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from=박맹수,other1=방송인 박명수,rd1=박명수)] ||<-2> '''[[원광대학교|{{{#221f20 원광대학교}}}]] [[총장|{{{#221f20 제13대 총장}}}]]''' [br] {{{#221f20 {{{+1 '''박맹수'''}}}[br]{{{#221f20 '''朴孟洙'''}}}}}}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박맹수.jpg|width=100%]]}}} || ||<|2> {{{#221f20 '''출생'''}}} ||[[1955년]] [[11월 12일]]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 || {{{#221f20 '''법호'''}}} ||학산(學山) || || {{{#221f20 '''법명'''}}} ||윤철(允哲)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직''' ||[[원광대학교]] 총장[br]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 [br]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장 || || {{{#221f20 '''경력'''}}} ||[[영산선학대학교]] 교수 [br] 모심과 살림 연구소 소장, 이사장 [br]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br]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학과장 [br]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부원장 [br]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 || {{{#221f20 '''학력'''}}} ||[[원광대학교]] 교학대학 {{{-2 (원불교학 / 학사)}}}[br][[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 (사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187774|海月崔時亨 硏究 : 초기(1861-1871) 행적을 중심으로]]])}}}[br][[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 (사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155083|崔時亨 硏究 : 主要活動과 思想을 中心으로]]])}}}[br][[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2 (일본사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8985170|近代日本と韓國との關係 : 東學思想, 甲午農民戰爭, 日淸戰爭を中心に(근대일본과 한국과의 관계:동학사상, 갑오농민전쟁,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참고로 해당 링크에는 본 논문을 석사 학위 논문으로 잘못 분류하였으나 박사 학위 논문이 맞다.][* 박사 학위 논문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링크) : [[https://ndlonline.ndl.go.jp/#!/detail/R300000001-I000000399482-00|近代日本と韓国との関係 : 東学思想,甲午農民戦争,日清戦争を中心に (2000)]]])}}} ||}}}}}}}}} || [목차][clearfix] == 개요 == [[원불교]] [[교무]] 겸 원불교학자이자, [[원광대학교]]의 제13대 [[총장]]. == 생애 == 1955년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서 출생하였다. 1979년에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교무로 출가하였으며, 이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소재의 [[대학원대학]]으로,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속되어 있다.] 역사학과에서 1986년 석사학위, 1996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영산선학대학교 교수로서 일본 홋카이도대학 연구교수를 겸하던 중 정식으로 [[홋카이도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 입학하여 2001년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3년부터는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로 임용돼 학생복지처장, 원불교사상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외적으로는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한국사상사학회 부회장, 동학학회 편집위원, 모심과살림연구소 소장,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 등 다양한 활동에 임한 바 있다. 이외에도 '일본의 양심'으로 불리는 나카츠카 아키라(中塚 明) 교수 등 일본의 시민운동가들과 함께 매년 동학농민혁명 전적지를 답사하는 등 활발한 한일 풀뿌리교류를 통해 [[동아시아]]와의 평화와 공생의 길을 열어왔다는 평. 이러한 입지를 바탕으로 2018년 말 전임 김도종 총장에 이어 [[원광대학교]] 총장에 선출돼 제13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임기는 2018년 12월 23일 ~ 2022년 12월 22일(예정). == 저서 및 논문 == 저서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번역서, 푸른 역사, 2002) *『한국사상사입문』(공저, 서문문화사, 2006) *『원불교학 워크북』(2006) *『개정판 한국근대사강의』(공저, 한울 아카데미, 2007) 논문 *「해월 최시형의 초기 행적과 사상」(1986) *「동학과 동학농민전쟁 연구동향과 과제」(1991) *「동학의 교단조직과 지도체제의 변천」(1993) *「동학의 척왜양 운동에 관한 사료에 대하여」(1999) *「갑오농민전쟁기 동학농민군의 일본인식」(2003) *「동학군 유골과 식민지적 실험」(2004)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원불교의 마음공부」(2007) [각주][[분류:1955년 출생]][[분류:보성군 출신 인물]][[분류:교무]][[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원광대학교 총장]][[분류:원광대학교 출신]][[분류:홋카이도대학 출신]][[분류:밀양 박씨]][[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