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박선일의 역대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14번}}}''' || || 김연철[br](1986~1988) || {{{+1 →}}} || '''{{{#ffffff 박선일[br](1989~1993.6.13.)}}}''' || {{{+1 →}}} || [[이상목]][br](1993.6.14.~1998)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5번}}}''' || || 정존수[br](1989~1992) || {{{+1 →}}} || '''{{{#008bd2 박선일[br](1993.6.14.~1993)}}}''' || {{{+1 →}}} || 최형현[br](1995~1996)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번}}}''' || || [[최해명]][br](1989~1992.5.6.) || {{{+1 →}}} || '''{{{#0047ab 박선일[br](1994~1996)}}}''' || {{{+1 →}}} || 박현영[br](1997) || }}} || ---- ||<-2> '''{{{+2 박선일}}}[br]朴善一 | Sun-il Park''' || ||<|2> '''출생''' ||[[1966년]] [[7월 22일]] ([age(1966-07-22)]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서울봉천초등학교|봉천초]] - [[선린중학교|선린중]]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상고]] -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9년/신인드래프트#s-3|1989년 2차 3라운드]]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 '''소속팀''' ||[[빙그레 이글스]] (1989~1993) [br] [[삼성 라이온즈]] (1993~1996) || || '''지도자''' ||[[경희대학교 야구부]] 코치[br][[경동고등학교 야구부]] 코치[br][[원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br][[서울사당초등학교|사당초등학교]] 야구부 감독 || || '''경력''' ||[[한국야구위원회|KBO]] 육성위원회 자문위원 (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야구선수. [[빙그레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다. 포지션은 포수. == 선수 경력 == 1989년 2차 3순위 지명을 받아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했다 타격이 떨어지는 수비형 포수로, 당시 [[유승안]]이 주전 포수였고 [[김상국]]이 백업으로 있던 터라 잠깐 대수비 등으로 1군에 모습을 보이곤 했다. 게다가 당시 감독이었던 [[김영덕]]은 1990년부터 [[북일고등학교 야구부|천안북일고]] 출신의 [[김상국]]을 주전 포수로 등용했고 다음 해에는 또 다른 북일고 출신 [[양용모]]를 백업으로 기용하여 박선일은 설 자리를 잃었고, 1993 시즌 중 투수 [[이상목]]을 상대로 [[삼성 라이온즈]]으로 [[트레이드]]됐다. 1993년 당시 삼성의 포수진은 암울했다. [[이만수]]는 포수로서는 거의 끝났다고 봐도 무방했고, [[김성현(1963)|김성현]]이 주전 포수가 되었는데 문제는 [[김성현(1963)|김성현]]이 공격에 비해 도루저지에 약했던 것. 게다가 1992 시즌을 끝으로 노장 [[박정환(1957)|박정환]]과 OB에서 데려온 [[조범현]]이 이렇다 할 활약 없이 은퇴하며 백업 포수마저 없어진 상황이었다. 그 때문에 삼성은 박선일을 [[트레이드]]로 데려온 것. 참고로 트레이드 상대는 고졸 4년차 투수 [[이상목]]이었는데, 이상목은 1999년 14승을 올리고 한화의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는 등 빙그레/한화에서 뛰어난 활약을 했다. 지금 당장 눈 앞에 보이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삼성은 팀의 미래를 팔아버린 셈. 여하튼 박선일은 [[김성현(1963)|김성현]]을 대신해 주전 포수를 맡았으나 타격이 좋지 못해 하위권 팀들과의 경기나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경기에선 상대적으로 타격이 강한 [[김성현(1963)|김성현]]이 주전으로 기용되었는데, 1993년 [[KBO 플레이오프/1993년|플레이오프]] 1차전부터 주전으로 낙점됐지만 3차전에서 1루에 헤드퍼스트 [[슬라이딩]]을 하다가 손가락 부상을 당해 시즌 아웃당했으며 삼성은 천신만고 끝에 3승 2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2승 1무 1패로 앞서 나갔으나 박선일의 공백을 극복하지 못한 채 5~7차전에서 해태에게 도루 12개를 허용하면서 결국 2승 1무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도루 12개중 [[이종범]]한테 7개를 허용하였다.][* 부상 당하지 않았다면 시리즈 결과는 달라졌을것이다.] 아무튼 두 포수는 서로 다른 스타일로 투수를 이끌어 팀의 1993년 정규 시즌 2위와 [[박충식]]-[[김상엽]]-[[김태한]]-[[성준(야구선수)|성준]] 등 [[선발 투수|선발]] 4명이 10승 이상을 기록하는데 기여했다. 하지만 1994년 이후로 삼성이 팀 [[리빌딩]]에 소홀히 했던 문제가 터지며 포스트 시즌 진출에도 실패하고 말았으며, 이 과정에서 [[우용득]] 감독이 1995년 시즌 후 해임되었고 [[백인천]] 감독이 새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결국 팀 쇄신에 들어가면서 베테랑 선수들을 좋아하지 않는 [[백인천]] 감독은 2년생 포수 [[김영진(야구)|김영진]]을 주전으로 기용했으며, 타격에서 별볼일 없었던 박선일은 1996년에 방출되고 그대로 은퇴했다. 하지만 김영진은 박선일보다도 더욱 한심하게 타격이 약했으며, 둘을 비교하는게 박선일한테는 실례가 되었다. 박선일이 만약 큰 부상 없이 1997년을 뛰었다면 삼성의 타선은 더욱 막강했을지도 모른다.--중간만 해줘도-- 박선일이 은퇴하고 [[김성현(1963)|김성현]]이 쌍방울로 이적하며 삼성은 [[김영진(야구)|1995년 2차 1순위로 지명한 전도유망한 포수]]를 주전으로 기용하게 되었는데, 그 이후 [[김영진(야구)|그 포수가 어떻게 되었는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삼성의 포수난은 1999년 7월 마감일에 현금 [[트레이드]]로 데려온 [[진갑용]]이 [[조범현]] 배터리코치의 손을 거쳐 성장하기 전까지 지독하게 이어졌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에는 [[경희대학교]]와 [[경동고등학교 야구부|경동고]] 코치를 거쳐 [[원주고등학교 야구부|원주고]]에서 감독을 맡았고, 현재는 사당초등학교 야구부 감독이다. 원주고 재임 때 그를 거친 선수가 [[SK 와이번스|SK]] 외야수 [[김재현(1987)|김재현]]이다. == 근황 == 현재는 이수역 부근에 [[https://naver.me/5YwNhLok|시고르통다르닭 이수역점]]이라는 치킨집의 사장으로 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9 ||<|4>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10 || 16 || .188 || 3 || 1 || 0 || 0 || 1 || 1 || 0 || 1 || .250 || .235 || || 1990 || 10 || 8 || .000 || 0 || 0 || 0 || 0 || 0 || 1 || 0 || 1 || .000 || .011 || || 1991 || 4 || 6 || .333 || 2 || 1 || 0 || 1 || 2 || 2 || 0 || 1 || 1.000 || .429 || || 1992 || 2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3 ||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삼성 라이온즈|삼성]] || 51 || 86 || .302 || 26 || 4 || 0 || 0 || 7 || 9 || 1 || 7 || .349 || .351 || || 1994 ||<|3> [[삼성 라이온즈|삼성]] || 96 || 177 || .232 || 41 || 8 || 0 || 2 || 16 || 16 || 2 || 17 || .311 || .293 || || 1995 || 73 || 125 || .216 || 27 || 1 || 1 || 3 || 11 || 8 || 0 || 12 || .312 || .285 || || 1996 || 43 || 76 || .250 || 19 || 5 || 0 || 1 || 7 || 5 || 0 || 3 || .355 || .279 || ||<-2> '''[[KBO 리그|{{{#0275d8 KBO}}}]] 통산''' [br] (8시즌) || 289 || 495 || .238 || 118 || 20 || 1 || 7 || 44 || 42 || 3 || 42 || .325 || .29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빙그레 이글스]]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1989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선린중학교 출신]][[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