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곤충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CockroachKnight-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바퀴 전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コカローチ・ナイト'''|| || 영어판 명칭 ||<-4>'''Cockroach Knight'''||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숲마족 || [[곤충족]] || 800 || 900 || ||<-5>그늘, 좁은 공간, 어디서든 나타나는 바퀴벌레 전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곤충족과 전사족 몬스터를 융합시켜 꺼낼 수도 있지만, 능력치가 낮아서 써먹을 일은 별로 없다. 곤충족은 이 조합 말고는 융합 소재로 쓸 만한 게 거의 없어서 초기 덱의 애물단지가 되기 십상이었다. === [[유희왕/OCG|OCG]] === [[파일:CockroachKnight-DL4-JP-C.jpg]] || 한글판 명칭 ||<-4>'''바퀴 전사'''|| || 일어판 명칭 ||<-4>'''コカローチ・ナイト'''|| || 영어판 명칭 ||<-4>'''Cockroach Knigh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곤충족]] || 800 || 900 || ||<-5>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의 맨 위로 되돌아간다.|| 묘지로 보내져을 때 덱 맨위로 돌아가는 강제발동형 [[유발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집념의 검]]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묘지로 보내져도 좋은 싫든 맘대로 덱 맨 위로 되돌아가 버리기 때문에, 제외되거나 하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덱 맨 위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귀찮다. 덱이 마르는 걸 막아주기야 하지만, 필드에 있으면 그저 능력치 낮은 몬스터에 불과하니 혼자서는 애물단지인 경우가 훨씬 많다. 허투루 썼다간 자신만 손해라는 점에서 웬만큼 이용가치를 읽기 힘든 몬스터보다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초보들에게는 그저 묘지로 가지 않고 [[덱 파괴]]를 막는 것만 좋아서, 제맘대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최강의 카드로 인식하고 있지만 현실은... 덱 파괴를 막고 싶으면 [[마론(유희왕)|미아견 마론]]을 사용하자. 계속 쓸 수 있다는 점에서 패 코스트로 쓰기에는 좋으나, 패 코스트로 제대로 활용하려면 드로우 관련 카드와 같이 조합해 줄 필요가 있다. 이 카드를 덱 맨위로 놓은 상태에서 [[A·제넥스 버드맨]]을 패로, [[코아키메일#코아키메일 데블|코아키메일 데블]]과 [[성견야수 가리스]]를 필드로 갖출 수 있다. 이러면 풀 몬스터 덱이 아니라도 무한 루프를 발생시킬 수 있다. 거기다 풀 몬스터 덱의 경우와는 달리 덱이 바닥날 일도 없다. 이 카드를 어떻게든 덱 위로 올리고, 데블을 일반 소환. 패의 가리스의 효과를 발동하여 덱 위의 바퀴 전사를 묘지로 보내어 가리스를 특수 소환하고 데미지, 버드맨으로 가리스를 되돌리지만 데블의 효과로 버드맨 효과 무효(패로 되돌리는 것은 코스트다.). 그리고 이걸 반복... 이하 생략. 덱의 맨 위로 돌아간다는 점과 묘지로 보내지는 장소와 관계 없이 효과를 발동한다는 특성 덕분에 [[데몬의 선고]]나 [[리추어#리추어 디바이너|리추어 디바이너]]라면 이 카드의 드로우 락을 회피할 수 있다. 이로써 에라타 이전의 [[킬러 스네이크]] 효과를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지만, 위험을 무릅쓸 만한 메리트가 있다고 보긴 힘들다. 거기다 이미 단독으로 써도 500 LP를 째고 패 코스트를 충당할 수 있는 [[볼캐닉#볼캐닉 불릿|볼캐닉 불릿]]도 있다. 체인 블록이 발생하는 [[유발효과]]라서 발동 코스트로 삼거나 효과 처리시 묘지로 보내져도 그 처리동안 효과가 발동할 여지는 없다. 따라서 [[대역전 퀴즈]]의 발동시 코스트로 써서 정답을 맞추거나, 아래의 과거의 [[매드 무비]]처럼 [[버서커 소울]]로 이 카드를 계속 묘지로 보내는 행위는 불가능. 다만 미리 패 코스트 등으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거나, 그 후에 대역전 퀴즈를 써주면 확실히 정답을 고를 수 있다. '더 밸류어블 북'에서는 [[천사의 자비]]와 같이 쓰면 필요 이상으로 중요한 패를 버릴 걱정도 없어진다고 소개했다. 다만 드로우만 막힐 뿐 어드밴티지가 되는 것도 아니라 굳이 이 카드를 쓸 의의가 전혀 되지 못한다. 한글판 카드가 토너먼트 팩, 그것도 극초기에 나와 매우 적게 풀린 토너먼트 팩 1에서 단 한번만 나온지라 이 카드의 실물 사진이 없다는 것이 흥미롭다. 노멀이라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아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나름 애니매이션에도 나왔는데 불쌍한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인섹터 하가]]가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OCG화되면서 추가된 [[곤충 여왕]]의 공격 코스트를 충당하기 위해 계속 소환해서 제물로 삼았다. 하가는 "이걸로 [[곤충 여왕|여왕님]]의 제물에는 부족함이 없다!"라며 단언했지만, 분명 제물 걱정은 필요 없더라도 드로우가 막혔으니 결과적으로는 새 카드를 뽑지 못해 발목을 잡은 셈일지도 모른다. 다른 어태커 전개도 못하고 상대에게 역전의 기회를 안겨줘버린 시점에서 유효한 전술이라 하긴 힘들다. 어쨌든 그 특성 때문에 [[매드 무비]]에서는 가끔 사용된다. 특히 원작 버전의 [[버서커 소울]] 사용시 계속해서 덱 맨위로 되돌아가 무한 공격을 가능케 만든다든가. --물론 실제 룰 에서는 불가능하다 [[카더라]].-- 방패를 잘 보면 '''살충제 금지 마크가 찍혀있다.''' 또한 검을 든 바퀴벌레 기사란 점에서 [[인벨즈 로치]]와 엮이기도.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4]] || 없음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2]] || B2-27 || [[노멀]] || 일본 || 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Chronicle]] || BC-31 || [[노멀]]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 4 || DL4-090 || [[노멀]] || 일본 || 절판 || || Tournament Pack 1st Season || TP1-E02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1]] || TP1-K02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의외로 한글판은 찾기 힘들다. 토너먼트 팩 1에 한 팩당 단 세장만 들어있던거라 뽑는거도 힘들었고, 무엇보다도 이 인기없는 노멀카드를 오랫동안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적었기 때문.] || == 관련 카드 == === [[마론(유희왕)#미아견 마론|미아견 마론]] === === [[집념의 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