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짧게 산다는 의미의 박명과 그 예시, rd1=미인박명)] [include(틀:천문학)] [목차] [[파일:PXL_20210313_205554590.NIGHT.jpg|width=800]] == 개요 == 박명([[薄]][[明]], [[트와일라잇|Twilight]])은 해가 뜨기 전이나 해가 진 후에도 햇빛이 옅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일상적인 한국어로는 아침 박명을 [[여명]](黎明)[* 좀 더 일상적으로는 '동틀 무렵'이나 '하늘이 밝아올 때'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저녁 박명을 [[황혼]](黃昏)이라고 부른다. 박명은 대기가 지평선 아래 태양빛을 산란해서 생기는데, 태양이 지평선 아래 18°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지속되며, 태양의 각도에 따라 밝기가 다르다. 18°를 3등분하여 3단계로 구분한다. 길이는 춘분과 추분 무렵에 가장 짧으며, 그 다음으로 동지 무렵이 길고 하지 무렵이 가장 길다. 이는 한국 기준이고 위도가 높은 지역은 그 지역의 동지에 해당하는 날짜가 박명이 더 길 수 있는데 이는 백야 때문에 하지에 해당하는 날짜에 아예 박명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 분류 == * '''상용박명(Civil Twilight)'''[* 영문 표현을 직역하면 '시민'박명이 되지만 해당 표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지 않았다.] [[일출]] 전, [[일몰]] 후부터 [[태양]]이 [[지평선]] 아래 6°에 위치할 때의 박명이다. 일출이 임박해 있거나 일몰 직후이므로, '''야외에서 책을 읽거나, 산 속을 걸어다닐 수 있다.''' 서울 기준으로 약 30분간 지속되며 고위도로 갈수록 길어진다. [[별]]은 볼 수 없어도 [[금성]] 정도는 볼 수 있다. '민간박명', '시민박명'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상용박명은 낮과 밤의 경계로 인식되며, 오히려 낮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 '''항해박명(Nautical Twilight)''' 태양이 지평선 아래 6°에서 부터 12°까지 위치할 때의 박명으로 '해상박명'이라고도 부른다. 야외활동은 힘들지만 평지 야외에서 '''사물을 식별할 수 있고''' 별도 보이며, 하늘과 산의 공제선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해 및 군에서 중요하다. 위의 예시 사진이 항해박명때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항해박명부터는 확실히 밤으로 보지만, 완전한 밤으로 보기에는 다소 애매한 시점이다. * '''천문박명(Astronomical Twilight)''' 태양이 지평선 아래 12°에서부터 18°까지 위치할 때의 박명이다. 이때는 불빛이나 도구 없이는 사물들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수평선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오전의 천문박명부터 오후의 천문박명까지는 '''모든 별들이 완전히 보이지는 않으며 [[은하수]]도 볼 수 없다.''' 서울을 기준으로 천문박명은 항해박명 전후로 30~40분간 지속되며 고위도로 갈수록 길어진다. 항해박명보다 조금 더 길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천문박명부터는 완전히 어두워진 밤으로 느끼며, 특히 별빛이 잘 보이지 않는 지역이라면 천문박명 이후 밤과의 구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박명의 길이는 보통 천문박명>항해박명>상용박명 순이지만, 고위도 지방의 겨울에는 상용박명>항해박명>천문박명이 되기도 한다. 여름에는 고위도로 갈수록 천문박명이 상용박명보다 훨씬 길다. 하지만 일상적으로는 대한민국 기준으로 세 박명 모두 30분 내외라고 봐도 무방하다. == 박명을 이용한 [[밤(시간)|밤]]의 분류 == [[파일:박명.png|bgcolor=#fff]] [[새벽]]에 항해박명이 시작되는 시각을 BMNT(Beginning of Morning Nautical Twilight), [[저녁]]에 항해박명이 끝나는 시각을 EENT(End of Evening Nautical Twilight)라 한다. [[군대]]에서도 [[GOP]]나 [[해안 경계]] 때문에 중요한데, BMNT와 EENT를 기준으로 전후반야와 오전오후를 나눈다. 군대를 갔다온 상당수는 [[행정병]]들이 이를 기준으로 [[경계근무]]를 짜는 모습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후반야||[[자정]]~BMNT|| ||오전||BMNT~[[정오]]|| ||오후||[[정오]]~EENT|| ||전반야||EENT~[[자정]]|| == 언어별 명칭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ddd '''한국어'''}}}]] ||박명, 어스름(순우리말), [[여명]](아침 박명), [[황혼]](저녁 박명) || || [[한자어|{{{#373a3c,#dddddd '''한자어'''}}}]] ||[[薄]][[明]](박명), [[여명|黎明(여명)]], [[황혼|黃昏(황혼)]], 薄夜(박야), 夕陰(석음), 曛日(훈일) || ||<|2> [[그리스어|{{{#373a3c,#dddddd '''그리스어'''}}}]] ||[[https://en.wiktionary.org/wiki/twilight|σούρουπο(soúroupo)]] || ||λύγη(lúgē)([[고전 그리스어]]) || ||<|2> [[독일어|{{{#373a3c,#dddddd '''독일어'''}}}]] ||Dämmerung, Zwielicht || ||Tweidüster([[저지 독일어]]) || || [[라틴어|{{{#373a3c,#dddddd '''라틴어'''}}}]] ||crepusculum || || [[러시아어|{{{#373a3c,#dddddd '''러시아어'''}}}]] ||су́мрак(súmrak), су́мерки(súmerki)(복수) || || [[마인어|{{{#373a3c,#dddddd '''마인어'''}}}]] ||teja || || [[베트남어|{{{#373a3c,#dddddd '''베트남어'''}}}]] ||bình minh(平明)([[여명]]), hoàng hôn(黃昏)([[황혼]]) || || [[스페인어|{{{#373a3c,#dddddd '''스페인어'''}}}]] ||crepúsculo || || [[아랍어|{{{#373a3c,#dddddd '''아랍어'''}}}]] ||شَفَق(šafaq) || || [[에스페란토|{{{#373a3c,#dddddd '''에스페란토'''}}}]] ||krepusko || ||<|2> [[영어|{{{#373a3c,#dddddd '''영어'''}}}]] ||[[트와일라잇|twilight(트와일라잇, 트와일라이트)]], gloaming, shade, half-light, [[크리퍼스큘|crepuscule(크리퍼스큘)]][* 잘 쓰이지 않는 단어다. 잘 쓰이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자면 아마도 '박명(薄明)'이라는 단어를 생각해볼 수도 있을 듯.] || ||ǣfenglōm([[고대 영어]]) || || [[이탈리아어|{{{#373a3c,#dddddd '''이탈리아어'''}}}]] ||crepuscolo || || [[일본어|{{{#373a3c,#dddddd '''일본어'''}}}]] ||[ruby(薄明, ruby=うすあかり)](usuakari), [ruby(薄明, ruby=はくめい)](hakumei) || || [[튀르키예어|{{{#373a3c,#dddddd '''튀르키예어'''}}}]] ||tan || || [[페르시아어|{{{#373a3c,#dddddd '''페르시아어'''}}}]] ||شفق(šafaq), گرگ‌ومیش(gorg-o-miš) || ||<|2> [[포르투갈어|{{{#373a3c,#dddddd '''포르투갈어'''}}}]] ||crepúsculo, lusco-fusco || ||crepúsculo, lucenza([[갈리시아어]]) || || [[프랑스어|{{{#373a3c,#dddddd '''프랑스어'''}}}]] ||demi-jour, crépuscule, L'heure entre chien et loup(개와 늑대의 시간) || || [[핀란드어|{{{#373a3c,#dddddd '''핀란드어'''}}}]] ||hämärä, aamuhämärä, iltahämärä || || [[히브리어|{{{#373a3c,#dddddd '''히브리어'''}}}]] ||דִּימְדּוּמִים / דִּמְדּוּמִים(dimdumím)(복수)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고전 이집트어|{{{#373a3c,#dddddd '''고전 이집트어'''}}}]] ||[[https://en.wiktionary.org/wiki/twilight|jḫḫw(ikhekhu)]] || || [[나바호어|{{{#373a3c,#dddddd '''나바호어'''}}}]] ||hayííłką́([[여명]]), nahootsoii([[황혼]]) || || [[네덜란드어|{{{#373a3c,#dddddd '''네덜란드어'''}}}]] ||schemering, deemstering, tweelicht || ||<|2> [[노르웨이어|{{{#373a3c,#dddddd '''노르웨이어'''}}}]] ||tussmørke, skumring([[황혼]])(보크몰) || ||tussmørke, skumring, skreddartime(뉘노르스크) || || [[덴마크어|{{{#373a3c,#dddddd '''덴마크어'''}}}]] ||tusmørke, gry, daggry([[여명]]), skumring([[황혼]]) || || [[라트갈레어|{{{#373a3c,#dddddd '''라트갈레어'''}}}]] ||mikrieslis || || [[라트비아어|{{{#373a3c,#dddddd '''라트비아어'''}}}]] ||krēsla || || [[루마니아어|{{{#373a3c,#dddddd '''루마니아어'''}}}]] ||amurg, crepuscul, zori || || [[룩셈부르크어|{{{#373a3c,#dddddd '''룩셈부르크어'''}}}]] ||Dämmerung || || [[리투아니아어|{{{#373a3c,#dddddd '''리투아니아어'''}}}]] ||prietema || || [[마오리어|{{{#373a3c,#dddddd '''마오리어'''}}}]] ||ririko, rikoriko, matarikoriko, mārikoriko || || [[마케도니아어|{{{#373a3c,#dddddd '''마케도니아어'''}}}]] ||са́мрак(sámrak) || || [[바시키르어|{{{#373a3c,#dddddd '''바시키르어'''}}}]] ||эңер(eŋer) || || [[벨라루스어|{{{#373a3c,#dddddd '''벨라루스어'''}}}]] ||змярка́нне(zmjarkánnje), змрок(zmrok), прыце́мак(prycjémak), сутонне(sutónnje) || || [[불가리아어|{{{#373a3c,#dddddd '''불가리아어'''}}}]] ||здрач(zdrač), су́мрак(súmrak)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ddd '''세르보크로아트어'''}}}]] ||су̏мра̄к/sȕmrāk || || [[세부아노어|{{{#373a3c,#dddddd '''세부아노어'''}}}]] ||kilumkilom || || [[스웨덴어|{{{#373a3c,#dddddd '''스웨덴어'''}}}]] ||gryning([[여명]]), skymning([[황혼]])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ddd '''슬로바키아어'''}}}]] ||súmrak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ddd '''슬로베니아어'''}}}]] ||somrak || || [[아람어|{{{#373a3c,#dddddd '''아람어'''}}}]] ||ܢܘܨܦܐ(nuṣpā), ܒܗܪܐ(bahra) || || [[아르메니아어|{{{#373a3c,#dddddd '''아르메니아어'''}}}]] ||մթնշաղ(mtʿnšaġ)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ddd '''아이슬란드어'''}}}]] ||ljósaskipti, húm, rökkur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ddd '''아제르바이잔어'''}}}]] ||toran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ddd '''에스토니아어'''}}}]] ||agu, koit([[여명]]), eha([[황혼]])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ddd '''우크라이나어'''}}}]] ||при́смерк(prýsmerk), су́тінки(sútinky)(복수) || || [[조지아어|{{{#373a3c,#dddddd '''조지아어'''}}}]] ||ბინდი(bindi) || || [[체코어|{{{#373a3c,#dddddd '''체코어'''}}}]] ||soumrak || || [[카탈루냐어|{{{#373a3c,#dddddd '''카탈루냐어'''}}}]] ||crepuscle || || [[크메르어|{{{#373a3c,#dddddd '''크메르어'''}}}]] ||អស្តង្គត(ɑhsdɑŋkʊət) || || [[토하라어|{{{#373a3c,#dddddd '''토하라어'''}}}]] ||sānti([[토하라어]] B: 쿠처 방언) || || [[페로어|{{{#373a3c,#dddddd '''페로어'''}}}]] ||skýming, dimming, hálvalýsi || || [[폴란드어|{{{#373a3c,#dddddd '''폴란드어'''}}}]] ||zmierzch, zmrok || || [[필리핀어|{{{#373a3c,#dddddd '''필리핀어'''}}}]] ||takipsilim, bukang-liwayway([[여명]]), dapithapon([[황혼]]) || || [[헝가리어|{{{#373a3c,#dddddd '''헝가리어'''}}}]] ||szürkület, félhomály, pirkadat, pirkadás, virradat([[여명]]), alkonyat([[황혼]]) || || [[힌디어|{{{#373a3c,#dddddd '''힌디어'''}}}]] ||सांझ(sāñjh), शफक(śaphak) ||}}}}}}}}} || == 동음이의어 == 薄命이라고 쓰면 "수명이 짧다", "팔자가 사납다"라는 뜻이 된다. 앞 글자는 薄로 동일하다. [[미인박명]]의 '박명'은 이 박명이다. '박명[[하다]]'와 같이 용언으로 사용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백야, version=234, paragraph=2.1, title2=황혼, version2=115)] [[분류:천문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