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kbsrtransport.png|width=250]] || ||<-5> {{{#ffffff [[KBS 2FM|[[파일:KBS CoolFM 로고 화이트.svg|width=120]]]]}}} || ||<-5> {{{#fff [[KBS 2FM|[[파일:U-KBS MUSIC 로고 화이트.svg|width=90]]]]}}} || ||<-5> {{{#ffffff [[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 화이트.svg|width=130]]]]}}} || || 9시 - 11시 ||<|2> {{{+1 ▶}}} || 11시 - 12시 ||<|2> {{{+1 ▶}}} || 12시 - 14시 || || [[주현미의 러브레터]][br](해피FM)[br][[음악앨범|이현우의 음악앨범]][br](쿨FM/U-KBS ♬) ||<#c9e8fb,#445966> '''박명수의 라디오쇼'''[br](매일 전주총국, 평일 대구총국 해피FM 제외) || [[가요광장|이은지의 가요광장]][br](쿨FM/지역총국 해피FM/U-KBS ♬)[br][[임백천의 백뮤직]][br](수도권 해피FM) || [include(틀:박명수)] ||<-2> {{{#faeece {{{+1 '''박명수의 라디오쇼'''}}}}}}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명수의라디오쇼.jpg|width=100%]]}}} || || '''방송 채널''' || [[KBS 2FM|[[파일:KBS CoolFM 로고.svg|width=99]]]]([[파일:U-KBS MUSIC 로고.svg|width=76]])[br][[KBS 제2라디오|[[파일:KBS HappyFM 로고.svg|width=103]]]][* 대구총국, 광주총국, 전주총국은 자체 프로그램 송출] || ||<|2> '''방송 시간''' || 월요일 ~ 일요일 || || 11:00 ~ 12:00 || || '''방송 기간''' || [[2015년]] [[1월 1일]] ~ 현재[br]{{{-2 ([dday(2015-01-01)]일 | [age(2015-01-01)]주년)}}} || || '''DJ''' || [[박명수]] || || '''연출'''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5040225|공석]][* 2021년 11월부터 [[강한나의 볼륨을 높여요]]에서 넘어와 연출을 맡던 김홍범 PD가 부장으로 승진하면서 공석이 되었다.] || || '''작가''' || 양혜원, 김혜림 || || '''웹사이트''' || [[http://program.kbs.co.kr/2fm/radio/radioshow|[[파일:logo-coolfm.png|height=20]]]] [[http://www.instagram.com/gpark_radi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http://www.youtube.com/channel/UCCawQxe_JleuuKYOVpGLD2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 오프닝 멘트''' >"Welcome to the G-Park Radio~!" >"G-Park! G-Park! G-Park! G-Park Radio Show!" >"웰컴! 웰컴! 웰컴~!"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DJ G-Park, 박명수입니다." [[KBS 2FM|KBS 쿨FM]], 일부 지역국의 [[KBS 제2라디오|KBS 해피FM]]에서 매일 오전 11시부터 정오까지 방송되는 [[라디오]] 프로그램. DJ는 [[박명수]]가 맡고 있다. [[MBC FM4U]]에서 했었던 [[두시의 데이트 박명수입니다]] 종방 이후 박명수의 4년 3개월여만의 DJ 복귀로, 베테랑 DJ인 박명수지만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라디오를 진행하는 것은 처음이다. [[2015년]] [[1월 1일]]부터 첫방송한 프로그램으로 [[2010년]]부터 방송하던 팝스팝스[* [[2010년]] [[4월 19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방송된 팝 음악전문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윤상]], [[버벌진트]], [[최다니엘]]이 차례대로 DJ를 맡았다.]의 후속 프로그램이다. 박명수의 지명도가 워낙에 높은데다 깨알같은 멘트들, 그 시기에 핫한 게스트들도 자주 나오기 때문에, 본 방송 내용이 포털 사이트에서 매일 기사화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9년]] [[10월 11일]] 방영분에서는 연예부 기자들을 직접 방송에 초대해 왜 매일 기사가 올라오는 건지 따져묻기도 했다. 결론은 박명수 자신이 잘해서라는 자화자찬으로 종료. [[2016년]] [[4월 25일]]부터 대구방송총국, 광주방송총국, 전주방송총국이 관할하는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방에서 [[KBS 제2라디오|KBS 해피FM]](a.k.a 제2라디오) 지역국 FM 주파수를 통해 라디오로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굿모닝팝스를 제외하고 쿨FM 프로그램이 릴레이 되는 것은 15년만에 처음이다. 이후 동시간대 Happy FM 프로그램인 '임백천의 골든팝스'가 2020년 8월 31일부터 가을 개편으로 폐지되면서 수도권에서도 동시 송출을 하게 되었다.[* AM 603㎑로는 타 지역에서도 청취할 수 있다.] 제일 핫한 코너인 '성대모사 달인을 찾아라'는 별도의 유튜브 채널로 운영되고 있다. 가끔씩 특별 게스트가 나왔을 때 편집 영상도 여기에 올라온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_hGOjcD6Ro)]}}} || || 레전드 : 증기기관차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u9QGBoW4hs)]}}} || || 레전드 : 정우성 부잣집벨소리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q2nSSvuF1A)]}}} || || 무도 이후 드디어 다시 만난 아이유(IU)와 명수옹 || 이 외에도 유아인 직캠 영상도 있었으나, [[유아인 마약 투약 혐의 사건]]으로 비공개되었다.[* 방송 후에 박명수는 30년 방송활동 중 가장 힘든 순간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887998&cloc=|#]]] 보이는 라디오의 경우 Cool FM에서 지원된다. Happy FM은 릴레이 형식으로 지원된다. == 코너 == 본 항목의 내용은 박명수의 라디오쇼 홈페이지에서 대부분 가져왔다. === 요일별 코너 === * '''전설의 고수''' (월요일) > 나이, 성별, 직업에 상관없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다양한 분야의 전설들을 모십니다. 최근 핫한 인물들을 초대하여 대화를 나누는 코너다. DJ가 DJ인만큼 삼천포로 빠지는 일도 꽤 있지만 유명 게스트들의 상당히 진솔한 면모도 종종 볼 수 있다. 기존 코너였던 '직업의 섬세한 세계'와 유사하다. * '''모발모발(Mobile) 퀴즈쇼''' (화요일) with 김태진 >가볍게 퀴즈 풀고 역대급 선물 받아가는 코너! >대한민국 최초로 청취자 하대쇼가 펼쳐지는 >듣기만 해도 웃긴 퀴즈쇼! * 두데 시절 금요일 코너였던 <적립식퀴즈! 오토굿바이>가 전신이다. * 바람잡이 퀴즈: 몸풀기 퀴즈로 정답을 거저주는 초간단 퀴즈가 나간다. 정답자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오답을 보내준 청취자들도 선물을 받을 수 있다. * 음악퀴즈: 담당 PD가 유명 가요의 일부분을 3단계로 짧게 잘라 들려준다. 노래 일부분을 듣고 방송 중 알려주는 2개의 유선 전화번호로 직접 전화를 걸면 참여가 가능하다. 하지만 워낙 참여자가 많기 때문에 전화 연결은 거의 하늘의 별따기 수준으로 어렵다. 전화 연결이 되는 순간, 가수와 노래 제목을 바로 말해야 하며, 박명수로부터 본격적인 청취자 하대를 경험할 수 있다. 연결 후 바로 정답을 말하지 않고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등과 같은 말을 하거나 오답을 말하는 경우 박명수의 하대와 함께 그대로 전화 연결이 끊어진다. 1단계에서 바로 정답을 맞혔을 경우 랜덤으로 뽑을 수 있는 선물은 3가지, 2단계 성공은 선물이 2가지, 3단계 성공은 선물이 1가지로 줄어든다.[* 녹음방송일 경우에는 노래의 3단계 구간을 모두 들려주며 전화 연결없이 문자로 정답을 보낸 청취자들 중에서 당첨자를 뽑는다.] * 3단계 퀴즈: 청취자 1인과 전화 연결이 되면 1단계 OX퀴즈, 2단계 객관식 퀴즈, 3단계 주관식 퀴즈가 나간다. 주로 상식 관련 문제들이며, 1단계씩 성공할 때마다 다음 단계 도전 여부를 청취자가 선택할 수 있다. 3단계까지 문제를 모두 맞히면 적립된 선물도 모두 가져갈 수 있다. 하지만 다음 단계도전을 하다가 실패했을 경우, 적립된 단계별 선물은 모두 사라지고 자동으로 전화 연결이 끊어진다. 중간에 오답시 대부분 청취자 퀴즈로 출제된다. 박명수와 김태진의 이목을 끄는 재미난 참여 문자를 보낼수록 전화 연결 확률이 높아진다. * '''빽현의 소신발언''' (수요일) with [[빽가]], [[이현이]] 연애, 결혼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코너. 빽가가 스케줄 상 빠지는 경우에는 [[슬리피]]가 대타로 들어간다. * '''명's 초이스''' (목요일 1부) 31년 예능 외길 인생 박명수가 청취자들의 고민에 대해 자기 마음대로 답변하는 코너. * '''성대모사 달인을 찾아라''' (목요일 2부) >인물, 사물 등 세상의 온갖 것들을 입으로 흉내내는 코너! >세상은 넓고 흉내낼 소리들은 많다! >예선만 통과해도[* 언젠가부터 예선이 없어지고 1부부터 본선을 진행한다. 전화 연결 후 박명수에게 딩동댕을 받아야 백화점 상품권 10만원권을 받을 수 있다. 실패 시 기본 선물 제공.] 백화점상품권 10만원 하이라이트만 모아놓은 광고가 매일 방송됨. 한달에 한번꼴로 업데이트되는 듯. '''역대참가자 : 현금인출기, 팩스, 람보르기니, 자동차경주, 대금, 말, 얼룩말, 닭, 고라니, 비둘기, 매미, 구애 실패해서 우는 물범, 개구리, 타이어 교체, 펭수, 압력밥솥, 뻑뻑한 나무문, 오리, 까마귀, 지하주차장, 제초기, 스프링클러, 싸나운 고양이, 부잣집 벨소리(초인종), 버스 내릴 때 문에서 나는 소리, 증기기관차[* 이건 정말 레전드다. 심지어 2020년 12월 24일에 방송된 성대모사 Awards 마스터클래스에서는 더 업그레이드 된 증기기관차로 나왔으며, 결국 1등을 차지하였다.], 가수 비[* 라디오쇼 출연자들 중 역대급 싱크로율을 자랑한다.], 백종원[* 출연 당시 성대모사의 싱크로율 뿐만 아니라 웃음 포인트까지 굉장히 잘 잡았다. 그 후 2020년 12월 31일에 방송된 성대모사 Awards 마스터클래스에서 백종원 성대모사와 여러 정치인 성대모사를 함께 보여주며 1등을 차지하였다.], 라마, 몽키 바이크, 인테리어 드릴, 태국 코끼리, 악당 웃음소리, 이명박 오토바이, 이명박 번지점프, 이명박 전 대통령이 부르는 청하의 '벌써 12시', 박명수[* 심지어 재도전까지 했다. 꽤나 비슷했지만 박명수 본인이 인정하기 싫은지(?) 모두 땡을 쳤다.], 홍천 한우, AI(시리), 박근혜 로꾸거[* 증기기관차 성대모사 도전자와 함께 이 코너를 흥하게 만든 도전자 중 한 명이다. 여러 SNS상에 클립 영상이 돌아다니는데 엄청난 누적 조회수를 자랑한다. 그러나 연말 성대모사 Awards 마스터클래스에서는 살짝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1등을 차지하는데 실패했다.], 미국 소방차 사이렌 소리, 싸구려 커피 자판기, 헬기타고 상공에서 리포트하는 기자, 구조하러 가는 헬기, 고2 여학생의 오토바이 소리[* 대화할 땐 엄청 수줍어하다가 성대모사 할 때 찐텐션이 나온다. 중고등학생 특히 풋풋한 여학생들의 참여가 많은데 이게 굉장히 웃긴 포인트 중 하나다.], 고3 여학생의 밥솥 소리''' 등등 * 두데 시절 수요일 코너였던 <수요예술무대>가 전신이다.[* 특이한 점은 수요예술무대는 두데 당시 가장 인기없던 코너인데, 본 코너는 오히려 제일 인기가 많다는 점이다.] * 라디오쇼 바로 다음 방송인 [[정은지의 가요광장]]의 DJ [[정은지]]가 정체를 숨기고 깜짝 출연해 KBS고양이와 펭수, 박정현 성대모사와 [[체리필터]]의 '낭만고양이' 를 한 소절 불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wCfSIQHYWg)]}}} || * [[볼륨을 높여요]]의 진행자였던 [[강한나]]도 박명수 몰래 라디오쇼에 전화를 걸어 이 코너에 깜짝 출연하였다. 하찮은 모기 소리, 기분 좋은 소 울음 소리, 박명수의 신곡 치맥 플렉스를 부르는 닭소리를 야심차게 준비해왔지만 결과는... 박명수에게 '이렇게하면 청취율 전쟁터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근처에 얼씬도 거리지 말라'는 야단을 맞고(?) 끝이 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verXEsGhW0)]}}} || * '''인스타그램의 여러 유머계정에서 해당 코너의 일부 영상들을 올렸는데 이것이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 조회수를 다 합치면 수천만뷰.'''[* 비록 업로드 영상은 불펌으로 추정되지만, 라디오를 청취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이 방송이 알려지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던터라 박명수와 제작진들은 오히려 기뻐하였다.] * '''검색N차트''' (금요일) with 전민기 (빅데이터 전문가) >한 주의 이슈를 키워드와 빅데이터 분석으로 알아보는 코너 * '''볼륨을 쪼오금 더 높여요''' (토요일) >이번주에 미처 소개하지 못한 사연들을 >차곡차곡 모아서 한꺼번에 소개해드립니다. >지팍의 입담과 함께요~ * '''11시 내고향''' (일요일) > 사랑하는 애청자들을 > 찾아 떠나는 시간... 두데 시절 매일 코너였던 <거성 리서치>가 전신이다. 사연을 남긴 청취자들에게 방송 중 직접 전화를 걸어 이것저것 다양한 이야기들을 함께 나누어보는 코너. 박명수가 당일 전화 연결된 모든 청취자에게 좀 뜬금없는 질문을 하고 방송 끝부분에 전체 평균을 내는 코너 속의 공식 질문도 있다. ~~물론 신뢰도 그런거는 없다~~ === 종방 코너 === * '''걸어서 음악 속으로''' (일요일) 음악 평론가 이대화 씨와 꽤 심도있는 음악 이야기를 나누는 코너였다. 라디오쇼 시작과 함께 시작하여 2015년 7월 종영. * '''런치의 왕자''' >간식이 필요한 사람들, >좀 더 매달려봐... 더 세게! >런치의 왕자, 명수가 간식을 쏩니다. 매일 제작진에서 준비한 기프티콘이나 실제 배달가능한 간식거리를 정해진 인원에게 선물한다. 그러나 그냥 주는것은 아니고 그날의 선물로 준비한 간식의 이름으로 이행시 혹은 삼행시를[* 더 긴건 잘 안 시킨다. 프로 웃음 사냥꾼만 할 수 있는 거라고. ~~그래놓고 자기가 [[무한도전 특별기획전 2/웃음 사냥꾼이 간다|웃음 사망꾼]]이 되었다.~~] 재미있게 지은 사람에게 나누어 준다. 대부분 앞자리는 [[웃음 연금술사]]가 정하고 청취자는 뒷자리만 만드는 식이다. 청취자의 이행시나 삼행시를 뽑는 기준이 없다. 앞자리와는 전혀 상관없이 [[개드립]]이나 은유적인 [[19금]] 사연을 좋아하는 듯 보인다.~~한마디로 엿장수 마음대로~~ 조관우의 늪의 가사중 일부분인 '가려진 커튼 틈 사이로' 나 아이유와 함께 한 레옹의 랩부분인 '티키타 리듬에 맞춰 스핀' 부분을 그날의 정해진 단어와 어떻게든 연결시켜서 보내는 청취자들이 있다. 박명수 본인은 특정 개인이 계속 보내는거라고 생각하는것 같지만, 많은 청취자들이 커튼과 티키타를 이어보려고 한다. 지금은 진행하지 않는다. * '''운수 좋은 날''' (월요일) >오늘 운수 좋으셨쎄요? >여러분의 운을 복불복 선물 추첨으로 >재확인 해보는 시간입니다. >운 좋은 사람에겐 좋은 선물이 따를지니. * '''개과천선''' with [[이지혜(가수)|이지혜]] (금요일) >전엔 이랬지만, 지금은 이정도로 개과천선! >그러니까 괜찮아요. >숨기지 말고 다 말해줘요. >변한만큼 선물도 드려요. * '''[[정재환]]의 역사 이야기''' (월요일) >배우고 싶을땐 박명수, 알고 싶을땐 정재환! >알고있으면 약이 되고 살이 되는 >우리의 역사 이야기! * '''수요 미담회''' (수요일) >자신의 미담은 자신이 알리자. >미담을 셀프로 공개하고 >셀프로 선물도 챙겨가세요. * '''생색정보통''' with [[박대기]] (금요일) KBS 경제부 기자 [[박대기]]와 함께하는 경제이야기 * '''[[이한석|제가 한번 해보겠습니다]]''' with [[박슬기]], [[고영배]] (토요일) >저 프로 웃음 사냥꾼입니다. >보내주신 소중한 사연들 >저희가 책임지고 살려보겠습니다! * '''제가 한번 해보겠습니다''' with [[김보민(성우)]] a.k.a.쓰복만, [[정혁(모델)|정혁]] (토요일) >사연에게 새 생명을 >본격 혁신 파격 꽁트쇼! > 너무 자잘해서 쓰기 민망한 사연부터, > 빅재미 큰웃음이 들어가 있는 사연까지! > 별 내용없는 짧은 사연부터, > 인생의 천태만상이 느껴지는 긴 사연까지! > 아무 사연 보내주시면 > 성우 보민 보민 김보민양과 > 모델 혁이 혁이 정혁군의 > 신명나는 연기로 돌려드릴게요. * '''우리 같이 들을까?''' (일요일) >뮤지션들의 음악 취향을 >당신과 나눠보는 시간입니다. >내가 듣고 있는 음악.. >우리 같이 들을까? * '''직업의 섬세한 세계''' (월요일) > "한달에 얼마 버세요?" > 그 누구도 묻지 않은 질문으로 > 직업의 섬세한 세계를 파헤칩니다. 각계각층에 종사하는 게스트를 초대해 게스트의 직업과 삶에 관하여 대화를 나누는 코너다. DJ가 DJ인만큼 삼천포로 빠지는 일도 꽤 있지만 유명 게스트들의 상당히 진솔한 면모도 종종 볼 수 있다. * '''에 대 박''' with 에바 코노노바, 박영진 (수요일) >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는 취지의 고민상담 토크쇼 > 대한외국인 에바 코노노바 vs 개그맨 박영진 1부에서는 청취자들의 고민 상담을, 2부에서는 점심 메뉴 2가지를 두고 무엇을 먹을지 정해보는 시간을 가진다. == 여담 == 첫 방송 시작 후 박명수의 이름값에 걸맞지 않게 오랫동안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인 SBS 파워FM의 씨네타운과 CBS 음악FM 신지혜의 영화음악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그러다 2019년 하반기 연출이 현인철 PD[* 2021년 11월 [[강한나의 볼륨을 높여요]]를 연출하던 김홍범 PD와 서로 자리를 맞바꿔 [[신예은의 볼륨을 높여요]]로 이동했다.]로 바뀌고 성대모사 코너가 신설되었고, 동시에 박명수 특유의 진행 스타일과 잘맞는 코너 개편이 진행되면서 무섭게 치고 올라오기 시작했다. 마침내 2020년[* 메인작가가 김세은 작가로 교체되었다.]에는 1~4라운드 전부 다 모든 채널 통틀어 동시간대 청취율 1위를 기록하였다.[* '라디오쇼' 박명수 "동시간대 청취율 1위, 제가 드디어 해냈다" 2020.02.05.[[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002051112922803|#]]][* '라디오쇼' 박명수 "동시간대 청취율 1위..사랑하는 애청자 덕분"(종합) 2020.11.05.[[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2011051039131374391_1|#]]] 2021년 1라운드 청취율 조사에서는 [[SBS 파워FM]]의 [[박하선의 씨네타운]]에 밀려 청취율 1위 자리를 잠시 내주었지만, 2라운드 청취율 조사에서 다시 1위로 올라왔다. 이후 3, 4라운드에서도 계속 동시간대 청취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2023년 1분기에서는 다시 [[신지혜의 영화음악]]과 [[박하선의 씨네타운]]에 밀려 동시간대 3위... 하지만 2분기엔 또 1위를 탈환했다고 한다.[[https://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381031|#]]] 높은 인기 덕분에 중간 광고들이 굉장히 많고, 경품 협찬도 상당히 많이 들어온다. 매월 협찬이 들어오는 경품의 수만 대략 30가지에 달하며, 클로징 멘트 전에 선물을 소개하는 시간만 3분이 넘어간다. 오전 11시부터 11시 57분까지 가뜩이나 1시간이 채 되지 않는 방송인데 광고와 선물 소개 멘트로 인해 진행자의 멘트와 노래가 나가는 시간은 더 줄어든다. 이 때문에 콩 어플 게시판에서 방송이 너무 짧아 아쉽다는 청취자들의 의견을 자주 볼 수 있다. 선곡은 대부분 국내가요. 8090부터 최신가요까지 골고루 나간다. 2020년 8월 6일 집중호우로 교통대란이 발생한 가운데 라디오쇼 진행 5년만에 처음으로 생방송에 지각했다. 박명수 말로는 이제껏 디제이 하면서 생방송에 늦은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고. 그렇다면 거의 15년간 지각한 적 없었는데 그 기록이 깨진 것이다. <조우종의 FM대행진>의 진행자 조우종이 박명수 대신 오프닝을 진행했다.[* 이 날은 집중호우로 서울시내 도로 곳곳이 통제되며 박명수를 비롯해 디제이들이 생방송에 늦는 사태가 속출했다.][* '패닉 출근길'… 김영철·박명수 등 라디오DJ도 지각행렬[[https://news.joins.com/article/23842633|#]]] 이 날의 긴박한 상황이 담긴 영상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sp_yBbsIuw)]}}} || || 명수옹 라디오 지각한 날 || [[KBS 2FM|U-KBS MUSIC]]에서 《[[FM대행진]]》, 《[[음악앨범]]》, 《[[사랑하기 좋은날]]》, 지금은 종방된 《[[심야식당(KBS)|심야식당]]》과 같이 프로그램 아트를 보유한 2FM 릴레이 프로그램이다. 2015년 1월 1일 첫방송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오프닝 시그널 음악은 박명수가 직접 만든 것이라고 한다. 2022년 10월 31일과 11월 1일 방영분은 박명수가 아닌 [[김종현(아나운서)|김종현]] 아나운서가 진행했다. 박명수의 개인 일정으로 인해 해당일의 라디오쇼를 사전 제작했는데, 평소처럼 유쾌한 톤으로 제작된 방송이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한 사회적 추모 분위기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송출하지 않은 것이었다고 한다. 2023년 6월 19일, 박명수가 개인 사정으로 인해 라디오쇼를 불참하게 되었는데 그 개인 사정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팬들과 청취자들 사이에서 걱정과 우려가 나타나던 중, 6월 21일 임시 DJ 정은지가 박명수의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불참하게 되었고, 6월 24일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9월 2일-3일 방송은 쿨FM만 본방송으로 송출되고 2라디오는 공사 창립 50주년 특별기획 오디오 다큐멘터리 '그때 KBS가 있었다' 방송으로 결방된다. 2023년 9월 3일부터 U-KBS MUSIC에서도 《[[누군가 어딘가에]]》가 종방되자마자 릴레이되고 있다. 2023년 12월 16일 저녁 6시에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공개방송을 진행했다. 진행 당일 '''영하 10도'''에 가까운 추위를 뚫고 무료로 관객을 받았으며, [[하하(가수)|하하]], [[폴킴]], [[스텔라장]], [[BIG Naughty]], [[웬디(Red Velvet)|웬디]], [[다이나믹 듀오]] 등이 무대에 참여했다. 이 방송은 12월 30일, 31일 이틀에 걸쳐 방송되었다. == 지역 프로그램 == 2024년 4월 1일 기준 전북권[* 광주와 인접한 전북 남부 지역(정읍, 고창, 순창)과 김제에서는 [[KBS광주방송총국|광주총국]] 주파수(95.5MHz)로 들을 수 있다. 반면 충청남도와 인접한 전북 북부(군산, 익산, 완주)는 [[KBS대전방송총국|대전총국]] 주파수(100.9MHz)가 [[KBS전주방송총국|전주총국]] 클래식FM(100.7MHz)에 인접해 있어 청취가 곤란하고, 심지어 충남 부여, 서천에서도 혼신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들 지역에서 만약 아날로그 라디오로 듣고 싶다면 차라리 AM 603kHz를 맞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024년 3월까지는 광주총국에서도 자체 프로그램을 내보내 호남 전역에서 라디오쇼의 지상파 청취가 불가능했는데 4월부터 자체 프로그램을 5시로 옮기면서 해금되었다.]과 대구경북권에서는 지역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다만 아래 지역에서도 지상파 DMB 수신기가 있으면 U-KBS MUSIC을 통해, 또 인터넷 라디오 [[콩(KBS)|콩]]과 [[KBS+]] 앱을 통해 라디오쇼 본방송 청취가 가능하다. 또한 대구경북권은 주말에는 라디오쇼를 들을 수 있다. || 방송국 || 프로그램 || 진행자 || || [[KBS전주방송총국]] || 가요뱅크 || 김태은 || || [[KBS대구방송총국]] || 102.3 뮤직스튜디오[* 2024년 1월 27일부로 편성이 축소되면서 주말에는 라디오쇼 릴레이.] || [[허유원]] || == 둘러보기 == [include(틀:KBS 쿨FM)] [include(틀:KBS 제2라디오)] [include(틀:KBS FM)] [include(틀:KBS AM)] [[분류:KBS 라디오]][[분류:박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