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통일부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외교부장관)] ---- [include(틀:주 유엔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 [include(틀:주미대사)] ---- [include(틀:외교부 제1차관)]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회|{{{#cfa547 외무위원장}}}]]'''}}} || || 제10대[br][[이동원]] || → || '''제11대 전반기[br]박동진''' || → || 제11대 후반기[br][[봉두완]] || ---- }}} || ||<-2> '''[[외교부장관|{{{#fff 대한민국 제17대 외무부장관}}}]]''' || ||<-2> '''[[통일부장관|{{{#fff 대한민국 제12대 국토통일원장관}}}]][br]{{{#fff {{{+1 박동진}}}[br]朴東鎭 | Park Dong-j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동11진.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10월 11일]] || ||[[경상북도]] 대구부[br](現 [[대구광역시]]) || || '''사망''' ||[[2013년]] [[11월 11일]] (향년 91세) || || '''본관''' ||[[밀양 박씨]] || ||<|6> '''재임기간''' ||제11대 [[외교부차관|외무부차관]] || ||[[1961년]] [[7월 7일]] ~ [[1961년]] [[10월 10일]] || ||제17대 [[외교부장관|외무부장관]] || ||[[1975년]] [[12월 19일]] ~ [[1980년]] [[9월 1일]] || ||제12대 [[통일부장관|국토통일원장관]] || ||[[1985년]] [[8월 1일]] ~ [[1986년]] [[8월 2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유충숙 || || '''학력''' ||대구고등보통학교 {{{-2 (졸업)}}}[br][[경북고등학교]] {{{-2 (졸업)}}}[br][[주오대학]] {{{-2 (법학 / 학사)}}}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11대 국회의원|11]], [[제12대 국회의원|12]]''' || || '''약력''' ||이범석 국무총리 비서[br]이승만 대통령 비서[br]주미대사관 근무[br]주영대사관 근무[br]외무부차관[br]특명전권대사[br]UN총회의 대한민국 대표[br]대통령특사[br]외무부장관[br]국회외무위원장[br]국토통일원장관[br]당국제관례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역대 최장수 [[외교부장관]](5년) 재임 기록을 갖고 있다. 현민 [[유진오]]의 사위이며, 역사학자 [[한홍구]]의 이모부이다. == 생애 == 1922년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 [[일본]] [[주오대학]] 법과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 [[미군정청]] 상무부 무역국 서무과장으로 시작하여 1949년 [[국무총리]] 비서관, 1950년 [[대한민국 대통령]] 비서관을 거쳐 1951년부터 [[외교관]]으로 근무하였다. 1975~1980년 [[외교부장관|외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그의 장관 재임 시절은 유신체제 후반기에 해당했는데, 인권을 강조하던 미국의 [[지미 카터 행정부]]와 [[박정희 정부]]가 갈등과 대립이 고조되던 시절 "불편외교"라는 용어를 유행시킨 장본인이었다. 실제로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 추진, 인권 논쟁, 핵개발 등으로 불거진 미국과의 마찰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미국 의회 의원에 대한 뇌물사건에서 비롯된 [[코리아게이트]]를 처리했고 1979년 [[10.26 사태]]와 신군부에 의한 [[12.12 쿠데타]] 등 국가 위기상황에서도 대미관계를 조정하였다. 1980년 신군부의 권력 장악으로 등장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전두환 정부]]가 출범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3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6년까지 [[통일부장관|국토통일원장관]]을 역임하여 한·미 간의 통상마찰·방위비 분담 등 굵직한 사안을 처리했다. 이 당시 [[반기문]]과 영사담당 총영사로 함께 근무한 인연이 있다. [[노태우 정부]] 시절에는 1988~1991년 [[주미대사]]를,[* 주미대사는 한국의 가장 중요한 외교 당사국인 미국에 주재하기 때문에 고위 각료급 출신의 인사가 부임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표적 사례로는 전직 외교부장관이었던 [[한승주]], 국무총리를 역임한 [[이홍구(정치인)|이홍구]], [[한덕수]] 등이 있다.] 1991~1993년 [[한국전력공사]] 이사장, 한국외교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11월 11일 오후 5시 15분, 경기도 용인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91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의 장례는 외교부장(葬)으로 치러지고 정부 서훈 관련 규정에 따라 11월 14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131111183852043|#]] == 대중매체에서 == 1993년 MBC 드라마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에서는 [[나성균]]이 연기하였다. 1995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김수일]]이 연기하였다.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정상철이 연기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제4공화국))] [include(틀: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제4공화국))] [include(틀:제5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22년 출생]][[분류:2013년 사망]][[분류:제11대 국회의원]][[분류:제12대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주미대사]][[분류:한국전력공사 이사장]][[분류:외무부장관]][[분류:외무부차관]][[분류:국토통일원장관]][[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외교관 출신 정치인]][[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위기관리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한국전력공사 이사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