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박세영)]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세영.png|width=100%]]}}}|| || '''이름''' ||박세영(朴世永) || ||<|2> '''출생''' ||[[1902년]] [[7월 7일]] || ||[[대한제국]] [[한성부]] 남서 두모방 두모포계 두모동[br](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 ||<|2> '''사망''' ||[[1989년]] [[2월 28일]] (향년 86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추정 || || '''학력''' ||[[연희전문학교]] {{{-1 (졸업)}}}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동구]][* 그의 고향이 고양으로 편입된 건 출생 이후인데도 고양군 출신으로 잘못 알려져있다.] 출신 월북 시인. == 생애 == [[송영(1903)|송영]]과 함께 [[배재학당|배재고보]]에 입학하여 교원 강매, 이중화의 영향을 받아 문학을 하기 시작했다. [[3.1 운동]] 당시 송영과 함께 등사신문을 발간해 독립사상을 고취했으며 배재고보 졸업 후 [[상하이]]로 갔다. 문학단체 염군사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황포강반>을 발표했고 귀국후에는 1925년 [[연희전문학교|연희전문]]에 편입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카프 문학운동에 참가했으며, 송영과 함께 [[프롤레타리아]] 동시를 다수 창작하였다. 1928년에는 고향 고양군에서 교원을 역임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동시, 동극을 발표하였다. 1937년 시집 《산제비》를 펴낸 이후 해방까지 절필하였다. 해방 후 1946년 [[월북]]하여 조선문학작가동맹 중앙집행위원장,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출판부장을 역임했고 1947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인 [[애국가(북한)|애국가]]를 작사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는 종군작가로 참전하여 군무자들의 문예 활동과 창작을 지도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에는 요직을 두루 겸하였고, 1955년에는 [[몽골]] 방문 경험을 토대로 <몽고방문시초>를 썼다. 1962년에는 그의 대표작인 서사시집 <<밀림의 역사>>를 썼는데, 북한에서 이 작품은 조기천의 <<백두산>>과 함께 북한의 2대 걸작 서사시로 평가받았다. 그가 지은〈[[임진강(노래)|림진강]]〉은 1950년대에 지은 유행가로, 대한민국에 두고온 가족들과 벗들을 그리워하면서 지은 노래인데 가사 내용 중에 남한의 궁핍한 경제상을 북한의 풍족한 협동벌의 모습과 대조시켜 북한 체제의 우월성을 담으려 했다. 이 노래가 남한에서 유행하자, 정부는 이 노래를 부르지 못하도록 탄압하였지만 1990년대에 다시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가수 [[김연자]]가 서울에서 진행된 텔레비전 음악회에서〈림진강〉을 노래하면서 남한에서도 다시 부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후 [[양희은]], [[김용우]], [[적우]] 등이 리메이크하여 불렀으며, 북조선에서는 재일교포 출신의 성악가 조청미가 불렀다. 이 노래는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에서 널리 불렸는데, 2005년 [[조총련]]을 주제로 한 일본 영화 [[박치기]]의 주제가로 남한에 널리 알려지게 됐다. 1959년 공훈작가 칭호 국가훈장 2급을 받았다. [[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성동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02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북한의 작가]][[분류:월북한 인물]][[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