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럼]] [목차] == 주류 제조사 == [[파일:1931-bacardi-logo.png]] '''BacardÍ''' 파쿤도 바카르디 (Don Facundo BacardÍ Masso)를 필두로 바카르디 일족이 1862년 2월 4일 쿠바에서 창업한 주조업체. 소유주의 성씨가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가족기업이며, [[박쥐]]를 상표로 내걸고 있다.[* 파쿤도의 아내인 아멜리아 (Doña Amalia Bacardí)가 양조장에 [[과일박쥐]]가 사는 것을 보고는 어떻게 할 지 현지인들에게 물어봤더니 쿠바에서는 박쥐를 행운의 상징으로 본다는 답을 받았고, 이에 아멜리아가 당시 문맹률이 높았던 쿠바에서 상표로 자신들의 제품이 구분이 가능하게 할 겸 모든 병에 박쥐 마크를 붙이자고 한 것이 시초이다.] [[금주법]] 시행 이후 회사 자체를 완전히 쿠바로 옮겼으나, 쿠바 혁명이 끝나고 자산을 몽땅 압류당한 뒤에는 미국에서 재창업하였다.[* 2대 경영주 에밀리오 바카르디 (Emilio BacardÍ Moreau)가 쿠바 독립 전쟁에 참전한 적도 있고, 5대 경영주 프란치스코 카레라 주스티츠가 경영하던 시기에는 [[쿠바 혁명]] 당시 [[피델 카스트로]]를 큰 규모로 지원까지 했으나 혁명이 끝나고 돌아온 건 압류뿐이었다는 불운한 역사도 존재한다.] 주로 캐리비안 [[럼]][* 창업 당시에는 진짜 쿠바 럼이었지만 미국으로 도피한 후로는 푸에르토리코 럼이 되었다.]을 만들며, [[카리브|캐리비안 제도]] 곳곳에 공장을 두고 있다. 이 회사의 상품 중 하나인 [[바카디 151]]은 국내에서 오버프루프 스피릿의 [[대명사]]로 사용될 만큼 유명하다. 오죽하면 그 럼의 별칭이 '바카디'이겠는가(...) === 제품 === 과거에는 나라별로 파는 이름과 설명이 확연히 달랐으나, 2016년 후반에 이름과 레이블을 갈아서 통일시켰다. ==== 카르타 제품군 ==== * 바카디 Carta Blanca: 화이트 럼. 40%. 2016년 후반부터 명칭이 바카디 슈페리어에서 바카디 카르타 블랑카로 변경되었다. 미국에서는 주에 따라 다르지만 카르타 블랑카와 슈페리어라는 두 이름으로 팔리고 있다. * 바카디 Carta Oro: 골드 럼. 40%. 2016년 후반부터 명칭이 바카디 오로 (Oro) 또는 바카디 골드 (Gold)에서 바카디 카르타 오로로 변경되었다. 미국에서는 밑의 카르타 네그라 때문에 여전히 골드로 팔리는 듯. * --[[바카디 151]]: 오버프루프 골드 럼. '''75.5%'''.-- 2016년 말 단종. 마침 이 즈음 수입사가 철수했기 때문에 수입만 안 되는 줄 아는 사람이 많은데, 본사에서 완전히 단종시켰다. * 바카디 Carta Fuego: 스파이스드 럼. 40%. 2016년 후반부터 명칭이 바카디 스파이스드 럼 (Spiced RUM)에서 바카디 카르타 푸에고로 변경되었다.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편집일 현재에도 35%짜리 舊 스파이스드가 판매되고 있는 듯. * 바카디 Carta Negra: 다크 럼. 37.5%. 2016년 후반부터 명칭이 바카디 블랙에서 바카디 카르타 네그라로 변경되었다. 4년 숙성이라고 알려졌으나 명칭 변경 이후로는 그러한 설명을 찾을 수 없다. 미국에서는 [[니거|Nigger]]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뇌피셜|인지~~ 어째서인지~~]] 여전히 블랙으로 팔리는 중. ==== 프리미엄 제품군 ==== * 바카디 Añejo Cuatro (4): 골드 럼. 40%. 최소 4년 숙성. 프리미엄 제품군을 구분지으면서 새로 만든 물건. * 바카디 Reserva Ocho (8): 골드 럼. 40%. 최소 8년 숙성. 2016년 후반부터 명칭이 바카디 8에서 바카디 레세르바 오초로 변경되었다. 명칭 변경 전까지는 대륙별·지역별로 레이블 문구가 달라 명칭 정리가 어려웠다. 골드 럼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런 고숙성 상품들이 으레 그렇듯이 숙성이 너무 잘 돼서 다크 럼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딱 숙성년수와 면세가만큼의 값어치를 하는 술이지만, [[주류 갤러리|술갤]]에서는 어째서인지 하품으로 취급받는다. * 바카디 Gran Reserva Diez (10): 골드 럼. 40%. 10년 숙성. 프리미엄 제품군을 구분지으면서 새로 만든 물건이자, 위의 8년을 뛰어넘는 '엑스트라 레어' 골드 럼. * 바카디 Gran Reserva Limitada: 다크 럼. 40% (1번 배치 기준). '''최대''' 16년 숙성. 프리미엄 제품군을 구분지으면서 새로 만든 물건. 원래는 창업자 가문에서만 마시던 원액이었다고 홍보한다. ==== 그 외 ==== * 바카디 Limón: 플레이버드 럼. [[레몬]] 맛. 35% * 바카디 라임 * 바카디 코코넛 * 바카디 드래곤베리 * 바카디 파인애플 * 바카디 망고 * 바카디 라즈베리 * 바카디 바나나 * 바카디 그레이프프룻 * 바카디 진저 * 바카디 피치 레드: 플레이버드 럼. [[복숭아]] 맛. 35% * 바카디 빅 애플: 플레이버드 럼. [[사과]] 맛. 35% * 바카디 모히토: 플레이버드 럼.[* [[알코팝]]에 가깝다.] 오리지널 [[모히토]] 레시피를 병입하였다고 주장하는 물건. 18% * 바카디 Gran Reserva Maestro de Ron: 화이트 럼. 35%. NAS. 일단 그란 레세르바가 붙긴 했는데, 1년 숙성+3개월 메리잉 (Marrying)을 거친 물건이 '''하필이면 화이트 럼'''이라서 정말 고급으로 봐야 할 지는 애매하다. == [[칵테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카디(칵테일))] == 기타 == 미국의 스타 [[카디비]]의 이름은 이 술에서 따온 것이다. 동생의 이름이 헤네시로 다른 술 이름과 같자 언니인 그녀도 주변인들이 '바카디 B' (그녀의 본명은 b로 시작한다)라고 불렀고 이 별명에서 '바'를 빼서 카디비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