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원내총무)]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원내대표)]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총재 및 대표)] ---- [include(틀:국민의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 [include(틀:민주당(2005년) 대표)]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대표)] ---- [include(틀:민주당(2007년) 대표)]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대표)]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6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cfa547 전남}}}]] [[고흥군·보성군|{{{#cfa547 고흥군}}}]])'''}}} || || ''선거구 개편''[br][[이대순]][* 고흥군·보성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br][[류준상(1942)|류준상]][* 고흥군·보성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13-16대[br]박상천''' || → || ''선거구 개편''[br][[신중식]][* [[고흥군·보성군]]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6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d2af6d 전남}}}]] [[고흥군·보성군|{{{#cfa547 고흥군·보성군}}}]])'''}}} || || 제17대[br][[신중식]] || → || '''제18대[br]박상천''' || → || 제19대[br][[김승남]]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보건복지위원회|{{{#cfa547 보건사회위원장}}}]]'''}}} || || 제14대 전반기[br][[장기욱]] || → || '''제14대 후반기[br]박상천''' || → || 제15대 전반기[br][[신기하]][* 임기 중 작고.]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580009,#fe8f9a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국회운영위원회|{{{#cfa547 운영위원장}}}]]'''}}} || || 제15대 후반기[br][[손세일]] || → || '''제15대 후반기[br]박상천''' || → || 제16대 전반기[br][[정균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대한민국 법무부|{{{#ffffff 대한민국 제47대 법무부장관}}}]][br]{{{#ffffff {{{+1 박상천}}}[br] 朴相千 | Park Sang-ch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상천 장관 프로필.jpg|width=100%]]}}} || ||<|2> '''{{{#white 출생}}}''' ||[[1938년]][* 1988년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는 1939년생으로 되어 있었다.] [[10월 31일]]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고흥면]] 서문리 64번지[* [[https://blog.naver.com/swlee8585/220447108256|#]]] || ||<|2> {{{#fff '''사망'''}}} ||[[2015년]] [[8월 4일]] (향년 76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fff '''묘소'''}}} ||[[경기도]] [[광주시]] [[능평동]] || || {{{#fff '''본관'''}}} ||[[밀양 박씨]] || ||<|2> {{{#fff '''재임기간'''}}} ||제47대 [[법무부 장관]] ||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배우자'''}}} ||김금자 || || {{{#fff '''자녀'''}}} ||아들 박유선[* 2000년에 [[SBS]] [[공채]] [[PD(방송)|PD]]로 입사해 편성팀 등에서 근무했다.], 장녀 박민선[* [[제일모직]]에서 근무했다. 배우자 김욱준(金郁埈, 1972. 9. 12 ~ )도 제3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을 28기로 수료한 검사이다.], 차녀 박태희[* [[SK텔레콤]]에서 근무했다.] || || {{{#fff '''학력'''}}} ||고흥유치원 {{{-2 (졸업)}}}[br]고흥동초등학교 {{{-2 ([[졸업]] / 39회)}}}[br]고흥중학교 {{{-2 (졸업 / 8회)}}}[br][[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 {{{-2 (졸업 / 6회)}}}[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만기전역 {{{-2 ([[군법무관]])}}} || || {{{#fff '''의원 선수'''}}} ||'''5''' || || {{{#fff '''의원 대수'''}}} ||'''[[제13대 국회의원|13]], [[제14대 국회의원|14]],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제18대 국회의원|18]]''' || || {{{#fff '''최종 당적'''}}}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 {{{#fff '''경력'''}}} ||제13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br][[평화민주당]] [[대변인]][br][[제13대 국회의원]] {{{-2 (전남 고흥군 / [[평화민주당]])}}}[br][[평화민주당]] 원내부총무[br][[신민주연합당]] [[대변인]][br][[제14대 국회의원]] {{{-2 (전남 고흥군 / [[민주당(1991년)|민주당]])}}}[br][[민주당(1991년)|민주당]] [[최고위원]][br][[제14대 국회]] 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치관계법심의특별위원회]] 간사[br]제14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보건사회위원회]] 위원장[br][[제15대 국회의원]] {{{-2 (전남 고흥군 / [[새정치국민회의]])}}}[br][[새정치국민회의]] [[원내대표|원내총무]][br][[제15대 국회]] 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br][[새천년민주당]] [[원내대표|원내총무]][br][[제16대 국회의원]] {{{-2 (전남 고흥군 / [[새천년민주당]])}}}[br][[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br]제47대 [[법무부 장관]] {{{-2 ([[국민의 정부]])}}}[br][[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공동대표[br][[제18대 국회의원]] {{{-2 ([[고흥군·보성군|전남 고흥군·보성군]]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br][[민주통합당]] 상임고문[br][[민주당(2013년)|민주당]] 상임고문[br][[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법조인]]. [[독립유공자]]이자 [[문교부]] 차관을 지낸 [[성동준]]은 박상천의 [[https://blog.naver.com/swlee8585/220447108256|외숙부이다]]. == 생애 == 1938년 10월 31일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고흥면]](現 [[고흥군]] [[고흥읍]]) 서문리 64번지에서 아버지 박생순(朴生順)과 어머니 [[창녕 성씨]] 사이에서 5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고흥유치원, 고흥동초등학교(39회), 고흥중학교(8회), 1957년 [[광주고등학교(광주)|광주고등학교]](6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박상천의 선조들은 조부 박종대(朴種大)의 대까지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에서 대대로 살아왔는데, 박종대의 대에 이르러 박상천의 아버지 박생순을 6년제 고흥공립보통학교(現 고흥동초등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1928년 봄에 고흥군 도화면 발포리에서 고흥면 서문리로 이주했다.[* 그래서 동네 사람들이 박상천의 집을 '발포집'이라고 [[https://m.blog.naver.com/swlee8585/220447108256|불렀다고 한다]].] 이후 아버지 박생순은 [[일본]]으로 건너가 [[주오대학]]을 졸업했다. 어머니 성씨는 [[경기도]] [[경성부]]에서 [[배화여자고등학교|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1년 제13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고, 이듬해인 1962년 서울대학교 졸업 후 [[군법무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 임관했다. 예편 후 1965년 [[광주지방법원]] 판사 및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판사]], 1966년 [[광주지방검찰청]] [[검사(법조인)|검사]], 1968년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검사, 1970년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1973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1974년 [[제주지방검찰청]] 검사, 1976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1978년 광주지방검찰청 검사, 1979년 [[서울동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동부지청]] 검사를 거쳐 1981년 5월 1일부터 1982년 8월 15일까지 [[https://www.spo.go.kr/site/nonsan/ex/general/General_List.do|제19대]] [[대전지방검찰청 논산지청|대전지방검찰청 강경지청]]장, 1982년 8월 16일부터 1983년 8월 16일까지 [[https://www.spo.go.kr/site/jeongeup/ex/general/General_List.do|제23대]] 전주지방검찰청 정읍지청장, 1983년 8월 17일부터 1985년 3월 11일 [[https://www.spo.go.kr/site/gunsan/ex/general/General_List.do|제22대]] [[전주지방검찰청 군산지청]]장, 1985년 3월 12일부터 1987년 6월 14일까지 [[https://www.spo.go.kr/site/suncheon/ex/general/General_List.do|제27대]]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검사직에서 물러나 [[순천시]]에서 [[변호사]]를 개업해 활동했다. 1988년 초 [[평화민주당]] [[김대중]] 총재의 재야 영입 케이스로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그 해 치러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남도 고흥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직 국회의원이던 [[민주정의당]] [[이대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고등고시 사법과 동기인 [[박희태]] [[민주자유당]] 의원이 대변인으로 임명되고 자신도 평화민주당 대변인이 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민주자유당]] [[지연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제14대 국회 후반기 [[대한민국 국회]] 보건사회위원회(현 보건복지위원회) 상임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신한국당]] [[최문휴]]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가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직후인 1998년 3월 3일부터 1999년 5월 23일까지 [[https://www.moj.go.kr/minister/2090/subview.do?enc=Zm5jdDF8QEB8JTJGcHJvZmwlMkZtaW5pc3RlciUyRjclMkYxODYlMkZhcnRjbFZpZXcuZG8lM0ZwYWdlJTNEMyUyNnNyY2hDb2x1bW4lM0QlMjZzcmNoV3JkJTNEJTI2|제47대]] [[법무부장관]]을 겸직하였다. 법무부장관 임기가 끝난 뒤에는 새정치국민회의 원내총무에 선임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무소속]] [[신금식]]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 해 추석 귀경길 도중 정체된 차량들을 빠져나와 경찰 호위를 받으며 도로를 역주행하여 논란이 되었다.[[http://naver.me/FVPycH4V|출처]] 이후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노무현]] 후보와 대립하였다. 박관용 회고록에 따르면, '노무현 대통령이 박상천과 [[정균환]] 이름만 들어도 질색'했을 정도였다고. [[https://news.v.daum.net/v/20160903130105124|출처]] 이로 인해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고흥군·보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신중식]][* 전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인 [[신형식]]의 친동생이다.]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무소속]] [[진종근]]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8대 국회]]에서 야당 몫의 [[국회부의장]]이 되길 원하였으나 전반기에는 [[문희상]], 후반기에는 [[홍재형]]에 밀려서 되지 못하였다. 이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민주통합당]], [[민주당(2013년)|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고문으로 있다가 2015년 8월 4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지병인 [[혈액암]]으로 별세하였다. [[향년]] 76세. == 여담 == [[박진영]] [[JYP엔터테인먼트]] 대표의 당숙부이다. 차녀는 [[뮤지컬 배우]] [[김소현(1975)|김소현]]의 남동생과 [[결혼]]하였다. 지독한 [[애연가]]로, 하루 3갑 넘게 [[담배]]를 피웠으며, 비흡연자 의원들은 오죽하면 그와 회의를 하는 것을 꺼릴 정도였다. [[김대중]] 전 앞에서도 당당하게 담배를 피웠으며, 혐연가였던 [[권노갑]]이 담배를 못 피우게 하자 설전을 벌인 적도 있다(...). 거기에 오랫동안 같이 정치를 한 [[한화갑]] 역시 박상천의 골초 기질엔 학을 뗐는데, 신문 사진에서도 박상천이 담배를 피우며 웃고 있을때 한화갑은 담배 연기를 손으로 털어내는 사진이 찍힌 바도 있다.(...) [[김성순]]은 자신의 시에서 "담배를 사랑하며 연기로 산다. 피우고 피우고 또 피운다. 한 번 뿜는 연기 속에 지혜가 솟고 두 번 뿜는 연기 타고 논리가 흐른다."라고 박상천을 묘사하기도 했다. 이러고도 76세까지 산 게 기적이라면 기적인데, 사실 박상천은 골초긴 하나 연기를 들이마시지 않고 입에 머금다가 뱉는 소위 '''겉담'''을 했다. 법무부장관 시절 폐검사를 한 적이 있는데, 폐가 깨끗했다고 한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000707/7555978/1|#]] 문제는 이게 박상천 이후로 민주당의 문화가 되어서 [[이해찬]], [[문희상]], [[김한길]] 등도 박상천의 현역 시절처럼 실내에서 마음껏 펴댔다는 거다. 보수계열 정당의 [[박희태]]와는 영원한 정치적 맞수로 유명했다. [[1938년]] 생 동갑에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57학번 동기이고, 1961년 제13회 [[사법시험|고등고시 사법과]]에 나란히 합격하였으며, 동기로 [[사법연수원]]을 수료한 후 둘 다 1966년 [[검사(법조인)|검사]]의 길을 걸었다.[* 박희태는 1966년 바로 [[청주지방검찰청|청주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반면, 박상천은 1965년 먼저 [[판사]]로 임용되고 1년 뒤 검사로 전직하여 [[광주지방검찰청|광주지검]]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을 통해 동시에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초선 의원 시절 각각 [[민주정의당|민정당]]과 [[평화민주당|평민당]]의 대변인으로 유명세를 날렸다. 또한 둘 다 [[문민 정부]]와 [[국민의 정부]] 시절 [[법무부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제15대 국회|15대 국회]]이던 1997년에는 함께 3선 의원으로서 각각 [[신한국당]]과 [[새정치국민회의]]의 [[원내대표|원내총무]]로 대립했다. [[제18대 국회|18대 국회]]까지 박희태는 내리 6선[* 다만 박희태는 6선의 경우에는 정식 총선은 공천에서 탈락해서 출마하지 못했다가 이듬해 보궐선거에서 [[허범도]]가 선거법을 위반해서 의원직을 상실한 것을 운좋게 본인이 차지한 뒤 당선돼서 중도에 정계에 복귀했다.], 박상천은 [[제17대 국회|17대 국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당선되어 5선 의원이 되었다. 공교롭게도 2012년 2월 9일 박희태 당시 국회의장은 돈봉투 파문의 책임을 지고 사퇴를 선언하였는데, 박상천 의원도 같은 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함께 정치 인생을 마무리짓게 되었다. 다만 둘의 성격은 대조적이었다. 박희태가 [[능구렁이|좀처럼 화를 내지 않고 유머러스한 화법]]을 썼다면, 박상천은 직설적인 논평으로 유명했다. 박상천이 혈액암으로 세상을 떠난 후 박희태는 "한 마리 짝 잃은 거위가 됐다."며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여담으로, 박희태는 정치 인생 말년이 매우 좋지 못했는데, 돈봉투 사건도 그렇고, 특히 2014년 가을에는 [[골프장]]에서 [[캐디]]를 [[성추행]]해 유죄를 선고받아 [[새누리당]]에서도 제명됐다. 똑같이 호남 기반 정치인이었던 [[김영진(1947)|김영진]] 전 의원과는 의원 선수(13-16, 18대)가 정확하게 같다. 13대 총선이 첫 선거에 새천년민주당 잔류파고, 탄핵 역풍이 분 17대 총선에서는 낙선했다가 18대 총선 때 나란히 원내 복귀를 했다. 차이점은 박상천은 본인의 고향인 [[고흥군]]에 계속 출마한 반면 김영진은 13-15대까지는 역시 본인의 고향인 [[강진군]]에서 내리 3선을 한 뒤 16대 때는 [[천용택]] 전 의원에 공천에 탈락해 전국구로 배정받았고, 17대부터는 [[광주광역시]]로 기반을 옮겼다는 것이다. == 선거 이력 ==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2> {{{#fff 비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4> 전남 고흥 || [include(틀:평화민주당)] || '''54,513 (68.56%)''' ||<|4> '''당선 (1위)''' ||<-2> '''초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1,207 (60.88%)''' ||<-2> '''재선''' [* 1995년 탈당, [[새정치국민회의]] 입당]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43,081 (77.09%)''' ||<-2> '''3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0,312 (73.06%)''' ||<-2> '''4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남[br][[고흥군·보성군|고흥·보성]] || 25,246 (31.43%) || 낙선 (2위) ||<-2> [* 5번의 선거 중 처음이자 마지막 낙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6,407 (56.03%)''' || '''당선 (1위)''' ||<-2> '''5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2.jpg|width=100%]]}}}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3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4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4.jp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5.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상천 6.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보성군)}}}]]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고흥군·보성군|{{{#000000,#e5e5e5 (전남 고흥군·보성군)}}}]]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 - 1991 || 정계 입문 || || [include(틀:신민주연합당)] || 199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5 || 합당[* [[민주당(1990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탈당[*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5 - 2000 || 창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5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2005 - 200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 2007 || 합당[*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7년))] || 2007 - 2008 || 당명 변경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br]사망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전라남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평화민주당 국회의원]][[분류:신민주연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1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고흥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1938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새천년민주당 총재 및 대표]][[분류:민주당(2005년) 대표]][[분류:중도통합민주당 대표]][[분류:민주당(2007년) 대표]][[분류:통합민주당(2008년) 대표]][[분류:새천년민주당 원내대표]][[분류:광주고등학교(광주)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법무부 장관]][[분류:밀양 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