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교수이자 의사, rd1=박상은(1958))]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인천광역시|{{{#cfa547 인천}}}]] [[중구·동구·옹진군|{{{#cfa547 중구·동구·옹진군}}}]])'''}}} || || 제17대[br][[한광원]] || → || '''제18-~~19~~대[br]~~박상은~~'''[*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 → || ''선거구 개편''[br][[안상수(인천)|안상수]][*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 이다.] || ---- ||<-5> {{{+1 [[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height=40]]]] [[인천광역시|{{{#005bab,#54afff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부시장|{{{#005bab,#54afff '''정무부시장'''}}}]]}}} || ||<-5> [[최기선|{{{#ffffff ''' 최기선 시정 ''' }}}]] || || 2대[br][[유필우]] || → || ''' 3대[br]박상은 ''' || → || 4대[br][[박영복]] || ---- ||<-2> '''{{{#fff 대한민국 제18·19대 국회의원 [br] {{{+1 박상은}}}[br]朴商銀 | Park Sange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상은 최신.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49년]] [[9월 1일]] ([age(1949-09-01)]세) || ||[[경기도]] [[강화군]] 삼산면[br](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 || {{{#ffffff '''현직''' }}} ||[[국민의힘]] 인천시당 고문 || ||<|2> {{{#ffffff '''재임기간'''}}} ||제3대 [[인천광역시 부시장|인천광역시 정무부시장]] {{{-2 ([[최기선|최기선 시정]])}}} || ||[[2000년]] [[5월 29일]] ~ [[2001년]] [[9월 7일]] || || '''{{{#ffffff 학력}}}''' ||해명초등학교 {{{-1 (졸업)}}}[br]송도중학교 {{{-1 (졸업)}}}[br]경동고등학교 {{{-1 (졸업)}}}[br]연세대학교 {{{-1 (법학 /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1 (법학 / 석사)}}} || || '''{{{#ffffff 종교}}}''' ||[[무종교]] || || '''{{{#ffffff 본관}}}''' ||[[밀양 박씨]]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제19대 국회의원 목록|19]]''' || || '''{{{#ffffff 병역}}}''' ||[[해군]] [[대위]] 전역 || || '''{{{#ffffff 가족관계}}}''' ||배우자 강희순, 슬하 2남 1녀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경력}}}''' ||[[대한전선]] 수출부 입사[br][[대한제당]] 대표이사 사장[br][[대한제당]] 부회장[br][[한국무역협회]] 이사 및 통상위원[br]인천상공회의소 부회장[br][[전경련]] 대외협력위원회 자문위원[br][[경인방송]] 대표이사 회장[br]제3대 [[인천광역시 정무부시장]] {{{-2 ([[최기선|최기선 시정]])}}}[br][[이명박]]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가경쟁력강화특위 전문위원[br][[제18대 국회의원]] {{{-2 ([[중구·동구·옹진군|인천 중구·동구·옹진군]] / [[한나라당]])}}}[br][[제19대 국회의원]] {{{-2 (인천 중구·동구·옹진군 / [[새누리당]])}}}[br]한국학술연구원 이사장[br]인천경제시민포럼 이사장[br]대한민국해양연맹 부총재[br]대한민국 [[해군]]OCS장교 중앙회 명예회장[br][[최재형]] [[열린캠프(최재형)|열린캠프]] 공동자문위원장[br][[국민의힘]] 인천시당 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가, [[정치인]]. == 생애 == 1949년 [[경기도]] [[강화군]] 삼산면에서 태어났다. 해명국민학교, [[송도중학교(인천)]], [[경동고등학교]](23회), [[연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전선]]에 입사했다가 대한제당으로 옮겨 사장까지 역임하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에서 [[남동구 갑]]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탈락하였다. 총선이 끝난 직후에 [[최기선]] 시장의 부름을 받고 [[인천광역시]] 정무부시장을 역임한다.[* 부시장 당시의 경력을 허위 기재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부시장 재임 당시 경제 관련 업무를 맡았는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정무부시장이라는 직함을 '경제부시장'이라고 허위 기재해 논란이 됐다. 결국 이 행위로 인하여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유죄를 선고받았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인천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안상수(인천)|안상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공교롭게도 후술할 뇌물수수 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후, 다음 총선에서 안상수가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열린우리당]] 인천 [[서구·강화군 을]]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신동근]] 후보에게 석패한다.[* 여담으로 신동근은 18대 총선때는 공천탈락하였고, 19대 총선 2015년 재보궐에도 같은 지역에 계속 출마하였으나 [[강화군]]의 보수세로 번번히 낙선하였다. 마침 20대 총선에 강화군이 [[중구·동구·옹진군]] 선거구에 합쳐졌고 새롭게 개편된 [[서구 을(인천광역시)|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해 드디어 국회 입성에 성공하였고, 21대 총선에서도 연임에 성공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의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동구(인천광역시)|동구]]-[[옹진군(인천)|옹진군]] [[선거구]]에 공천을 받아 현역 국회의원인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한광원]]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친이]]계도 [[친박]]계도 아닌 중립에 속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불법 정치자금 혐의''''로 구속되었다가 2015년 12월 대법원에서 당선무효에 해당하는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 벌금 300만원, 추징금 8065만원을 선고받고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https://m.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23341.html#cb|대법원 판결]] 2014년 [[임수경]] 전 의원을 [[종북]]이라고 비판했다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했으나, 2019년 6월 13일 [[대법원]]은 '''"국회의원에게 '[[종북]]'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인신공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앞서 1심에서는 "의견 내지 논평을 표명한 것에 불과할 뿐"이라며 [[명예훼손]]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지만, 2심에서는 원고 일부 승소로 200만원 배상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대법원은 "비판적 표현이 상당히 악의적인 정도에 이르지 않는 한 인격권 침해로 보기 어렵다", "정치인 등 공적 인물에 대해 광범위하게 문제제기가 허용돼야 한다"며 소송을 [[고등법원]]으로 [[파기|파기환송]]했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7/2019061790124.html|#]] 참고로, 본 재판에는 14명의 [[대법관]] 중 [[박상옥(법조인)|박상옥]], [[안철상]], [[노정희]], [[김상환]] 4명이 참여하였고 이들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판결한 것이다. 4명 중 박상옥 제외 3명은 [[김명수(법조인)|김명수]]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사람들이다. [[http://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gubun=4&type=5&seqnum=6699|대한민국 대법원]] {{{#!folding [대법원 판례 요지] >◇‘종북의 상징’이라는 표현행위가 의견표명으로서의 한계를 벗어나 모욕적이고 경멸적인 인신공격에 해당함으로써 불법행위를 구성하는지 여부(소극)◇ >표현행위자가 타인에 대하여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한 때에 그 표현행위의 형식과 내용 등이 모욕적이고 경멸적인 인신공격에 해당하거나 혹은 타인의 신상에 관하여 다소간의 과장을 넘어서서 사실을 왜곡하는 공표행위를 함으로써 그 인격권을 침해한 경우에는 의견표명으로서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서 불법행위가 될 수 있다(대법원 2009. 4. 9. 선고 2005다65494 판결 등 참조). >한편, 정치인이나 공직자 등 공적인 인물의 공적 영역에서의 언행이나 관계와 같은 공적인 관심사안은 그 사회적 영향력 등으로 인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공개․검증되고 문제제기가 허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에 대한 비판적인 표현이 악의적이거나 현저히 상당성을 잃었다고 볼 정도에 이르지 않는 한, 이를 쉽게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거나 법적인 책임을 져야한다고 볼 것은 아니다. 더욱이 국민의 대표자인 국회의원은 입법과 국정통제 등에 관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받고 나아가 그 직무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면책특권을 보장받는 등으로 통상의 공직자 등과도 현격히 다른 발언의 자유를 누리는 만큼(대법원 2014. 8. 20. 선고 2012다19734 판결 참조) 그의 공적 영역에서의 활동 등에 대한 비판도 더욱 폭넓게 수인되어야 한다. >의견표명으로 인한 불법행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해당 표현행위의 내용․형식뿐 아니라 표현행위가 행해진 정황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 피고가 2013. 7. 30. 당시 인천광역시장을 비판하면서 “천안함 46용사의 영혼이 잠들어 있는 백령도 청정해역에 종북의 상징인 임 모 국회의원”이라는 내용이 포함된 성명을 발표하자 원고가 ‘종북의 상징’이라는 표현행위로 인해 인격권이 침해되었음을 이유로 위자료를 청구한 사건에서, 이 사건 성명서에서 ‘종북의 상징’이라는 용어는 ‘북한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대표적 인물’이라는 취지로 사용되었다고 보이고 이는 모욕적 언사에 해당한다고 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표현행위가 지나치게 모욕적이고 경멸적인 인신공격에 해당하여 의견표명으로서의 한계를 벗어났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서 이와 달리 불법행위를 구성한다고 판단한 원심을 파기환송한 사례임 >---- >‘종북의 상징’이라는 표현행위로 인한 인격권 침해를 이유로 한 위자료 청구 사건 [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4다220798]}}} == 비판 및 논란 == === [[경인방송]]을 자신의 선거 캠프로 악용하다 === 2003년 1월 인천지역 상공인들의 추천으로 [[경인방송]] 대표이사 회장에 취임했다. 그가 정무부시장을 지내고, 2002년 광역시장 선거에서 낙선한 전력 때문에 많은 이들로부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차기 인천광역시장 선거]]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노리고서 대표이사를 맡은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런데 그것이 사실로 드러났다.]]''' 2004년 1월, 경인방송 노조가 모 정치 컨설팅 업체가 작성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박상은의 선거전략'이라는 문건을 공개했고, 이 문건을 통해 경인방송의 TV 프로를 자신의 이미지메이킹 용으로 악용하고, 여기에 비판적인 제작진들을 인건비 절감이라는 구실로 [[해고]]한 사실이 알려진다. 이로 인해 입지가 좁아진 박상은은 결국 2004년 2월 23일 사퇴하지만, 정신을 못 차리고 [[열린우리당]] [[서구·강화군 을]] 선거구 공천을 신청하면서 자폭한다.[* 다만 공천은 [[신동근]]이 받았다.] 그리고 SBS와 정부에 의해 비수도권 송출이 막히면서 시청률이 저하된 데다가 박상은 회장 시절의 노사분규[* 이외에도 최대 주주였던 [[OCI]](당시 동양제철화학)의 출자 거부도 한 몫 했다.]로 인해 만신창이가 된 경인방송은 벼랑 끝에 내몰려 그 해 여름 [[방송통신위원회|방송위원회]]의 재승인 허가를 받지 못해 2004년 12월 31일 파산한다.[* 다만 라디오 방송은 이듬해 3월 1일부터 재개되었다.] 결국 ITV 보도국 제작진들은 메인뉴스인 뉴스10에서 박상은 대표이사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는데, 이 사건은 훗날 ITV가 '시대를 앞서간 방송국'으로 2019년 재조명받을 때 다시 주목받게 된다. [[https://www.dogdrip.net/220152257|#]] === [[음주운전]] & [[무면허운전]] === [[2007년]] [[8월]], 서울 강남에서 [[음주운전]]을 하던 중 음주측정을 거부하고 도주하려다가 [[운전면허]] 취소 처분 및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이후 운전면허도 재취득하지 않고 무면허로 운전하다가 [[2007년]] [[12월]] 또 적발되어서 이번엔 벌금 100만원을 추가로 선고받았다. === 뇌물수수 === 상기 소개 문단 참고 === [[윤상현(정치인)|윤상현]]과의 갈등 === [[21대 총선]]에서 소속 정당인 [[미래통합당]]이 인천지역 여론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막장공천으로 인천지역에서 참패했는데[* 이전까지 인천은 보수정당 우세 내지 경합 열세 정도로 수도권임에도 서울, 경기권보다 보수성향이 강했다.] 이에 지역기반이 탄탄한 [[미추홀구 을]]의 [[윤상현(정치인)|윤상현]] 의원이 석연찮은 이유로 컷오프 당한다거나 연수구 을의 공천 번복 사태[* 지역구 현역의원인 민경욱을 컷오프하기로 했다가 원래 공천을 받았던 [[민현주]] 전 의원과의 경선으로 변경하여 경선에서 승리한 민경욱이 공천을 받게되었다. 그러나 민경욱의 선거법 위반 논란으로 공천을 철회했다가 공천철회를 취소하여 공천을 며칠사이에 4번이나 번복하는 공당의 공천시스템이라고 보기 힘든 수준의 사태가 자행되었다. 그리고 [[민경욱]]은 이로 인해 21대 총선에서 [[낙선]]해버렸다.] 등으로 인천지역의 미래통합당 후보들이 피해를 입게 되었는데 이에 무소속 출마 후 당선된 윤상현 의원이 이번에 미추홀구 을의 공천이 잘못된 데[* 지역기반이 탄탄한 윤상현을 컷오프하고 뜬금없이 [[계양구 갑]]에 출마를 선언했던 안상수 의원을 공천해버렸다. 윤상현이 [[당선]]되긴 했지만, [[안상수(인천)|안상수]]가 15% 이상 득표하는 바람에 하마터면 [[지역구]]를 [[더불어민주당]]([[남영희]])에 헌납할 뻔했다.]에는 인천 지역구 출신 P모 전 의원이 입김을 불어넣은 것이 결정적이였다는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 이 P모 전 의원이 바로 이 사람이다. 윤 의원의 인터뷰에 따르면 [[본인]]이 지역 내에서 당 지지율보다 개인 지지율이 높기 때문에 컷오프시켜야 한다는 해괴한 논리를 들이대서 [[김형오]] 위원장에게 바람을 넣었다고 한다. [[https://m.blog.naver.com/shoon1962/221839738767|#]]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인천광역시장]]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25,210 (32.11%) || 낙선 (2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 인천 [[중구·동구·옹진군|중·동·옹진]] || [include(틀:한나라당)] || '''30,764 (47.25%)''' || '''당선 (1위)''' || '''초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2,995 (52.59%)'''~~ || ~~'''당선 (1위)''' ~~ || ~~'''재선'''~~ [* 2015.12.24: 당선무효[br](정치자금법 위반)]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krtkddms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krtkddms2.jpg|width=100%]]}}}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3회 지선}}}]] [[인천광역시장|{{{#000000,#fff (인천광역시장)}}}]]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8대 총선}}}]] [[중구·동구·옹진군|{{{#000000,#fff (인천 중구·동구·옹진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krtkddms3.jpg|width=100%]]}}} ||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중구·동구·옹진군|{{{#000000,#fff (인천 중구·동구·옹진군)}}}]] || ||}}}}}}}}} || [[iTV]] 회장을 지낸 경력은 흑역사인지라, 홍보물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9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2001 || 탈당[*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1 - 2003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한나라당]] 입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7 - 2012 || 입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인천광역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1949년 출생]][[분류:강화군 출신 인물]][[분류:인천광역시 부시장]][[분류:경동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해군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