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쓰촨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쓰촨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000,#ddd 쓰촨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巴中, ruby=Bāzhōng)][ruby(市, ruby=Shì)]}}}'''[br]바중시 | Bazhong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巴中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쓰촨성]] 바중시 바저우구[br]왕왕루 서단185호[br]四川省巴中市巴州区望王路西段185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2,301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2,712,894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221명/km² || ||<-2> '''{{{#ffff00 서기}}}''' || 허핑(何平) || ||<-2> '''{{{#ffff00 시장}}}''' || 가오펑링(高鹏凌)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00억 1,400만 ^^(2018)^^ || || '''{{{#ffff00 1인당}}}''' || $3,021 ^^(2018)^^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난초]], [[진달래]] || || '''{{{#ffff00 시목}}}''' || 바중수청강 || ||<-2> '''{{{#ffff00 차량번호}}}''' || '''川Y'''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巴'''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119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827''' || ||<-2> '''{{{#ffff00 우편번호}}}''' || '''636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C-19''' ||}}}}}}}}} || ||<-3> [[http://www.cnbz.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쓰촨성]] 동북부의 지급시. [[난충시]]에서 동북쪽, [[한중시]]에서 남쪽으로 각각 100km, [[다저우시]]에서 서북쪽으로 8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27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110만이 거주한다. 관광지로는 난칸석굴, 촨산혁명근거박물관 등이 있다. 남쪽 언양구에는 옛 마을이 남아있고, 동쪽 퉁장현에 있는 홍군열사능원 (紅軍烈士陵園)은 중국 최대의 홍군 열사능이다. 2011년과 2015년, 2021년 폭우와 홍수로 인한 수해를 입었다. == 경제 == 시가지를 관통하는 바허강은 취장강과 합류하여 충칭 방면으로 흘러간다. 자동차 공장 외에는 별다른 공업이 없으며, 주요 수입은 농업과 관광업이다. 그러다보니 바중시는 [[쓰촨성]]에서 제일 경제력이 낮으며, 2018년 기준 1인당 GDP는 $3,021로 책정되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2,000달러대로 책정되기도 하는 수준이다. 다만 바중시는 자원이 많은데, 석탄이 약 6,200만여톤, 자철석 약 8,400만여톤이 존재하고 [[천연가스]] 및 [[석유]]도 매장된 것으로 보여 현재 자원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 교통 == 시가지 서남쪽 12km 지점에 국내선 전용인 바중 언양 공항(巴中恩阳机场)이 있다. 바중시의 주요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 [[바중역]](巴中站): 광바철도(广巴铁路), 바다철도(巴达铁路) * [[바중둥역]](巴中东站): 광바철도(广巴铁路). 그리고 해당 역을 지나는 난충과의 고속철이 [[2023년]] 완공을 목적으로 공사 중이다. == 역사 == || [[파일:중국 석굴.jpg|width=100%]] || || 수-당-송대에 조성된 난칸 석굴 (南龛石窟) || 고대 사천 지방에 있던 파나라 (巴)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진나라의 정복 이후 파군 (巴郡)에 속하였고, [[후한]] 대인 서기 91년 한창현 (漢昌縣)이 설치되었다. 남북조 시기에는 탕거군에 이어 대곡군에 속하였고, 517년 파주 (巴州)의 치소가 되었으며, 이는 현 파저우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한편 한창현은 양광현을 거쳐 [[북주]] 대인 580년 화성현 (化成縣)으로 개칭되었다. 수당대에 파주 혹은 청화군에 편성되었다. 송대에는 광위안을 중심으로 한 이주로에 속하였다. 원대에도 역시 광원로에 속했다가 명대에 들어 파주가 재설치되고 화성현은 파현으로 개칭되었다. [[신해혁명]] 후 1913년 파현은 현 지명인 바중으로 개칭되었다. 1933-35년에는 광위안, 다저우, [[랑중]]처럼 중국 공산당의 소비에트 정부가 있었고 1949년 12월 27일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다. 이후 다저우에 속했다가 1993년 현급시를 거쳐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