을 주로 한다.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지만 지금 한국에는 그보다 더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 있다. 후진국에서 이제 막 벗어난 대한민국을 어떻게 발전시켜 다음 세대에게 선진국을 물려줄 것이냐 하는 과제가 여러분 어깨에 달려 있다. 공직자가 돼 나라를 발전시키려면 무슨 정책을 펴야 하는지, 선진국이 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남보다 앞장서 고민하기 바란다. 이 말에 감동한 서울대 법대 82학번들은 법경제학회라는 학회를 만들었고 여기 참여한 학생들 대부분은 사법고시 대신 행정고시를 택하고 공무원이 되어 공직에 진출하였다. [[https://shindonga.donga.com/List/3/all/13/3868789/1|#]] * 한국법경제학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는데, 한국법경제학회는 그가 출연한 기금을 토대로 2009년부터 매년 위공법경제학상을 시상하고 있다.[[http://klea.ne.kr/awards/rules/|#]] '위공'(爲公)은 《[[예기]]》의 '天下爲公'이라는 구절에서 따온, 박세일의 아호이다. [[http://shindonga.donga.com/3/all/13/879970/1|#]] * 2019년에 [[서울대학교 로스쿨]] 교수들이 그의 주저 《법경제학》의 개정판을 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한나라당)] || '''7,613,660 (38.3%)''' || '''당선 (2번)''' || '''초선'''[* 2005.3.15 의원직 사퇴]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초구 갑|서울 서초 갑]] || [include(틀:국민생각)] || 7,101 (7.32%)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한나라당 제17대 국회 비례대표)]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분류:1948년 출생]][[분류:2017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밀양 박씨]][[분류:당 대표/대한민국]][[분류:여의도연구원 원장]][[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한국개발연구원 출신 인물]][[분류: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법경제학자]][[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서울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위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정책기획수석비서관]][[분류:사회수석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