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 ||
<#1B5B40><-5><:> [[자유민주연합|[[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width=40px]]]] [[자유민주연합|[[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width=90]]]] {{{#FFFFFF ''' 정책위원회 의장 ''' }}} || ||<:> ''창당'' ||<:> → ||<:> 초대[br] ''' 박구일 ''' ||<:> → ||<:> 제2대[br][[허남훈]] || ||<#1B5B40><-5><:> [[자유민주연합|[[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width=40px]]]] [[자유민주연합|[[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width=90]]]] {{{#FFFFFF ''' 사무총장 ''' }}} || ||<:> 제3대[br][[강창희]] ||<:> → ||<:> 제4대[br] ''' 박구일 ''' ||<:> → ||<:> 제5대[br][[박준병]]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30d19, #cc101f 20%, #cc101f 80%, #a30d19)"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ffd800 대한민국 17대 해병대사령관}}}]][br]{{{#ffd800 {{{+1 박구일}}}[br]朴九溢 | Park Koo-ill}}}'''}}}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구일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34년]] [[11월 8일]]|| ||경상북도 안동군[br](現 [[경상북도]] [[안동시]])|| ||<|2> '''사망''' ||[[2020년]] [[3월 1일]] (향년 85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장군2묘역 287호|| || '''본관''' ||[[박(성씨)|영해 박씨]]|| ||<|2> '''재임기간''' ||17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해병대사령관]]|| ||[[1986년]] [[9월 3일]] ~ [[1988년]] [[9월 3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배수자 || || '''가족''' ||자녀 2남 1녀 || || '''학력''' ||안동 동부국민학교 {{{-2 (졸업)}}}[br]안동중학교 {{{-2 (졸업)}}}[br][[안동고등학교]] {{{-2 (졸업)}}}[br][[해군사관학교]] {{{-2 (졸업)}}}[br][[국방대학교]] {{{-2 (행정학사 / 5기)}}}[br]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 || '''경력''' ||해병 소위 임관[br]소대장[br]수색중대장[br]1사단 11대대 1중대장[br]해병대 헌병대대장[br]교육대대장[br]국방부 장관 예하 특별보좌관[br]헌병연대장[br]1사단 7연대장[br]해병대 제6여단장[br]해병대 제1사단장[br]해군본부 제2참모차장[br]제17대 해병대 사령관[br]해병 중장 예편[br]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br]통일신민당 총재 겸 사무총장(1990년~1991년)[br]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 (민주자유당)[br]민주자유당 국방외교안보행정위원[br]제15대 국회의원(대구 수성을) (자유민주연합)[br]자유민주연합 정책위원회 위원장[br]자유민주연합 사무총장[br]국회 재해대책 특별위원장[br]국회 통신과학기술위원장[br]자유민주연합 대구지구당 위원장 || ||<#cc101f><:> '''{{{#ffd800 최종 당적}}}''' ||[include(틀:무소속)] || ||<#cc101f><:> '''{{{#ffd800 의원 선수}}}''' ||'''2''' || ||<#cc101f><:> '''{{{#ffd800 의원 대수}}}''' ||'''[[제14대 국회의원|14]], [[제15대 국회의원|15]]''' || ||<-2> '''군사 경력''' || || '''임관''' ||[[해군사관학교]] {{{-2 (12기)}}} || ||<|2> '''복무''' ||대한민국 해병대 || ||1958년 ~ 1988년 || || '''최종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해병대)}}} || || '''최종 보직''' ||국방부 차관보 || || '''주요 보직''' ||[[국방부장관]] 예하 특별보좌관[br]해군본부 제2참모차장 || || '''참전''' ||[[베트남 전쟁]] ,,,(장교),,,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호는 정암(廷岩)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해군 예하 해병참모부의 마지막 사령관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재창설 첫 사령관.''' 1934년 [[경상북도]] 안동군(현 [[안동시]])에서 태어났다. [[안동고등학교]](2회)를 거쳐[* 권정달(육군 준장, 4회), 박세환(육군 대장, 8회) 등 많은 장성을 배출했다.] 1958년 [[해군사관학교]](12기) 졸업과 함께 해병대 소위로 임관하였다. 1979년 [[부마민주항쟁]] 당시 [[대한민국 해군|해군]][* 당시엔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고 해병부대들은 모두 해군 제2참모처(처장은 보병[[중장]]) 예하에 있었다.] [[해병대 제7여단|해병대 제7연대장]][* 당시 계급은 [[대령]].]으로 시위 진압을 위해 투입된다. 그러나 [[정웅|훗날 광주에 투입된 31사단장]]과 같이 온건파였기에 "해병대는 국민의 군대다. 시민들이 때리면 그냥 맞아라. 절대 시민들에게 손대지 마라. 다만 총은 뺏기지 마라"라고 지시했고, 실제로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6857/1|신동아에서는 해병대 7연대의 신사적 계엄임무 수행에 대해 항쟁 당시의 해병들과 시민들을 취재하여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에 의거하여 진실화해위원회가 부마항쟁에서의 시민 피해 사례들을 공식적으로 조사하여 2010년에 발표한 "부마항쟁 과정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건" 보고서에 따르면 계엄군으로 참가한 해병대원들의 구타에 대한 주장이 있으나, 유의할 것이 당시 투입된 해병대 제7연대원들이나 시민들이 아닌 제2연대 소속 이○○(이등병)이 전해들은 소문에 대한 내용이라 해병대가 시민을 구타했다는 낭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1987년 11월, 제17대 해병대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이는 1973년 사령부의 해체 이후 14년만에 재창설된 해병대 사령부의 첫 사령관 임명이었고, 대한민국 해병대 역사에서 매우 의미있는 순간으로 기록되고 있다. [[파일:external/www.haebyeong.com/%ED%95%B4%EB%B3%91%EB%8C%80%EC%82%AC%EB%A0%B9%EB%B6%80%EC%9E%AC%EC%B0%BD%EC%84%A4.jpg]] (1987년 11월 1일. 재창설된 해병대 사령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는 박구일. [[김종호(1933)|김종호]][* 제16대 참모총장이다. 재밌게도 후임인 제17대 해군참모총장 역시 동명이인(한자가 다름)인 '김종호' 제독이었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당시 해군참모총장으로부터 부대기를 전달받는 모습) 이듬해인 1988년 해병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한국화재보험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민정당계였던 박구일 의원은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민주당계인 [[김영삼]]이 선출되자 이에 반발하였고, [[제14대 대통령 선거]] 직전 [[김복동]]과 민주자유당을 탈당하여 [[통일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국당]] [[윤영탁]]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강창희]]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국회 통신과학기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자유민주연합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윤영탁 후보에 밀려 패하였다. 2020년 3월 1일 일요일 오전 6시 30분 향년 86세 나이로 별세했으며, 7개월 뒤인 10월 12일 유가족은 [[해병대사령부]]에 고인의 뜻이라며 장학금을 기탁하였다.[[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201014/2/BBSMSTR_000000010024/view.do|故 박구일 해병대사령관 유지 받들어…‘장학기금 1억 원’]] 여담으로 8개월 뒤에는 15대 16대 총선에서 같이 대결을 했던 윤영탁도 세상을 떠났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include(틀:민주자유당)] || '''7,923,718 (38.49%)''' || '''당선 (23번)''' || '''초선'''[* 1992. 12. 17 탈당 및 [[통일국민당]] 입당]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2> 대구 [[수성구 을|수성 을]] ||<|2>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8,187 (29.87%)''' || '''당선 (1위)''' || '''재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9,179 (10.91%)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4대 국회의원/전국구)]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1934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제14대 국회의원]][[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자유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2020년 사망]][[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해군사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분류:안동고등학교 출신]][[분류:영해 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