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2>
{{{#ffffff '''{{{+1 박광남}}}'''[br]Park Gwang-n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광남.jpg|width=100%]]}}} || || '''출생''' ||[[1943년]] [[11월 28일]] || || '''사망''' ||[[2022년]] [[2월 9일]] (향년 7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67cm, 60kg[* 출처: 네이버 프로필.] || || '''학력''' ||[[서라벌예술대학|서라벌예술초급대학]] {{{-2 (연극영화학과 / 학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1962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으며 1968년 [[DBS 성우극회]] 4기 성우로 정식 데뷔하였고, 이듬해 1969년 MBC 제1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으며 1974년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2022년 별세했는데 부고 기사가 전혀 나지 않았고 사망 소식은 1년여 후인 2023년 1월 [[tvN STORY]]의 [[회장님네 사람들]]을 통해 뒤늦게 알려졌다. == 출연작 == === TV 드라마 === * [[2005년]]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 [[이후락]] 역 * [[2004년]] 《[[영웅시대]]》 - 김칠복 역 * [[2002년]] 《[[뉴 논스톱|시트콤 뉴 논스톱]]》 - 소호그룹 회장 김광남 역(극중 [[김성수(가수)|김성수]] 부 · [[서권순]] 여사 부군)으로 단역 * [[2001년]] 《[[홍국영(드라마)|홍국영]]》 - [[홍봉한]] 역 * [[1999년]] 《[[허준(드라마)|허준]]》 - 내의원 판관 김응택 역 * [[1998년]] 《[[수줍은 연인]]》 * [[1998년]] 《[[마음이 고와야지]]》 * [[1997년]] 《[[복수혈전(드라마)|복수혈전]]》 - 마포 철조망 역 * [[1997년]]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 - 이제니 큰아버지 이철 역(카메오) * [[1996년]] 《[[며느리 삼국지]]》 * [[1995년]] 《[[연애의 기초]]》 * [[1995년]]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 - [[윤일균]] 역 * [[1995년]] 《[[언제나 푸른 마음]]》 * [[1995년]] 《[[거미(드라마)|거미]]》 * [[1995년]]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 * [[1994년]] 《[[딸부잣집(드라마)|딸부잣집]]》- 천달구 역 * [[1993년]]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 * [[1992년]] 《[[마포 무지개]]》 * [[1990년]] 《[[아직은 마흔 아홉]]》 * [[1990년]] 《[[그 여자]]》 * [[1989년]] 《[[제2공화국(드라마)|제2공화국]]》 * [[1988년]] 《[[한중록(드라마)|한중록]]》 - [[홍인한]] 역 * [[1988년]] 《[[세 여인]]》 * [[1987년]] 《[[부초(드라마)|부초]]》 * [[1986년]] 《[[겨울꽃]]》 * [[1985년]] 《[[임진왜란(드라마)|임진왜란]]》 - [[이시다 미쓰나리]] 역 * [[1984년]] 《[[전원일기]]》 - 김회장의 큰 사위 역 * [[1983년]] 《뿌리깊은 나무》 - [[최항(조선)|최항]] 역 * [[1981년]]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 - [[엄항섭]] 역 * [[1980년]] 《[[의친왕(드라마)|의친왕]]》 * [[1973년]] ~ [[1983년]] 《[[113 수사본부]]》 - 박 수사관 역 === 영화 === * [[2007년]]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 * [[1974년]] 《명동에서 첫사랑을》 == 수상 경력 == * 1997년 [[MBC 연기대상]] 공로상 TV부문 * 2012년 방송연기발전 공로상 [[분류:한국 남배우]][[분류:전직 성우]][[분류:1943년 출생]][[분류:1962년 데뷔]][[분류:202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