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바인미'''}}}[br]'''餠麪 | Bánh mì tht, Bánh m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banhmi.jpg|width=100%]]}}} || || '''유형''' ||[[빵]] || || '''국가·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베트남 요리]] || || '''발상''' ||19~20세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베트남]] || || '''재료''' ||빵, [[돼지고기]], [[새우]]완자, [[고수(채소)|고수]], [[고추]], [[당근]], [[무(채소)|무]], [[쪽파]], [[간장]], [[느억맘]] || ||<-2> '''언어별 명칭''' || || [[한국어|{{{#fff '''한국어'''}}}]] ||바인미, 반미, 바잉미 || ||<|2> [[베트남어|{{{#fff '''베트남어'''}}}]] ||Bánh mì tht, Bánh mì([[쯔꾸옥응으]]) || ||餠麪(병면)([[쯔놈]])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식 [[바게트]][[빵]] [[샌드위치]]. bánh mì tht의 [[줄임말]]이다. == 역사 == [[베트남]]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으면서 [[프랑스]]의 식문화가 유입되어 형성된 [[음식]]이다. == 특징 == 속재료에는 [[유럽]]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것들이 들어간다. [[향신료]]를 묻히거나 향신료에 재워 맛을 입힌 후 구운 [[돼지고기]] 혹은 [[새우]][[완자]]에 [[당근]], [[쪽파]] 등 각종 [[채소]] 등의 속재료를 빵 사이로 넣고 속재료 위에 매운 [[간장]]이나 [[느억맘]] 등의 [[소스]]를 쳐서 먹는다. 채소는 '''[[고수(채소)|고수]]''', [[고추]], [[당근]], [[무(채소)|무]] 등이 들어가는데 특히 고추가 꽤나 매워서 평범한 샌드위치인 줄 알고 주문했다가 매운맛에 데이는 사람들도 있다. 고수나 고추 등은 싫어하면 빼 달라고 하면 된다. [[바게트]]가 딱딱해서 먹기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 한국에서 접하는 바인미는 대부분 유럽식 바게트 완제품을 써서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오해]]다. 현지에서 먹어 보면 유럽식 바게트보다 부드럽고 겉면도 바삭하지만 쉽게 뜯어지는데 이유는 베트남식 바게트에는 설탕, 버터 등이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한다. [[퍼(국수)|쌀국수]]와 함께 [[베트남]]의 양대 서민 음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국]], [[호주]]를 비롯하여 베트남인이 [[이민]]을 간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가격은 현지에서는 하나당 500원 정도이며 미국에서는 하나당 3~4달러 정도 한다. 한국에서는 그렇게 많이 볼 수 있는 음식은 아니었지만 베트남 쌀국수가 인기를 끌면서 일부 [[베트남 요리]] [[식당]]에서 판매하기도 한다. [[서울]] [[이태원동]]에 [[푸드트럭]] 형태로 파는 곳이 있었는데 단속 문제로 갈등을 빚기도 하고 하루 판매량이 너무 들쑥날쑥하다는 이유로 결국 없어졌다. 미국식 베트남 쌀국수집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가격은 6,000원 가량이다. 초기 베트남 쌀국수는 미국화된 '포'를 파는 체인이 한국으로 수입된 것인데 여기서는 바인미를 잘 팔지 않는다. 베트남 쌀국수 열풍이 한 차례 지나가고 본격적으로 베트남 현지 음식을 팔기 시작하는 체인점들이 늘어나면서 '포'가 아닌 베트남식 '[[퍼(국수)|퍼]]'를 파는 집이 늘어났는데 여기서는 대개 분짜와 바인미를 같이 판다. 한국에서 판매하는 바인미는 불고기를 넣어서 [[현지화]]하기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유행하던 2020년에 베트남에 입국한 후 격리소에 이송된 한국인들이 자신들이 식사로 받은 빵에 대해 '겨우 빵 쪼가리'라고 언급하는 인터뷰를 한국 모 언론사가 보도했는데 격리 인원들이 받은 그 빵이 바로 바인미여서 베트남인들이 항의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6/0000101410?sid=110|관련 기사]] == 명칭 == 바인미 자체는 '[[빵]]'이라는 뜻으로, 떡 병([[餅]], 바인) 자와 밀가루 면([[麵]], 미) 자를 써서 밀가루 떡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말이다. [[베트남어]]는 수식하는 말이 수식받는 말보다 뒤에 오기 때문에 어순이 '미바인'이 아니라 '바인미'가 된다. [[국립국어원]]의 [[베트남어]] [[외래어 표기법/베트남어|한글 표기법]]에 따르면 '바인미'가 바른 표기다. 어말이나 자음 앞의 nh는 받침 'ㄴ'으로 적되 그 앞의 모음이 a인 경우에는 a와 합쳐 '아인'으로 적는다. (예: Thanh Hoa → 타인호아, Đông Khanh → 동카인) 한편 [[하노이]] [[방언]]으로는 -nh가 -ing처럼 발음되어 '바잉↗미↘'에 더 가깝게 들린다. [[후에]] [[베트남어|방언]]에서는 '밴미', [[호찌민시|호찌민]] 방언에서는 그냥 '반미' 같은 발음이 된다. 하지만 한국 식당에서 자주 보이는 표기는 호치민, 영어식 발음인 '반미'인데 하필이면 이는 [[미국]]에 반대한다는 뜻의 '''[[반미]]'''(反美)와 발음이 겹친다. 실제로 이걸 이용해 [[오늘 뭐 먹지?]]에서 [[신동엽]]이 "반미를 만들어 봤으니까 이젠 [[친미]](親美)를 만들어 먹어봐야겠네요."라는 [[농담]]을 한 적이 있고 비슷하게 [[요리]] [[유튜버]]인 [[승우아빠]]가 [[미국 요리]]의 [[샌드위치]] 이야기를 하다가 반미를 소개하기도 했다. 문제는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 진짜 '''[[반미]]'''(反美)라는 뜻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한국의 유튜버인 [[윤서인]]이 반미 샌드위치라고 적힌 바인미를 샌드위치의 이름이 반미(反美)라는 단어와 동음이의어라 재수없다며 페북에 비난하는 [[https://www.fmkorea.com/3529684744|글]]을 올려 그 글을 본 사람들이 반미 샌드위치를 파는 점주가 반미 성향을 드러내는 것으로 [[https://www.dogdrip.net/232459512|오해]]하고 화가 난다는 투의 댓글을 단 적이 있었으며 [[영어]] 메뉴판에서 Anti-American Sandwich라고 [[오역]]하는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200370|실수]]가 일어나기고 했다. 마침 바인미의 모태인 [[베트남]]이 [[사회주의]] 국가로서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과 맞선 과거가 있고 [[베트남 전쟁/한국군|한국도 파병했기 때문에]] 베트남 전쟁을 기억하는 [[노인]] 세대가 실제로 이렇게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외래어 표기법이나 현지 발음과 잘 맞지 않는 표기인 데다 이런 오해를 피하기 위하여 바인미로 표기하는 곳이 늘었다. == 매체 == * [[고양이띠 요리사]]: [[베트남 요리]]를 다룬 [[드라마]]라서 에피소드 한편을 바인미로 다룬 적이 있다. * [[냉장고를 부탁해]]: [[강수진(발레리나)|강수진]] 편에서 [[오세득]] [[셰프]]가 비슷한 것을 선보인 바 있다. * [[범죄도시 2]]: [[주베트남 대한민국 대사관#호치민]]에 자수한 범죄자 [[범죄도시 시리즈/등장인물/범죄자#유종훈|유종훈]]([[전진오]] 분)이 [[진실의 방]]에 들어가기 직전에 [[콜라]]와 같이 --얄밉게 처--먹고 있다. * [[수요미식회]]: 2016.10.12(87회) [[샌드위치]] 편에 소개되었다. 베트남인 [[남매]]가 경영하는 작은 베트남식 레스토랑으로 바인미, 베트남 쌀국수 등의 음식을 판다. *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 하노이 편에서 [[스튜]]와 곁들이거나 [[석쇠]]에 굽는 등 여러 가지 버전으로 나온다. == 대한민국의 현황 == === 전문점 === * 반미362 * 반미프엉 - [[호이안]] 3대 반미 음식점 중 하나이며 [[서울특별시]] [[연남동]]에 글로벌 체인 2호, [[대전광역시]] [[대전신세계 Art & Science]]에 글로벌 체인 3호가 운영 중이다. * 비에뜨반미 * 킹반미1964 - 반미 샌드위치와 베트남식 [[커피]]를 파는 [[프렌차이즈]]다. === 음식점 === * [[미스 사이공(프랜차이즈)|미스 사이공]] === 베이커리 === * [[성심당]] - 반미 샌드위치를 판매한다. === 카페 === * [[엔제리너스 커피]] - 2020년부터 오리지널 [[불고기]], [[에그마요]], [[햄]]&[[에그]], [[치킨]]&[[치즈]], [[바비큐]] [[포크]] 5종을 판매하며 이듬해에 '아라비아따 반미'도 출시됐다. 출시 초기에는 [[배우]] [[오정세]]가 광고 모델을 맡다가 [[2021년]]부터 [[방송인]] [[장영란]]이 [[모델]]로 나왔다. * [[콩카페]] - 베트남의 커피 프랜차이즈. 현재 한국에도 진출해 있다. 사이드 메뉴로 반미를 판매하고 있다. * [[하이랜드 커피]] - 베트남의 커피 프랜차이즈. 사이드 메뉴로 반미를 판매하고 있다. === 편의점 === * [[CU]] - '[[베트남 전쟁|베트남식 반미]]샌드위치'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대중성과 가격을 생각했는지 바게트 빵에 양념육, 청상추, 길게 썬 [[당근]] 정도로 간소화시키고 [[호불호]]가 갈리는 건 빼면서 가격은 3,000원으로 [[편의점]] 음식 중에서 맛과 양과 가격 모두 적당한 편이다. * [[GS25]] - '반미샌드위치'라는 이름으로 2,800원에 판매하는데 CU랑 비슷하면서도 한 가지 큰 차이라면 이 쪽은 토핑으로 고수를 올린다. *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 '불고기반미'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가격은 2,500원이다. == 관련 문서 == * [[빵바냐]] [[분류:베트남 요리]][[분류:샌드위치]][[분류:프랑스-베트남 관계]][[분류:길거리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