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박기성}}}[br]朴基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기성.jpg|width=100%]]}}} || ||<|2> '''출생''' ||[[1907년]] [[6월 1일]]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 ||<|2> '''사망''' ||[[1991년]] [[2월 1일]] (향년 83세)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 '''이명''' ||구양군(歐陽軍), 이수현(李守鉉, 李壽鉉) || || '''학력''' ||요쓰야소학교 {{{-2 (졸업)}}}[br]가이세이 중학교 {{{-2 (졸업)}}}|| ||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광복군]] 출신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 해방 이전 생애 === 1907년 6월 1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에서 박문용과 연철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외가가 있는 [[증평군]]도안면 화성리로 이사했고, 아버지께 천자문을 배우고 15세 까지 서당을 다니며 한학을 익혔다. 1919년 [[3.1 운동]]이 확산되며 4월 10일 도안면에서 발생한 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천안 고모댁에 방문 중 천안소학교를 구경한 것을 계기로 신학문을 익히기로 결심하여 도안면 강습소에 등록하고 2년 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해 1924년 셋째 외삼촌인 연동희에게 여비 40원을 얻어 일본 유학을 떠났다. 일본 유학 전 일본에서 중학교에 다니는 친구로 부터 동경유학생들이 압박을 많이 받는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 힘으로 나라를 구해야겠다는 결심을 한 그는 일본의 요쓰야소학교 야간부 속성과(소학교 5, 6학년 과정)를 1년 만에 졸업하였다. 당시 [[나월환]]이 소학교 동기로 함께 학교에 다녔다. 소학교 졸업 후 가이세이 중학교 야간부를 다녔고, 1926년 [[6.10 만세 운동]] 이후 항일투쟁에 나서기로 결심하고 원심창, 한하연 등과 교류했다. 1927년 도쿄 요요기 광장에서 예정된 3.1절 기념행사에 참가하려다 일본 경찰에 연행되 [[불령선인]]으로 낙인찍히고, 1928년 정찬진, 홍영유 등과 도쿄에서 한인 아나키스트 단체인 '자유청년연맹'을 조직했다. 당시 제일 친일단체인 '상애회'의 [[박춘금]]을 습격하고자 했으나 사전에 누설되어 실패하였다. 1929년 귀국해 일제의 감시 속에서 귀향하였고, 2개월 간 종로경찰서에 구금되기도 하였다. 이후 나월환의 누나의 도움으로 중국 망명 준비를 하였다. 이후 집에서 땅문서를 훔쳐 100원의 여비를 마련하고 인천경찰서에서 도선증명서를 받아 1931년 [[중국]] [[칭다오시|청도]]로 망명했다. 이후 친척의 도움을 받아 6월에 [[난징시|남경]]으로 이동했고, 원심창, 류자명, [[정화암]], [[백정기]] 등과 지내며 [[이회영]] 등과 함께 [[남화한인청년연맹]]을 재정비하였다. 1933년 [[육삼정 사건]] 이후 난징으로 가서 중국포병학교를 졸업하고 [[국민혁명군]]에 입대했으며, 류자명의 도움으로 천광궈의 보증을 받아 1934년 [[대만 군관학교|중국중앙군관학교]] 11기로 입학해 1937년에 졸업했다. 1939년 국민혁명군 대위로 진급해 [[충칭시|중경]] 훈련총감부 통신감실 참모로 근무하며 류자명, 나월환 등과 교류하였고, 나월환과 함께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창설했다. 1940년 5월 [[시안시|서안]]에 이동해 후종난 부대와 연계하고, 한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초모활동을 전개하였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이후 대원 수 100여 명에 이르렀고, 1940년 9월 17일 광복군 창설 후 1941년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로 편제되었다. 하지만 나월환이 이하유, [[김동수(독립운동가)|김동수]] 등과 충돌하다가 암살당하고 제5지대가 제2지대에 편입되자 중경의 광복군 총사령부로 이동해 정보참모부장으로 근무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 광복 이후 생애 === 광복 후 [[이강(독립운동가)|이강]]과 함께 한인 동포들의 귀국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타이완]]에 다녀왔고, 1945년 12월 28일 귀국하였다. 1946년 [[박시창]], [[최덕신]]과 함께 [[육군사관학교]] 3기로 임관하였고, 이후 대위로 진급해 1947년 제5연대 대대장으로 건군 후 최초로 진행된 추기대연습을 주도하였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7111400329202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7-11-14&officeId=00032&pageNo=2&printNo=344&publishType=00020|#]]. 이후 [[제2보병사단]] [[제5보병여단|제5연대]] 연대장, 대구 제1훈련소 부소장을 역임하였고 고등군사반 7기 훈련을 마친 후 1952년 101노무사단장을 역임하고 1960년까지 대령으로 복무하다가 준장으로 진급 후 전역하였다. 예편 후 [[대구텍|대한중석]] 고문 등 기업체 고문, 자문역으로 활동하며 1969년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였고, 1985년 한국광복군동지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 독립운동 경력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고, 1984년 독립운동 회고록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4082400239102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4-08-24&officeId=00023&pageNo=2&printNo=19504&publishType=00010|나의 조국]]을 집필하였다. 1991년 2월 1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 여담 == * [[차일혁]], [[박정희]] 등과 친분이 있었다. 박정희가 [[육군대학]]에 진학 후 진해에서 차일혁, [[이종찬(1916)|이종찬]] 등의 도움으로 겨우 전세집을 얻는 등 어려운 생활을 이어가자 차일혁이 평소 박정희와 친분이 있던 박기성에게 요청해 여러모로 박정희에게 도움을 주었다.[[http://www.whoim.kr/news/articleView.html?idxno=808|#]] * [[국민혁명군]] 경력에 비해서 예편과 동시에 예비역장성으로 진급하는 등 진급속도가 느렸다. [[6.25 전쟁]] 당시 미군들과 호흡이 맞는 편인 1910, 20년 대 생의 젊은 군인들이 빠른 진급속도의 혜택을 받은 반면 고령의 군인들은 출신과 관계없이 진급의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육사 동기이자 광복군 출신인 최덕신이 1950년 준장에 진급했고, [[채원개]]가 1949년 [[제3보병사단]] 사단장을 역임한 것에 비해서도 진급속도가 느렸다. 아나키스트 경력도 있고, 이종찬, 박정희 등 [[이승만]] 계열과 거리가 있던 군인들과 친분이 있었던 것도 한몫 하였다. * 가훈을 "인자(仁者)는 수(壽)"라고 할 만큼 평소 장수의 비결을 자신보다 남을 위해 살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6081600329205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16&officeId=00032&pageNo=5&printNo=12582&publishType=00020|#]]. 평소 물욕과 출세욕이 없었으며 6.25 전쟁 중 울산 방어진에서 방위군 연대장을 지냈을 때 보초를 선 장병의 피복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아 떠는 모습을 보고 당번병을 시켜 자신의 옷을 가져다 입혔다고 한다. 평소 고집이 센 성격이나 정이 많고 눈물이 많은 편이었다고 한다. * 해방 후 귀국했을 때 아버지는 이미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조카와 중국 흑룡강성으로 이주했다가 1953년에 세상을 떠났다. 외아들이면서 부모의 임종을 지키지 못하고 효도하지 못해 평생 가슴아파했다. * [[1989년]]에 당시 광복회장인 [[이강훈(독립운동가)|이강훈]], 광복군 출신인 [[안영희]]와 함께 [[가요무대]]에 [[https://www.youtube.com/watch?v=qM6uYJpMMTY|출연했다]].[* 해당 영상 12분 10초부터.]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국민혁명군/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진천군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