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박명수(동명이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HeartbreakingColdWarlikeBooks, 합의사항1=종교를 무종교로 표기하기)] [include(틀:박명수)] || '''{{{#FFFFFF 박명수의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MBC 코미디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박명수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MBC 방송연예대상|{{{#334555,#A8BBCC 방송연예대상}}}]] [[틀: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334555,#A8BBCC 대상}}}]]'''}}} || || [[유재석]][br](2006년) || {{{+1 →}}} || [[이순재]][br]'''[[무한도전]] 팀'''[br]{{{-2 ([[유재석]], '''박명수''', [[정준하]], [[정형돈]], [[노홍철]], [[하하(가수)|하하]])}}}[br]'''(2007년)''' || {{{+1 →}}} || [[강호동]][br](2008년) || || [[나는 가수다]][* "최고의 프로그램상"이라는 이름으로 수상.][br](2011년) || {{{+1 →}}} || '''박명수[br](2012년)''' || {{{+1 →}}} || [[아빠! 어디가?]][br](2013년)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FFF TV부문 남자 예능상}}}''' || || '''제43회[br]([[2007년]])''' || {{{+1 →}}} || '''제44회[br]([[2008년]])''' || {{{+1 →}}} || '''제45회[br]([[2009년]])''' || || [[정종철]][br]([[개그콘서트]]) || {{{+1 →}}} || '''{{{#000000 박명수[br]([[해피투게더(KBS)/3기|{{{#000000 해피투게더 시즌3}}}]])}}}''' || {{{+1 →}}} || [[김병만]][br]([[개그콘서트]]) || ||<-5> || ----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예능인)]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박명수의 출연 작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무한도전 멤버)] ---- [include(틀:짠내투어)] ---- [include(틀:토요일은 밥이 좋아 출연진)] ---- [include(틀:끼리끼리)] ---- [include(틀:거침마당)] ---- [include(틀:역대 두시의 데이트 진행자)] ---- }}} || ---- [include(틀:KBS를 빛낸 50인)] }}} || ---- ||<-2> '''{{{+1 박명수}}}[br]朴明洙|Park Myung Soo'''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박명수 시현하다.jpg|width=100%]]}}} || ||<|2> '''출생''' ||[[1970년]] [[9월 27일]] ([age(1970-09-27)]세)[* 음력 1970년 8월 27일. 근거는 해당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10&aid=0000020772|기사1]],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64338|기사2]] [[http://naver.me/GJlZKY7y|기사3]] 참조. 해마다 음력 기준으로 생일을 보내는 것으로 보인다.]|| ||[[전라북도]] [[군산시|옥구군]] 미면 신풍리[br](現 [[전라북도]] [[군산시]] [[군산시/행정#s-1.9|선양동]])[* [[무한도전]]에서도 꾸준히 군산시 출신이라고 밝혔다. 명수는 12살의 편가르기에서 [[https://youtu.be/DFFZlVRHmhM?t=221|선양동 출신]]을 언급했다. 무한도전에서 직접 박명수의 초등학교를 찾아가 본 결과 '''초4'''까지는 군산에서 유년을 보냈다는 사실을 생활기록부 열람을 통해 증명했다. 이후 본인의 언급으로는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잠시 거주했다가 [[김포공항]] 부근의 [[공항동]]으로 이사했다고 한다. 무한도전 명수는 12살 특집에서 '''"정읍 살 때 삼촌이 엽총으로 꿩을 잡아주었다가 공항 근처에 살 때 삐라를 주우면서 학용품을 얻은 적이 있다."'''라고 직접 언급했다. 그래서인지 말에 약간이나마 [[서남 방언]]이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무한도전 명수는 12살 특집에서 장롱 위를 보라고 할때 우에 봐봐라고 위의 서남 방언을 쓴 것. 자막은 위에 봐봐라고 나왔지만 실제로는 우에라고 말했다. 그리고 정준호의 충청도 사투리 연기를 따라하는 편에서는 서남 방언을 구사했다. 주변의 질책에 전북과 충남은 별 차이가 없다고 항변하기도 했다. 그런데 실제로 전북과 충남의 사투리는 큰 차이가 없다. 특히 부여, 서천, 논산 같은 전북과 경계 지역은 더 그렇다. 그 반대로 충남과 경계 지역인 군산, 익산 역시 그렇다.]|| || '''거주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한때 연예계 대표 [[여의도]] 거주민이었다. 여의도 서울아파트에 거주했는데 바로 앞이 '''MBC'''였지만 자주 늦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후에는 여의도 대우트럼프월드 1차에 거주했다가 [[방배동]] [[서래마을]]에 거주하다가 무한도전 종영 후 시간이 지난 후엔 이태원동에 거주 중이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밀양 박씨]] (密陽 朴氏)[* 규정공파, [[시조]] 71세손 '''수(洙)''' 항렬이다.]|| || '''신체''' ||171.5cm[* 네이버 공식 프로필상 171.5cm.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006271724k|자신보다 키가 작은 이기광이 170이라고 하자 내가 168인데 네가 어떻게 170이냐고 말한 일화도 있는데,]] 나중에 168은 아니라고 했다. 방송의 재미를 위해 과장을 했다고 한다.], 65kg[* 보편적으로 알려진 체중은 72kg, 2019년에 본인이 밝힌 체중은 69kg이나, 오미크론 감염 이틀째에 4kg이 줄었다.], [[A형]][* [[무한도전]] 소원을 말해봐 특집에서 A형 간염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장면을 통해 공개되었는데 박명수가 자서전을 쓰겠다는 말과 함께 "1970년 8월 27일 군산 모 동네에서 A형이 혈액형이다"라고 하면서 공개했다. 또 무한도전 짝꿍 특집에서 [[정준하]]가 혈액형은 A형이라고 하자 "됐어요! 피수혈 안 해줘요! B형으로 해요, B형으로. 저 A형인데 해줄 생각 없어요!" 라고 개그를 치면서 다시 한 번 자신의 혈액형이 A형이라는 것을 제대로 증명한 바 있다. [[https://www.viki.com/celebrities/15081pr-park-myung-soo| Rakuten Viki]]]|| ||<|2> '''가족''' ||아버지 박선호^^(1948년생)^^[* [[무한도전 스피드 레이서]] 특집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아버지가 택시와 버스기사를 하셨다며 지금은 사라진 경운운수에서 근무하셨다고 한다. 또, 과거 실패한 개인투자자 자격으로 뉴스에 출연한 사실도 공개되었다.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323500028|#]] 박명수에 따르면 아버지가 화물업을 하셔서 별명이 '군산의 몽키스패너'였다고 한다.][br]어머니 신갑순^^(1951년생)^^[* 과거 [[MBC]] '스타스페셜 생각난다'를 통해 방송에 출연한 경험이 있다. 해당 방송에서 아들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는 모습이 훗날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www.vop.co.kr/A00000571727.html|#]] 박명수에 따르면, 별명이 '군산 (어시장의) 피바다'.][br]남동생 박형수[* 무한도전에서 동생과 '제수씨'의 사돈댁을 언급한 에피소드가 있었다. 남동생 한테는 아들이 있다고 한다. [[https://www.google.com/amp/news1.kr/amp/articles/%3f3507662|#]] 인터넷 쇼핑몰 '거성닷컴'의 실질 운영을 맡고 있다. 과거의 박명수가 집에 전화해서 얘기하다가 "형수(동생) 아직 안 들어왔어? 아, 형수 걔 왜 그래? 언제 좀 맞아야겠네." 막 이런 얘기를 하고 끊었는데, 옆에서 듣고 있던 [[최양락]]이 "아무리 콩가루라도 형수(형의 아내)에게 그러면 되냐?" 라고 오해하면서 박명수를 혼냈다가 "동생의 이름이 박형수에요" 라는 것을 알고는 빵 터졌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배우자 [[한수민]]^^(2008년 결혼 ~ 현재)^^[br]딸 박민서^^(2008년 8월 10일생)[* [[https://www.instagram.com/p/CGeIpeaJrSS/|예원학교]] 한국무용과를 졸업하고,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311/0001654767|선화예고]] 무용부 한국무용과에 합격했다. 2021년 12월 [[할명수]]에서 민서의 키가 166cm라고 밝혔다. [[https://youtu.be/X_0sg4Pcey4|영상]] ]^^|| || '''반려견''' ||카라^^([[비숑 프리제]])^^[* 본인이 좋아하며 친한 걸그룹 [[카라]]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모든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박명수가 상당히 아끼는 [[개]]라서 가족처럼 생각한다며 '박카라'라고 부른다. 무한도전 마션 특집 당시 가장 아끼는 것으로 카라(당시 포도)를 선택해 상자에 넣으려고 했다. 원래 이름은 '포도'였는데, 장모가 단명할 것 같은 이름이라고 해서 개명했다.]|| || '''학력''' ||군산남초등학교 {{{-2 (전학)}}}[br]서울개화초등학교 {{{-2 (졸업)}}}[* 참고로 무한도전 여섯이 내고향 특집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1978년도 입학으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 1년 늦게 입학한 것이다. 2006년 폐교 특집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개화초등학교 1983년 졸업이라고 나온다.][br][[공항중학교]] {{{-2 (졸업)}}}[br][[공항고등학교]] {{{-2 (졸업)}}}[br][[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現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2 (연극영화학 / 학사)}}}[* [[연극영화과]]에 입학하기 위해 [[삼수]]를 했다는 사실을 방송에서 밝혔다. [[서울예대]]를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275714|3번 떨어졌으며]] [[동국대]] 시험을 볼 땐 옆자리에 [[김혜수]]가 있었다고 한다. 방송에서는 학력을 주로 고졸이라고 말하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포털 사이트의 프로필 상 학력도 고졸로 등록되어 있다.--학력위조--]|| || '''병역''' ||[[전시근로역]][* 시력 미달로 [[제2국민역]]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은 없는 편. 당시에는 베이비 붐 시대의 중간에 위치했던 시기라 신체에 조금만 문제가 있어도 [[방위병]]이나 면제로 빠졌기 때문에 별다른 말은 없다. 물론 지금은 [[희철|다리 하나 아작나서 철심 7개를 박아도]] 어지간하면 [[사회복무요원]]이라도 보내는 추세지만, 대부분은 당장의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무조건 현역행이다. 여담으로 당시 박명수는 시력이 -9 디옵터였고 교정 시력도 0.6 이하였기에 현재 기준으로도 공익으로 빠지게 되기는 한다. 슈퍼주니어의 멤버 희철은 [[유승준|모 미국인 병역기피자]] 때문에 본인이 면제를 받았음에도 여론을 의식해 어쩔 수 없이 사회복무요원으로 빠진 경우다. 이는 같은 [[SUPER JUNIOR]] 소속 [[규현]]도 마찬가지다. 다만 무한도전 진짜사나이 특집에서 병역에 대한 인터뷰를 할 때, 주변 친구들이 모두 영장을 받고 입대할 때 본인만 입대 통지가 날아오지 않고 끝내 면제되었다는 사실을 밝히며 내심 그것이 아쉬웠다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 '''종교''' ||[[무종교]][* 자세한 내용은 [[/여담#종교]] 문서 참고.]|| || '''활동명''' ||G-PARK|| || '''활동 장르''' ||[[댄스]], [[일렉트로닉]], [[DJ]] 등|| || '''소속사''' ||[[거성 엔터테인먼트]][* 본인이 2010년에 설립한 기획사다.]|| || '''레이블''' ||Digital Empire Records[* G-Park의 소속 레이블이다.]|| || '''데뷔''' ||[[1993년]] [[MBC]] 공채 4기 [[개그맨]][br]{{{-2 (데뷔일로부터 '''[dday(1993-01-01)]일, [age(1993-01-01)]주년''')[* [[할명수]] 83화에서 박명수는 이게 [[매크로]]가 아니라 수작업으로 수정한 것으로 착각하여 이걸 왜 세고 앉았냐고 했다.]}}} || || '''호''' ||[[거성]](巨星)[* 놀러와 시절부터 이어진 것으로 무한도전에서 완전히 정착하였다. 호를 요즘 붙이는 사람이 잘 없어서 그렇지, 아무튼 자신이 주장해서 붙인 거니 엄연히 호가 맞다. 실제로 자신도 호를 거성이라 말하는 편이며, 언론이나 방송에서도 박명수의 수식어로 자주 사용된다. 한자로 거성(巨星)이 맞다. 박명수가 본인 채널 할명수에서 나무위키를 읽으며 클 거(巨)자에 소리 성(聲) 유래설에 대해 내가 직접 巨星 이라고 지었는데 누가 이렇게 써 놨냐고 무척 황당해했었다.]|| || '''아명''' ||박진국[* 라디오쇼에서 어렸을 때에는 '박진국'이었다고 털어놓았다. 또 후술할 동생인 박형수도 어렸을 때에는 이름이 '박종국'이었다고 언급했다. [[https://news.v.daum.net/v/20170618114650948?|#]]] || || '''별명''' ||'''[[거성]]''', '''악마의 아들''', '''[[하찮은]]''', '''찮은이형''', '''아버지''', '''[[쩜오]]''', '''2인자''', '''명수옹''', '''고유명수''', '''벼멸구''', {{{-2 이 외 별명은 [[박명수/별명]] 문서 참조.}}}|| || '''서명''' ||[[파일:박명수_싸인.svg|width=100&bgcolor=#FFFFFF]]|| || '''링크''' ||[[http://cafe.daum.net/loveparkms|[[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0]]]] [[http://instagram.com/dj_gpar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mbGE7Y2ov7pTBuUrkXgtT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000000,#FFFFFF {{{-2 '''할명수'''}}}}}}]][br][[https://youtube.com/c/GPARKRAD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000000,#FFFFFF {{{-2 박명수 성대모사 달인을 찾아라}}}}}}]][br][[https://youtube.com/playlist?list=PLdG5oj8H9N9T2nwBaHmkbsGJJ3r81JMf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000000,#FFFFFF {{{-2 --한국인의 밥상머리--[* 영상이 모두 비공개 처리되었다.]}}}}}}]][br][[https://youtube.com/@100th_birthday?si=6xWbrGbVrrbBs4o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000000,#FFFFFF {{{-2 백세명수}}}}}}]]||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인]], [[싱어송라이터]]. [[박명수/별명|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별명을 가진 연예인]]이자 자칭 거성 박명수 그리고 '[[쩜오]](1.5인자)' 예능인.[* 1.5라는 별명이 뜨게 된 건 죄와 길 특집 덕분이지만 사실 쩜오라는 말은 이전 무한도전 TV특집 1(E173)에서 무릎팍도사 컨셉으로 촬영했을 때 1과 2 사이는 1.5라며 최초로 나왔다. 쩜오라고 지칭한 것은 예능계에서 메인 MC가 아닌 서포터이자 웃음 스트라이커 포지션인 본인을 재밌게 하기 위한 말일 뿐이고, 박명수는 실질적으로 예능계에서 오랫동안 장수하고 있는 베테랑일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나타낸 연예인이다.] 예능인으로서는 [[MBC 방송연예대상|2012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자이자 [[한국갤럽]] 여론조사 기준 한국인이 좋아하는 예능인 순위에서 2016년, 2019년에 이어 2연속 꾸준히 랭크되었으며, 2022년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연예인 유튜버 남자부분을 수상하는 등 오랫동안 정상급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가수로서도 한국갤럽 선정 여름노래 5위, 7위에 랭크된 [[냉면(노래)#s-2|냉면]], [[바다의 왕자]] 등을 가지며 여름 노래의 최강자로 불리우고 있는 연예인이다. == 생애 == 어린 시절부터 개그맨의 꿈을 품고 방송가에 데뷔를 하고 싶어했지만, 정작 그 방법을 몰라 한 동안 3사 방송사를 떠돌면서 무작정 부딪히는 과정을 반복했다. 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재학시절 같은 학교 학생들과 [[한국방송공사|KBS]]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에 [[http://m.chosun.com/news/article.amp.html?sname=news&contid=2014013100002|방청객으로 참석했는데]], 이때 눈여겨본 관계자들에게 권유받고 KBS [[FD#s-2|FD]]로 일하기도 했다.[* 이때 담당한 프로 중 하나가 사랑방 중계였다.] 결정적으로 이때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MC [[손범수]]가[* 후에 모 프로그램에서 그때 손범수 형이 계속 말을 시켰다고 회상하였다.] 웃기고 재능있다며 방송 데뷔를 권유했고''' 이후 1993년 [[MBC]] 4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여[* 무한도전 선택 2014 당시 멤버들 중 유일하게 MBC 공채 개그맨 출신이었기에 MBC가 키운 '성골 박명수'라는 드립을 써먹었다. 여담이지만 당시 멤버들의 데뷔를 나이순으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 [[정준하]]/1995년 MBC 6기 특채, [[유재석]]/1991년 KBS 7기 공채, [[정형돈]]/2002년 KBS 17기 공채. [[노홍철]]은 일명 길바닥 출신이고 [[하하(가수)|하하]]는 가수였다가 늦게 예능에 데뷔한 케이스이다.] 본격적으로 개그맨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박명수는 데뷔하자마자 이름을 알리고 무명시절이 거의 없던 개그맨이다. <[[웃으면 복이와요]]>,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오늘은 좋은 날]]>, <[[TV인생극장]]> 등 MBC의 여러 프로그램에 출연, 개성적인 연기와 개그를 펼쳐보여 인지도를 확보하게 된다. 사실 이미 아마추어로 성대모사 등으로 몇 번 방송에 출연해서 당시 용어로 "도다리" 생활을 한 적이 있었다고 [[해피투게더(KBS)|해피투게더]]에서 [[최양락]], [[이봉원]] 등과 함께 밝혔다. 1999년부터는 음원 활동을 시작하며 2집 [[바다의 왕자]]가 대 히트를 거두며 명실상부 '''원조 개가수'''로 불리게 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음악 활동)] 2004년까지 코미디 프로그램인 코미디 하우스를 출연하다 예능계로 발을 옮기게 된다. 부업인 치킨 가게 CEO라는 것을 캐릭터로 존재감을 부각시키며 한때는 개그계의 닭사마라고 불린 적도 있다. 고정이 아닌 게스트로 많이 활동하다 [[공감토크쇼 놀러와]]에 출연하며 큰 웃음을 주며 고정자리까지 꿰차게 되며 박명수 특유의 호통 개그로 예능계에서 입지를 다지게 된다. 무르익기 시작한 호통 개그는 [[X맨(예능)|X맨]]에서 제대로 터뜨리며 대세 예능인으로 등극했고 특히 지상렬과의 라이벌 기믹이 빛났는데, 두 사람이 당연하지에서 맞붙을 때마다 호통 개그와 지식검색 개그로 레전드급 명장면이 탄생했다. 또한, 하하와 김종국과 하명국이라는 트리오를 만들며 프로그램 종영까지 자리를 지킬만큼 예능계의 박명수의 존재감이 커지게 된다. 이러던 2005년, 그의 인생 대표작 '''[[무한도전]]'''에 투입되면서 크나큰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무한도전)] '''2006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남자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그 다음 년도에는 [[무한도전]]팀으로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까지 수상하는 영광을 얻는다. 이후에도 여러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았는데 특히, [[유재석]]과의 케미가 상당하여 유재석이 진행하는 프로에 출연하여 큰 시너지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다.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에 투입되며 [[무한도전]]에 이어 [[유재석]]과의 환상적 호흡을 펼치며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예능상까지 수상하기도 했다. 2008년 결혼에 골인하게 되며 프로그램의 집중도가 떨어지게 되고 업친데 덥친격으로 2009년 A형 간염에 걸리며 건강에 빨간불이 켜지며 체력적등 슬럼프가 오기 시작하며 지피지기, 동안클럽등 진행한 프로그램이 별반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며 2인자는 1인자가 못 되나냐는 위기론 기사들도 쏟아졌지만 [[무한도전]],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안정적인 활동을 이어나갔다. 2010년 홀로서기를 선언하며 [[뜨거운 형제들]]에 출연했고 초반 아바타 소개팅이라는 신선한 소재와 드립력으로 큰 호평을 받았고, 동시간대 [[런닝맨]]을 시청률로 이기며 2인자의 반란이라며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남자 최우수상까지 수상했고, [[밤이면 밤마다]]등 진행프로그램들이 히트하기 시작하며 작년의 슬럼프는 다른 말이 될뻔하지만.. [[무한도전]]에서 레슬링편에서 불성실하다며 시청자들의 무리한 비난을 받게 된다.[* 불성실한것이 아닌 간염 후유증으로 몸 상태가 말이 아닐 수 밖에 없던 것. 투병 중 간 수치가 9600으로 어마어마했을 정도.] 또한, [[뜨거운 형제들]]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변경되며 시청자에게 외면당했고, [[밤이면 밤마다]]는 [[대성(BIGBANG)|고정 출연진]]의 사건으로 인해 종영이 결정되어버리며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후에도 다작 행보를 이어갔는데 체력적으로 지친 기색이 보여지며 방송에서도 이전과 달리 컨디션이 좋지 않은 모습과 존재감이 급격히 줄었고 전성기때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등 슬럼프에 빠지게 된다.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에 출연하며 소신발언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2012년, [[나는 가수다 2]]에 MC로 출연하게 되었는데 생방송 진행면에 있어서는 도마에 오르기도 하였다. [[무한도전]]이 MBC 파업으로 중단된 이후에도 다작 행보를 이어갔는데 매니저가 은퇴할 준비하는 것이 아니냐 의문이 들 정도로 많은 프로를 진행했는데 [[코미디에 빠지다]], [[나는 가수다 2]], [[최강연승 퀴즈쇼 Q]]등 MBC 프로그램을 많이 진행하였다. 2012년 12월 29일, 데뷔 20년 만에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단독으로 대상 수상하였다.''' 이전에 2007년에도 대상을 수상했지만, 그때는 무한도전 팀 6명은 물론 [[거침없이 하이킥]]의 [[이순재]]와 공동 수상한 것이었기에 단독 수상인 이번과는 비할 바가 아니다. 매니저 한경호 실장도 본인 커리에서 가장 기뻤던 일로 단독 대상 수상 이벤트를 꼽았다. 2012년 MBC 파업 기간 동안 동분서주한 박명수의 노력과 [[코미디에 빠지다]] 등을 이끌며 침체기에 빠진 MBC 코미디를 부흥시키려 한 것이 인정받은 셈이다. 전성기였던 2006~2009년까지 최고의 웃음 사냥꾼으로서 무한도전을 이끌었던 공헌 역시 고려되었던 것이다. [[무한도전]]이 재개 되고 2013년에는 자신의 꿈인 작곡을 도전해 많은 이들에게 늦은 나이라도 하고자 하면 할수있구나라는 귀감이 되기도 하였다. 막말 논란으로 하차한 [[김구라]] 후임으로 [[세바퀴]] 합류하지만 [[이휘재]]와 상극인 모습이 나오며 자진 하차하게 된다.[* 이휘재의 텃세와 특유 진행으로 구박 받았지만 이후 아내의 맛에서는 상황이 역전된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라디오스타에 나와 이휘재의 진행 스타일을 맞추기 어려웠다고 토로한적도 있다.] 또한, [[일밤]]을 살리기 위해 [[매직콘서트 이것이 마술이다]]를 진행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막을 내린다. 2014년 [[정준하]]와 함께 [[토요일 토요일 가수다]]라는 초대형 히트 프로젝트를 성공시켰고, [[무한도전]] 활약도를 보면 12-13년도 부진했던 모습보단 훨씬 나아진 모습을 보이며 전성기만큼은 아니지만 안정화를 찾아가 원조 에이스의 모습을 찾아갔고 [[용감한 가족]], [[박명수의 라디오쇼]], DJ활동등 새로운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이후,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 출연해 소통을 하지못하며 웃음 사망꾼이라는 별명을 얻는 굴욕을 맛보기도 하였다. [[무한도전]]에선 [[노홍철]]에 이어 [[정형돈]]까지 하차하며 빈자리를 지우기 위해 웃음 사냥꾼으로 큰 웃음을 주며 활약했다. 예능 총회에서 [[이경규]]와의 호흡은 아직까지도 회자될 정도. [[나를 돌아봐(예능)|나를 돌아봐]]는 시청률적에선 아쉬웠지만 웃음면에서는 [[김수미]]와 [[이경규]]와의 의외의 시너지에 큰 호평을 받았다. 반면, 박명수의 대표작 중 하나인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에서 보조 MC 자리는 [[전현무]]에게 밀려 뺏기며 점점 말수가 없어지고 존재감 옅여지는등 아쉬운 모습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던 중 2017년에 [[조동아리]] 멤버들이 투입되며 더더욱 입지가 줄어들어버렸다. [[세모방: 세상의 모든 방송]]에서는 꽝PD와의 티격태격으로 웃음 주며 기대를 안고 독립 프로가 되었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종영되었다. [[공조7]] 역시 남는 건 출연진들의 케미일뿐이라는 비판을 받고 막을 내렸다. [[싱글 와이프]]에서는 MC로써 깔끔한 진행을 보여주며 SBS 연예대상 신스틸러상을 수상했다. 2017년 [[짠내투어]]에 합류하여 색다른 컨셉과 케미등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파일럿이였지만 호평을 받아 정규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었다. 초반에 핵심 멤버가 하차하였지만 설계자로 분해 공백을 없앴고 특히 [[박나래]]와의 신선한 케미로 큰 웃음을 주었다. 또한, [[무한도전]]에서 군대 특집에서의 대활약을 펼치며 명실상부 에이스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2018년 [[무한도전]]이 13년을 끝으로 종영이 되고, 순항 중이던 [[짠내투어]] 역시 다른 고정 멤버의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시즌이 급하게 종료되었다. 또한,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개편으로 인해 11년만에 프로그램에서 하차하게 되었다. 호평 받았던 [[싱글 와이프]]가 시즌 2로 돌아와 시즌 1에 이어 MC를 맡았다. [[아내의 맛]]의 MC를 맡으며 부부의 일상을 공개하며 화제가 되었다. 이후, 짠내투어는 [[더 짠내투어]]로 개편하여 진행했지만 멤버와 pd 변경으로 재미면에선 호불호가 갈리지만 박명수의 사진 스킬을 발견하게 되어 이후 큰 나비효과를 부르게 된다. [[끼리끼리]]로 오랜만에 [[일밤]]에 복귀했으나 완성도 면에서도 전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며 종영하게되었다. 포맷이 아예 다른 마지막회가 제일 재밌다는 평가를 받는 것 보면 11명 출연진을 잘 활용하지 못한 제작진의 실패. [[이경규]], [[장동민]]과 뭉쳐 방영 된 [[6자회담(KBS)|6자회담]]은 호평을 받았지만 6부작으로 정규가 되진 못하였다. 이후엔 [[수미산장]], [[개뼈다귀]], [[와카남]]등을 진행했고, 새로운 시도로 [[토요일은 밥이 좋아]] 먹방 프로를 진행했다. [[놀면 뭐하니]]에 게스트로 출연하여 [[유재석]]과 오랜만의 환상의 호흡을 보여주었다. [[짠내투어]]에서 보여준 사진 찍기나 [[무한도전]]의 짤들이 기성세대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물론 1020세대에게도 [[무한도전]], [[짠내투어]], [[할명수]] 등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고독한 명수방, [[아유...하기 싫어...]] 등으로 대변되는 수 많은 [[짤]]과 [[박명수/특징#s-10|어록]]으로 유명하며 심지어는 오히려 기성세대 보다도 102030세대에게 더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여론조사들도 있다. 과거 일각에서는 [[무한도전]]이 종영되면 박명수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한마디로 괜한 걱정이였던것. 2020년부터는 TV 프로그램만이 아닌 OTT로 진출하였는데 [[할명수]]가 대성공을 거두며 [[EXO]], [[NewJeans]], [[BLACKPINK]], [[방탄소년단]] 등[* 현재까지 할명수 등에 출연하거나 박명수와 친분이 있는 걸로 알려진 아이돌은 [[카라]], [[aespa]], [[투모로우바이투게더]], [[BLACKPINK]], [[NewJeans]], [[방탄소년단]], [[EXO]], [[NCT 도재정]], [[세븐틴]], [[NCT DREAM]], [[(여자)아이들]], [[ITZY]], [[오마이걸]], [[청하]], [[정은지]], [[제시카(가수)|제시카]], [[황광희]], [[G-DRAGON]], [[아이유]] 등이다.] 2010년대, 2020년대 아이돌등이 출연하며 아이돌 팬덤과도 관련이 깊어 별명처럼 '아이돌들의 아이돌'[* 대부분의 아이돌들이 박명수의 팬이거나, 박명수와 친분을 가지고 있다. 당장 대표적으로 [[할명수]]만 해도 아이돌들이 나오고 싶다고 하거나 소속사 등의 요청, 박명수와의 친분으로 나온 아이돌이 많다.]로 불리우며 아이돌이 꼽은 가장 좋아하는 코미디언은 물론, [[아이돌]] 작명가[* [[EXO]]의 경우 아예 멤버 중 절반 이상이 박명수가 지어준 별명이 상당히 많이 불리운다. [[세훈|윌리스]]나 [[시우민|민경이]] 같은 경우 아예 전설격으로 남아있다. 이 밖에 [[세븐틴]]의 [[승관|부지런]], [[NewJeans]]의 [[해린|강윤숙]] 같은 경우 본인까지 이를 좋아하는 편.], 사진가[* 사진 실력은 현직 포토그래퍼로 활동중인 [[한석준]]아나운서의 부인 임혜란 포토그래퍼가 평가하길 위협적인 실력이라고 평가했다. 네티즌도 그동안 주로 찍던게 무도 멤버들이라 안 알려졌지 실력은 출중하다고.]같은 부캐로도 잘 알려져 있다.[* 50대에 접어드는 [[코미디언]] 치고는 1020세대 아이돌들의 친분이 많은 편이며, 연예계에서 [[인맥]]으로 잘 알려진 [[정준하]] 등보다도 오히려 젊은 세대와 친한 편이다. 본인이 팬인 [[카라]]나 이후의 [[소녀시대]]부터 시작해서 [[방탄소년단]], [[NewJeans]]까지 세대를 가리지 않는 편.] 2023년 현재는 TV쪽 보단 OTT 즉 유튜브을 무대로 주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런 이유를 추측하기엔 나이로 인한 체력적 부담이 있는데 몇시간 무리하게 촬영하는 것보다는 단가에 맞고 촬영은 자유로운 가성비에 맞는 촬영이 좋은 박명수의 효율적 성격때문이라 추측하고 있다. 물론, TV 출연은 아예 안하는 것은 아니다.] == 코미디언 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수노랑티.jpg|width=100%]]}}} || 1993년 [[MBC]] 개그콘테스트에서 [[김학도]]와 팀을 이뤄 장려상을 수상, 김학도와 함께 MBC 4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동기로는 '''[[서경석]]''', '''[[이윤석]]''', [[홍기훈]], [[김학도]], [[표영호]], 그리고 특채로 데뷔한 '''[[강호동]]'''[* 물론 본인은 동기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할명수]]에서 밝혔다.]이 있다. 황금기수답게 대부분의 개그맨들이 잘 나갔는데 박명수 역시 주연까지는 못 꿰찰지언정 데뷔 초부터 방송계에서 활약하며 어느 정도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었다. 유명한 개인기인 [[이승철]] 흉내내기부터 배경 음악을 히트시킨 월매 댄스, [[이회창]] 연기를 시도했던 3자토론 등 잘 알려진 개그들이 많다. 다만 특유의 막개그 때문에 비호감 캐릭터였었다. 무한도전 이후에는 막 나가지만 정이 많은 츤데레 캐릭터로 정립되며 호감을 많이 얻었지만 저 당시에는 겉으로는 까칠해도 속은 따뜻한 캐릭터가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을 때였으며 박명수 또한 PD들이 이미지 관리를 해줄 정도로 대형 스타는 아니라 완전한 비호감 캐릭터였다. 1990년대 중반 <일요일 일요일 밤에>에서 MBC 방송국 수위 아저씨 역할로 나와서 독특한 표정으로 '''"우쒸~"'''와 "국민 여러분, 제발 ***하지 마세요~"라는 시리즈 유행어로 신인시절 인기몰이를 하였고 그 유행어 덕분에 [[https://www.youtube.com/watch?v=wSPpKF_mbp4|피리껌바 CF]]도 촬영할 정도였는데,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CF에서 개그맨이 원톱으로 출연을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하물며 아직 신인 티도 완전히 벗지 못한 개그맨은 더더욱. 대중적으로도 당시 박명수는 상당히 유명했는데, 일례로 1990년대 중반 한창 인기몰이를 했던 아이큐 점프의 연재만화 [[달숙이]]에서도 박명수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오늘날 흔히 말하는 패러디 병맛만화 정도로 볼 수 있는 달숙이에서 언급된 것들은 전부 당대 대중문화에서 유명한 것[* [[KOF]]의 캐릭터라거나 [[터미네이터]] 등.]들이었는데 그 중에 박명수가 있었다는 점은 당시 인지도가 상당히 높았음을 방증한다.[* 뒤집어 말하자면 당시 별로 유명하지 않았던 연예인이라든가 대중문화는 달숙이에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그 외의 광고에서도 활동했었는데 특히 계속 복장을 바꿔가며 연기했던 아이스크림 광고가 유명하다. 그리고 본인의 이름 덕에 [[소화제]] [[까스명수]]의 전속모델로 [[이영후]]와 함께 활동하기도 했다. 하여튼 조연으로서의 입지는 확실히 다져놓아 당시 가장 잘 나가던 꽁트 코미디 프로였던 <오늘은 좋은 날>의 '풍운의 별' 코너에도 등장하였다. '프로메토 칸투라스 리바이탄 블리자드 자스카리투스 디아블로 레피쿠리우스'라는 이름의 악마 기믹 역할[* 여담으로 이 악마 기믹이 [[성검전설 3]]에 등장하는 호크아이의 숙적 사안의 백작과 매우 닮았다. 그래서 성검전설 3을 하는 사람들은 사안의 백작을 그냥 박명수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리고 당시 뉴스를 제외하고는 방송에서 자막을 보기란 쉽지 않았다.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방송사와 프로그램 로고, 제목 등이 거의 전부였던 시절이었는데 잘나가던 풍운의 별에서 시청자들이 알아듣기도 힘든 긴 이름이 나오자 이를 하얀 글씨로 투박하기 짝이 없는 자막으로 넣었는데, 이 뒤로 조금씩 조금씩 방송 예능에서 자막을 넣기 시작했다. 단, 그 프로그램이 완전히 최초라 할 수는 없다. 그보다 훨씬 전에 이경규의 일밤 양심냉장고 시절에도 같은(일반인과 이를 숨어 보는 이경규를 동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좁은 곳이나 녹음하기 안 좋은 곳에 숨어 있다보니 동시녹음 퀄리티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 일반인이 회면에 나올 때 이경규와 민용태가 하는 말을 자막으로 넣는 경우가 많았다) 시도가 있었고, 자막을 많이 넣는 시도가 있던 프로그램들은 그전에도 나름 있긴 했다. 단지 제작비 들지 않게 안 넣고 싶은데 상황상 안 넣을 수 없었던 거라 넣은 것들이었고, 후세에 넣을 필요 없을 때도 넣게 되는 것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 바로 그것이었는데, 소환자인 이경실이 그의 이름을 쉽게 외우는 것과 달리 정작 본인의 이름을 외우지 못해 갈굼을 당하는 역할이었다. 이를 역이용해 박명수는 드디어 이름을 다 외웠지만 이름이 '프로메토 칸두라스 히드라 리바이탄 블리자드 자스카리투스 해저드 디아블로 레피쿠리우스 네메시스' 처럼 더 길게 바뀌어 버려서 다시 당하는 패턴도 있었다. <풍운의 별>에서 박명수의 역할은 선배 개그맨들이 짜놓은 틀에 맞춰서 개그를 적극적으로 살리는 역할로, 이는 온전히 박명수의 캐릭터와 역량에 기대는 것이었다. 물론 풍운의 별에 등장하는 [[홍기훈]]과 [[김효진(코미디언)|김효진]], [[이경실]]이 진 주인공이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박명수의 존재감은 매우 컸다. 그래서 당시 신문에서는 '앞으로 코미디계를 이끌 유망주' 비슷한 제목으로 박명수의 인터뷰가 크게 실리기도 했다. 이후 시대의 변화가 있었지만 그래도 큰 공백 없이 무난하게 이어가다가 [[유재석]]과의 만남으로 자리를 다시 잡게 되면서 '박명수가 MC하면 망하는데 유재석에 붙어있으면 잘된다' 라는 것을 살린 2인자 캐릭터로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한다. 공채로 뽑힌 자부심 때문인지 알게 모르게 자사 프로그램에 상당히 많이 출연했다. [[오늘은 좋은 날]]이나 [[코미디하우스]]는 물론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테마게임(MBC)|테마게임]], [[TV인생극장]]에도 조연으로 곧잘 나왔다. 특히 개그야 종영으로 MBC 코미디의 명맥이 끊어진 이후 2014년 [[코미디에 빠지다]]가 런칭되었을 때도 후배들을 위해 발 벗고 도와주었다. 군기가 살벌하기로 유명한 MBC 희극인실[* 그 군기 빡세다는 KBS가 '''MBC보다 약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MBC 내의 군기는 악명이 높다. 심지어 MBC 내 개그맨들도 몇명 많이 없는 터라 웬만하면 MBC 개그맨 모두 선배들의 강압으로 거의 다 군기를 받고 군기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내에서 군기는 홍기훈이 있어서 안 잡은 것 같지만, 무도 이후에 보여준 자상한 사람이라는 이미지와 비교하면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서웠던 사람이었다고 한다. 특채로 들어온 이훈, 정준하를 구박하고 강호동과의 첫 대면에도 쫄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강호동과 같이 밥을 먹을 때 강호동이 시비를 거는 불량배들을 접어버리는 걸 보고(...) 그 뒤로 박명수는 강호동을 무서워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싸움으로 유명한 홍기훈조차 박명수를 건들지 못 한다고. 다만 그만큼 많이 혼나기도 해서 박명수가 이경실에게 혼날 때 쭈그리고 있었다고 한다.[* 한때 무릎을 꿇었다고 알려졌지만 [[할명수]]에서 박명수 본인 피셜에 따르면 쭈그려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고 후배들에게 깐깐하게 대한 건 아니고, 홍기훈에게 두드려맞은 정성호가 개그를 관두려고 할 때 그를 다그치면서 붙잡기도 했다. 박명수가 무한도전에 있었을 때는 막말과 비난개그, 그리고 노홍철의 공격에 당하면서 웃기는 게 대부분인데 비해, MBC 코미디언 시절 자사 프로그램에서 보여준 박명수의 대표적인 개그는 바로 정치 풍자 개그였다. 박명수가 기획한 [[코미디 하우스]]의 코너인 시사개그-박명수의 일인시위라던지, 2003년에 신설된 삼자토론은 박명수-배칠수-김학도가 이회창-노무현-권영길로 분장하여 토론을 하는 개그로, 지금도 회자되는 정치 풍자 개그이다. 알고보면 무한도전에서도 박명수가 국밥드립 등 정치 풍자 개그를 곧잘 해왔는데,[* 코리안 돌아이에서 이명박 패러디 개그를 보고 그야말로 빵 터졌다. 본인이 심사한 인물이라서인 것도 있으나 정치개그 코드가 통한 것이 컸다.] 이는 코미디하우스에서 보여준 개그의 연장선이라고 보면 된다. 개그맨이면서도 가수, 작곡가 활동을 겸업하였는데, 이전까지는 본인은 "상업적으로 실패하는 것도 개그 레퍼토리로 삼기 위해서다"라고 주장했지만 <[[바다의 왕자]]>라는 최고 히트곡을 내놓기도 하고 이후 진지하게 뮤지션으로 도전하는 모습을 보면 본인의 꿈이기도 했던 듯. === [[무한도전]] 이전 인기 관련 === 우선 표현을 정확히 해야 하는 문제로, 박명수는 무한도전 이전에는 지금 같은 위상의 S급 예능인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연예인이라면 조금이라도 존재하는 무명 시절이 아예 없었다. 데뷔 초에는 [[유재석]]보다 훨씬 잘 나갔고[* 이는 [[무한도전]]의 최전성기 시절에 유재석도 인정했다. 초심 특집 당시 데뷔 시절 영상을 보던 유재석이 박명수가 자신이 90년대 후반까지는 유재석보다 인기가 좋았다는 말에 유재석이 바로 인정했을 정도. 91년에 데뷔하고 10년 가까이 무명이었던 유재석은 방송 초기 카메라 울렁증 때문에 클럽에선 춤 제일 잘 추더니 방송에선 허우적 대지를 않나, NG를 내서 방송 중에 쫒겨나기까지 하는 등 스타트가 좋지 못했고, 재능이 아까워서 꽂아주는 식으로 방송 생활을 간신히 이어 나갔다. 그래서 그 시절에는 이름도 없는 유재석이 ‘우쒸’와 정치 콩트로 날아다니던 박명수보다 인지도에서 많이 밀린 것은 사실. 이 때문에 [[무한상사]]에서도 [[유재석(무한상사)|유재석 부장]]보다 먼저 입사하며 선배였으나 유 부장이 뒤늦게 능력이 발현되며 승진 서열에서 밀려난 것으로 표현된다.], MBC 개그 전성기에 어떤 개그 프로그램이든[* 주말 콩트 프로그램이나 드라마타이즈 계열 프로그램, 개그맨들 위주로 나오는 토크 위주의 퀴즈 프로그램 등 MBC의 개그맨 관련 프로그램에는 안 나온 적이 거의 없다.][* 다른 개그맨들이 주류로 활약하여 레전드가 된 프로그램들조차 박명수는 몇 번씩 나온 적이 있다. 예를 들어, [[서경석]], [[조혜련]], [[김진수(코미디언)|김진수]], [[김효진(코미디언)|김효진]]이 주연인 코너인 울엄마에도 박명수는 조연으로 출연했었다. 즉 탑급 인지도의 개그맨들 사이에서 쩌리는 해봤지만, 개그맨 전체에서 쩌리인 적은 무한도전 전까지도 10년 넘게 단 한번도 없었다.] 다 출연[* 당연히 항상 주연은 아니었지만, 주연도 많이 하긴 했었고 최소 조연은 항상 했었다.]했었을 정도의 주류 개그맨이었고 B+ 내지 A-급으로 CF 촬영 등으로 대중들에게 존재감은 확실한 편이었다.[* [[김경진(코미디언)|김경진]]의 말마따나 거성 엔터에서 B-급에서 B급이 되기는 했지만 B+급은 못 될 것 같다고 했는데, 지금의 김경진보다는 90년대의 박명수가 훨씬 성공한 축에 들었다. 사실 당시의 박명수의 인기는 A급이라고 하기는 애매한 편이지만 대중 인지도가 매우 높은 편이긴 해서 약간 과장해서 A-급이라 할 수 있다.] 즉 지금처럼 2번의 연예대상 출신의 예능인으로서 최정상급의 인지도를 가진 톱스타라는 의미에서는 과거에는 인기 있는 연예인이 아니었다고 말할 수 있고, 상당히 인지도가 있는 연예인이라는 의미에서는 초창기부터 예전부터 인기가 있던 연예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20대 때부터 길거리에서 사인공세에 시달렸고, [[김구라]]처럼 길거리의 일반인들이 거의 못 알아보는 무명 개그맨 시기를 겪다가 데뷔 10년이 넘어서야 유명해진 사람들과는 경력의 차원이 다르다. 2010년대 방송가에만 익숙한 사람들도 알 수 있게 예를 들자면 [[아는 형님]] 초중기까지의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과 비슷한 포지션이었다. 개그맨 활동을 통해 인상깊은 캐릭터를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예능에 진출했고, 기복이 심해 패널은 자주 맡지만 메인 MC 급은 아니며, 어디에 투입되건 기본적으로 비호감 캐릭터를 담당하는 점에서 그렇다. 모르는 사람이 많지는 않겠지만 호감도가 높은 연예인이냐 하면 "글쎄?" 하게 되는 정도. 즉 인기 프로그램에 고정 내지 준고정으로 활동할 정도의 인지도를 갖추고, 프로그램 초기 방향성을 잡는 단계에서 활기를 불어넣을 정도의 캐릭터도 있지만 그렇다고 프로그램의 메인 MC나 주요 출연진을 맡길 정도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만 웃음을 주는 능력 자체로 본다면 '화내는 개그'라는 본인 주도 하의 트렌드를 만들어내기도 한 박명수가 김영철보다는 훨씬 좋은 편이다.] 이처럼 박명수는 데뷔 초기에는 유재석보다 인지도가 높았다. [[무리한 도전]] <암산왕과의 대결> 편(2005.12.10)중 유재석이 데뷔 선배[* 의외로 많은 이들이 잘 모르는 사실인데, 유재석은 1991년 KBS 공채 7기로 데뷔했으며 2021년 현재 데뷔 만 30년이 넘었다. 7기 동기로 '''[[김국진]], [[김용만]], [[박수홍]], [[남희석]]'''이 있으며 2000년, 2010년대 동시대에 활동한 어지간한 코미디언들을 짬밥만으로도 제압이 가능할 정도이다. 참고로 무한도전을 같이 한 KBS 공채 후배인 [[정형돈]]은 17기로 11년 후배다. 당연히 1993년에 데뷔한 박명수보다 2년 선배가 된다. 다만 20살이 되자마자 데뷔한 터라 동갑 혹은 나이가 많은 방송인들 중에서 그보다 후배들이 많아 서로간의 호칭 문제가 꼬여서 불편하기 때문에 그냥 나이로 앞서는 이들에게는 존댓말을 하고 있으며, 동갑내기 후배들하고는 사적으로 말을 놓는다고 한다. 유재석이 박명수에게 "명수형" 이라고 부르면서 친하게 잘 지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참고로 유재석은 가끔 농담식으로 박명수 앞에서 개그맨 선배 드립을 치기도 한다.]였지만 워낙 인기가 없어서 "박명수 닮았다", 혹은 박명수 [[짝퉁]] 취급을 당해서 연예인 생활을 그만두려고 했다고 한다. 무한도전 신년특집인 <초심으로 돌아가자>(2007.01.06) 편에서 출연자들의 신인 시절을 보여주는 코너에서 유재석도 "저(유재석 본인)보다 훨씬 인기가 좋으셨죠?" 라고 인정했다. 이처럼 초기에는 신인으로서 엄청난 인지도를 쌓았지만, 박명수가 무한도전으로 터지기 전까지 그의 주된 유명세와 활약은 대부분 데뷔 초기에 집중되어 형성되어 있다. 콩트 프로그램에서의 활약도 결코 주연급이 아니었다. 주연급을 맡기려 했다는 [[김성원(작가)|김성원 작가]]의 발언도 있었지만, 워낙 말을 더듬는데다가 연기력이 부족하고 그마저도 캐릭터의 폭이 제한되어 있어 이뤄지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1990년대에서 이어지는 MBC의 코미디 프로 황금기 때에는 김성원 작가가 메인 작가가 아니었으므로 주연급을 맡기려 했다는 발언이 나온 시점은 결국 [[코미디하우스]] 방영 중일 때인데, 이때 박명수는 데뷔 5, 6년차에서 10년 이상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상당한 고참 개그맨에게 메인을 못 맡겼다는 소리이다. 즉 초창기에는 대박이 확실히 터졌지만 이후 큰 발전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시대적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좋은데, 1990년대의 콩트 프로그램에서는 현재의 버라이어티 예능쇼처럼 무작정 한 장면이나 단락적으로 웃기고 그걸 유재석과 같은 중재자가 받아서 잘 정리해주는 게 아니라 일정한 스토리의 틀이나 흐름 속에서 희노애락 등을 나름대로 표현해 가면서 김국진이나 홍기훈, 김진수처럼 기본적인 연기력+반전으로 웃기는 패턴이었기 때문에 대본 소화 능력이 떨어지는 박명수는 자연스레 그 역할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비교적 순발력이 중요해진 이후 시점의 코미디 하우스 등에서의 무대에서조차 약방의 감초 역할을 벗어나지 못했다. 사실상 박명수는 콩트에서는 특이한 얼굴이나 말투를 바탕으로 극을 돋보이게 하는 조연 역할이었다. 종종 회자되는 박명수의 대표 코너 격인 [[코미디 하우스]]의 3자 토론이 대표적인데, 이회창 역으로 출연하며 좋은 활약을 보이기도 했지만 여기에서조차 박명수는 약방의 감초 역할에 불과했다. 코미디 하우스의 대표 코너는 [[정준하]]의 출세작 노브레인 서바이버, [[조혜련]]의 골룸 개그, [[김현철(코미디언)|김현철]]의 1분 논평 등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당시 박명수의 위상을 대략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 3자 토론은 코미디 하우스 내에서 반응이 그렇게까지 좋지는 못했던 코너였던 데다가[* 메인 코너였긴 했지만 얼마 후 신설된 노브레인 서바이버의 인기로 인해 메인을 뺏겼다. 특히 방송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만큼 어린 친구들은 이 코너를 개그가 아닌 정치인 토론회로 착각해 채널을 돌린 적도 적지 않았다고...] [[노무현]]을 모사하던 [[배칠수]]의 활약이 더 좋았기 때문에 자주 편집되기까지 했다. [[개그콘서트]]의 부흥과 함께 콩트 프로그램은 몰락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MBC 소속 개그맨들은 둥지를 떠나 다방면에서 활동하게 된다. 박명수는 [[공감토크쇼 놀러와]] 등에 출연하며 MBC와 연을 잇는 한편 KBS와 SBS에도 게스트 출연을 이어갔지만 후술할 리얼버라이어티 붐 이전까지 상당한 침체기를 보내게 된다. 패널 역할로 많이 뛰기는 했지만 비슷하게 패널 역할로 많이 뛰었고 이따금씩 케이블 MC나 지상파 꼽사리를 끼는 김태현을 보고 인기가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 것처럼 역시 박명수의 이 당시 인기라는 것은 미묘한 부분이 있다. 흔히 박명수가 방송에서 이야기하던 사업의 집중기가 바로 이때이다. 그러다가 방송의 시류가 리얼버라이어티 및 예능으로 바뀌게 되었고, 강렬하면서도 밉지만은 않은 캐릭터를 갖고 있었던 박명수는 [[공감토크쇼 놀러와]], [[X맨을 찾아라]]와 무한도전을 통해 비로소 대세라고 할 수 있는 상황으로 접어들게 되었다. 리얼버라이어티 초창기 박명수가 제창했던 '제8의 전성기'라는 표현은 평소 꾸준히 잘 나갔다는 자신감의 표현이 아니라, 어떻게든 개그계에서 끈질기게 버텨왔다는 자괴감을 개그 소재로 승화시킨 기믹이 제대로 먹혀든 것이다. 꾸준히 잘 나갔으면 전성기가 8번 오는 게 아니라 1번의 전성기가 쭉 계속 되는 것이다. 박명수 본인이 음반 활동에 집중했던 것도 당대 행사 진행에서 개그맨이었던 자신을 차별화하기 위한 요소였다. 나이트 행사를 진행하면서 본인은 한 시간이나 붙어있어야 비로소 출연료를 지급받는 것과 달리 가수는 잠깐 방문해 한두 곡만 부르고 가 버림에도 불구하고 페이가 더 세다는 사실을 알고는 아예 내가 진행하고 내가 노래하겠다는 식으로 나왔던 것.[* 그래서 앨범이 자꾸 망하는데 왜 계속 내냐는 한 기자의 질문에 어차피 다른 데에서 써먹기 때문에 망해도 망한 게 아니라고 답한 바 있다. 히트곡이 되면 좋겠지만 실패해도 본인 행사에서의 레퍼토리는 늘어나기 때문.] 실제로 박명수의 앨범의 구성을 살펴보면 행사 음악용 구성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클럽 음악에 진출하게 된 현재 시점에서도 마찬가지. 2000년대 중후반이나 되어서야 개가수가 비로소 자리를 잡았던 점을 생각해보면 확실히 인상적이다. 이렇게 버라이어티 예능 전성시대가 오기까지 캐릭터에 큰 변경이 없는 박명수의 흥망성쇠는 2000년대 방송의 개그 프로그램 트렌드의 변화를 잘 보여주기도 한다. 본인에게 한계가 있는 콩트라는 장르는 명백히 몰락하고 있었고, 인지도는 어느 정도 있지만 방송사를 대표할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개그맨들은 소속 방송사라는 둥지를 떠나 활동하기 시작한다. 박명수 역시 그러한 개그맨의 하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만의 개성있는 캐릭터를 가지고 있었던 박명수는 무한도전과 X맨에서 출연과 하차, 재투입을 거듭하여 리얼버라이어티에 적응해냈고 이윽고 대표 예능인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리얼버라이어티의 선봉장에 위치한 것이 무한도전인 점을 생각해보면 오늘날 박명수를 논함에 있어 [[유재석-박명수 콤비]], [[하와수]], [[신구데블스]] 등 유재석, 노홍철, 정준하 등의 요소들과 무한도전 전후는 커다란 기점임에는 분명하다. 2006년 4월 3일 한국코카콜라 환타가 서울 시내 중고생 568명을 대상으로 '스승의 날에 1일 선생님으로 학교를 방문해 주기를 바라는 연예인' 설문조사를 했는데, 박명수가 '''1위'''를 차지했다. 당시 박명수는 [[X맨을 찾아라]]와 [[공감토크쇼 놀러와]], 강력추천 토요일[* 독립 이전 '''[[무한도전]]'''이 속해있던 코너이다.]에서 호통개그, 복식개그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2위로는 [[타블로]], 3위는 [[신정환]], 4위는 [[정형돈]], 5위는 [[조혜련]]이 각각 뽑혔다. [[https://sports.chosun.com/news/news_o2.htm?name=/news/entertainment/200604/20060404/64d70032.htm|#]] == 기타 활동 == === [[박명수/음악 활동|음악 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음악 활동)] === [[박명수/출연 작품|출연 작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출연 작품)] == [[박명수/특징|특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특징)] === [[박명수/특징#s-10|어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특징, 문단=10)] 박명수는 무한도전에서 많은 어록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2020년 [[할명수]]에서《남보다 나》라는 박명수 어록 책을 제작하였다.[* 임재균 작가가 대필을 담당하였으며, 전자책 형태로 무료 배포하였다.] == [[박명수/인간관계|인간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인간관계)] == [[박명수/별명|별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별명)] 무려 '''별명 개수가 1,000개가 넘으며, 한 자음당 별명이 20개가 넘는 유일무이한 연예인이다. 한국 연예계의 진정한 별명왕.''' == [[박명수/사업|사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사업)] == [[박명수/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여담)] == [[박명수/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명수/논란 및 사건 사고)] == 수상 내역 == * 1993년 [[문화방송|MBC]] 개그콘테스트 장려상 (공동 수상자 : [[김학도]]) * 1995년 [[MBC 방송연예대상|MBC 코미디대상]] 신인상 ([[오늘은 좋은 날]], TV 파크) * 1997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부문 우수상 (전국퀴즈열전) * 2000년 [[MBC 방송연예대상|MBC 코미디대상]] 인기상 (코미디닷컴) * 2005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인기상 ([[무모한 도전]], [[무리한 도전]]) * 2006년 제18회 [[한국PD대상|한국방송프로듀서상]] 코미디언상 * '''2006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남자 최우수상''' ([[무한도전]]) *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무한도전]]팀([[유재석]], [[정준하]], [[정형돈]], [[노홍철]], [[하하]]), [[이순재]]와 공동 수상) *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우정상 ([[무한도전]],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동안클럽) *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부문 엽기상, 몸개그상 ([[무한도전]],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동안클럽) * '''2008년 제4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예능상'''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시즌3]]) * 2008년 제89회 전국체육대회 에어로빅 일반부 동호인 6인조 2위 ([[무한도전]] 멤버(유재석, 정준하, 정형돈, 노홍철, [[전진(신화)|전진]])들과 공동수상) * 2009년 멜론 뮤직 어워드 스폐셜앨범상 * 2009년 [[MBC 방송연예대상]] PD상 ([[무한도전]] 멤버(유재석, 정준하, 정형돈, 노홍철, [[길(가수)|길]])들과 공동수상) * 2009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부문 우수상 ([[2시의 데이트|박명수의 2시의 데이트]]) * 2010년 제4회 M.net 20's Choice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 20인 * 2010년 제5회 에이어워즈 최고의 블랙칼라 워커 * '''2010년 [[KBS 연예대상]] 최고 엔터테이너상'''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시즌3]]) * 2010년 [[KBS 연예대상]] 베스트 팀워크상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시즌3]]팀(유재석, [[박미선]], [[신봉선]])과 공동수상) *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남자 최우수상''' ([[무한도전]],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뜨거운 형제들]]) *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베스트 굴욕상 ([[무한도전]],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뜨거운 형제들]]) *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베스트 커플상 ([[무한도전]], [[정준하]]와 함께 수상) * 2011년 제53회 전국조정선수권대회 노비스 에이트 2000m부문 특별상 ([[무한도전]] 멤버들과 공동수상) * 2011년 멜론 뮤직 어워드 핫트렌드상 * '''2012년 [[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무한도전]], [[일밤|일요일 일요일 밤에]] - [[매직콘서트 이것이 마술이다]], [[코미디에 빠지다]]) * '''2015년 [[KBS 연예대상]] 쇼/오락부문 남자 최우수상'''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시즌3]]) * '''2015년 [[MBC 방송연예대상]] 공로상''' ([[무한도전]](유재석, 정준하, 하하, [[황광희]])멤버들과 공동수상) * 2016년 [[KBS 연예대상]] 라디오 DJ상 ([[박명수의 라디오쇼]]) * 2016년 제3회 코미디 핫 페스티벌 한류코미디어워즈 개인부문 * '''2017년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최우수상''' ([[무한도전]]) * 2017년 [[SBS 연예대상]] 신스틸러상 ([[싱글와이프]]) * 2021년 [[KBS 연예대상]] 올해의 DJ상 ([[박명수의 라디오쇼]]) * 2022년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연예인유튜버(남) * '''2022년 제13회 [[대중문화예술상|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 * '''2023년 [[한국방송공사|KBS]]를 빛낸 50인 선정''' * 2023년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연예인유튜버(남) (2년 연속 수상) == 기타 경력사항 == * 2004.11 ~ 2007 - [[교촌치킨]] 홍보이사[* 2005년 3월 19일 [[만원의 행복]] 방송분에 도전자로 출연했을때 본인이 운영하는 치킨집을 보여주는건 기본이고 일하는 정원이 모자를때는 본인이 직접 오토바이를 몰며 직접 배달하기도 했으며 교촌치킨 본사에서 본인 사무실과 홍보이사 명패를 보여주었고, 본사 직원과 회의하는 모습도 잠시 방송에 나갔었다. 박명수가 도전자로 출연하기 전인 2004년에 만원의 행복 도전자로 출연했던 [[손지창]]이 동료 연예인들과 회식했는데, 회식한 곳이 바로 박명수가 운영하는 치킨집이었고 간접적으로 가게 내부를 보여주었다.] * 2005년 - 임실치즈피자 서울지사장[* 여담으로 2006년 12월 23일에 방송된 [[무한도전]] 크리스마스 특집 2부에서 사다리타기로 그 번호가 걸리면 그 번호표가 붙어있는 선물을 풀어보는 시간인데 [[노홍철]]이 박명수가 준비한 선물을 풀어봤지만 실망하면서 꺼내보니까 식어있었던 만원짜리 콤비네이션 피자였는데, 피자상자를 보면 임실치즈피자라고 써져있었다.] * 2006.03 ~ - 사무용소프트웨어 연합(BSA) 한국 홍보대사 * 2008년 - 박준헤어테크 이사 * 2010년 - 44데이 캠페인 홍보대사 * 2011년 4월 - 소프트웨어 저작권 비전 2020 홍보대사 * 2010년 2월 - A형 간염 예방 홍보대사 * 2010년 4월 - 범국민 저작권 홍보대사 * 2011년 5월 - 금연 홍보대사 == 관련 문서 == * [[유재석]] * [[강호동]] * [[정준하]] * [[홍기훈]] * [[표영호]] * [[김학도]] * [[서경석]] * [[이윤석]] * [[배칠수]] * [[정형돈]] * [[노홍철]] * [[하하(가수)|하하]] * [[한수민]] * [[박근혜 정부]] [[청와대 블랙리스트]] [[분류:박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