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상금 사냥꾼, rd1=현상금 사냥꾼)] [include(틀:겟앰프드/캐릭터)] [include(틀:겟앰프드/캐릭터 배너, NameKR=바운티헌터, NameEN=Bounty Hunter, PriceUnit=GM, Price1=50, Price2=000, ReleaseDate=2012-01-18)] [include(틀:겟앰프드/캐릭터 정보, Name1=바운티헌터(남자), Name2=바운티헌터(여자), Size1=1.05, Size2=1.02, Text1=현상범을 쫓는 우주의 무법자, Text2=상대를 끝까지 추격하는 추적술의 달인)]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attachment/e382b9e382bfe382a4e383abinfoe3808ce38390e382a6e383b3e38386e382a3e3838fe383b3e382bfe383bce3808d.jpg]] [[겟앰프드]]의 라이벌 캐릭터. [[우주형사(겟앰프드)|우주형사]]의 라이벌 캐릭터다. 설정상 합법적 명분을 달고 악당들을 정의의 이름으로 소탕하는 우주형사들과는 달리, 바운티헌터들은 돈과 보수만 된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악당을 사냥하는 이들이다. 말 그대로 [[현상금 사냥꾼]] 되시겠다. 초창기 라이벌 캐릭터인 [[파계승(겟앰프드)|파계승]]은 아예 대놓고 [[격투가(겟앰프드)|격투가]]들을 상대하기 위한 격투를 수련했고, [[베테랑(겟앰프드)|베테랑]]은 사용하는 수류탄의 형태 등 스멜 자체가 완벽하게 [[군인(겟앰프드)|군인]]과 라이벌 삘이 나고, [[시크릿가드]]와 [[마인(겟앰프드)|마인]], [[가드리스]]는 아예 설정부터 악당으로 되어 있어 각각 [[스파이]]와 [[초인(겟앰프드)|초인]], [[갑옷(겟앰프드)|갑옷]]의 라이벌임이 어느정도 부각이 되는 반면, 우주형사와 바운티헌터는 딱히 서로 총을 겨누고 대적할만한 요소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에스퍼(겟앰프드)|에스퍼]]와 [[소서리스(겟앰프드)|소서리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바운티헌터가 악당이라는 설정도 없어서 더더욱. 다양한 빔병기(주로 권총)를 사용해 호쾌한 액션을 보이며, 대부분의 기술들이 적을 움직이지 못 하게 결박한 뒤 총으로 갈겨버리는 식이다. 남녀별로 3종류의 전용 의상이 존재한다. 남자는 여자보다 힘만 1 높은 반면, 여자는 남자보다 테크 2, 방어 1이 더 높다. 바운티헌터는 특수 능력때문에 상대를 조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부분 여자를 사용한다. == 기술표 == * '''조준키(Z) 유지'''[* 본래 조준을 이용하는 기술을 사용하면 조준 상태가 유지되어 마크 상태를 원활하게 넣을 수 있었다. 이후 패치로 불가능해진 사양.] 대상을 조준한 상태를 3초간 유지한다. 어지간한 상황이 아닌 이상 대부분 마킹이 가능하며 마킹된 적은 머리 위에 표식이 생기며 추가 대미지를 입는다. 기존에는 무조건 20%의 추가 대미지를 줬으나 너도나도 바운티헌터를 사용하게 되자 결국 9월 16일 패치로 기본 추가 대미지 5%에 적이 1명씩 늘어날 때마다 5% 씩 늘어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최대 수치는 5명 이상일시, 25%추가 대미지. * '''C→C→C''' 1타의 발동 속도가 매우 빨라 역반격이 가능하다. 3타는 양손을 이용한 손날치기로 적을 넘어뜨리며 베기 공격이다. 범위는 조금 부족하지만 공격 연결 속도가 매우 빨라 심리전에 상당히 강한 평타다. * '''C→C→XC''' 기본적으로 약공격의 모션까지 똑같지만 3타째에 추가 이펙트가 반짝이며 적에게 마크를 다는 파생기를 가한다. 데미지 자체는 약하지만 워낙에 공격 속도가 빨라 조준할 틈이 없을 때 이 기술로 마킹을 노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 '''X→X''' 팔꿈치로 가격 후 어퍼컷을 날린다. 강공격 주제에 팔랑크스 C에 버금갈 정도로 정신나간 공속을 자랑한다. * '''X→XC''' 위와 마찬가지로 강공격의 1타만 똑같고 2타는 CCXC와 같은 양손으로 베어 넘어뜨리는 파생기를 사용한다. 이 또한 마크를 붙일 수 있지만 쓰는 사람은 별로 없다. * '''D+C''' 평범한 손날치기 공격, 약간의 전진성과 좌측의 공격 판정이 넓어 스텝을 끊어버리거나 가드를 뚫는 데에 유용하다. * '''D+X''' 짧은 거리 태클을 가한다. 이 때 적에게 공격이 들어간다면 다운 공격 판정인 2타가 확정적으로 들어가 적을 띄운다. [[시크릿가드]]의 DX와 자주 비교되는 부분으로, 바운티 헌터의 DX는 전진 거리가 짧고, 띄우는 높이가 조금 낮지만 첫타 적중시 '''락온'''이 발동되며 마나 소모가 없다. * '''V+C''' 라이벌 캐릭터들의 무릎 찍기 공격. * '''V+X'''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돌진하며 양손을 이용해 베기 공격을 날린다. 경직이 긴 편이다. 근접전 시동기로 매우 자주 이용된다. * '''Z+C''' 양손을 이용한 손날치기로 적을 넘어뜨린 후 영거리에서 레이저 탄환을 갈겨버린다. 적에게 마크가 부여되고 기본적으로 DX 후 ZC가 간단히 들어간다. * '''Z+X''' 레이저 총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견제 기술. * '''D+XC''' 잠깐의 준비자세를 취한 뒤, 매우 긴 거리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한다. 이 때 적과 부딪히면 손날로 넘어트린 후 곧장 발로 짓밟아 총으로 갈기고는 위로 높게 띄워버리는 화려한 공격들이 파생된다. 전진 거리도 상당히 길고 속도도 빨라 게임이 시작되자 마자 기습 공격으로서 탁월하며 또한 단순히 공격기로 쓰는 것 뿐만 아니라 적절한 회피기로도 성능이 제법 좋다. 문제는 마나 소모가 좀 크다는 것. 피격당한 적은 마킹된다. * '''Z+XC''' 적의 복부를 가격한 다음, 권총 사격을 갈기며 공중에 떠오른 적에게 [[크고 아름다운]] 빔 라이플로 마무리한다. 피격당한 적은 표식이 찍힌다. 번지 성능은 영 좋지 못하지만 선딜이 매우 짧아서 ZC 후 기상타이밍에 맞춰 냅다 갈기면 잘 들어가고, 바운티헌터에 조합되는 온갖 악세 콤보들의 마무리 기술로 굉장히 애용된다. == 평가 == 테스트 서버 내에서는 딱히 라이벌스러운 강력함이 느껴지지 않았던 반면, 본서버에 나온 이후로는 그놈의 1:1 특화 컨셉이 제대로 빛을 발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기술들이 1:1 매치에 최적화 되어 있음과 동시에, 특수 기능인 '''마크''' 시스템은 특정 기술을 사용하여 적에게 마크를 꽂아두면 일정시간 추가 데미지가 들어가는 기능이기 때문에 단순히 노 악세사리 상태에선 1:1 전투만으로 따지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성능을 자랑한다. 힘이 아니라 대미지를 추가해주기 때문에, 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속성 공격이나 고정 대미지를 가진 공격까지 강화되어서 매우 강력하다. 거기다 기본 공격기에 띄우기 판정을 가진 기술이 많기 때문에 적을 띄워버린 다음 조준기술로 [[관광]]태우는 플레이가 매우 용이하다. 단, 앞서서 설명을 하였듯 기본기의 범위는 썩 좋다고 할 수 없는데, 강공격과 약공격 판정이 신세계인 베테랑과 점필의 범위가 안드로메다인 파계승 등 다른 라이벌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범위 면에서는 밀린다.대신 공격속도가 빠른 편에 속하며, 일단 적중만 시키면 [[스카우트]]의 락온과 비슷한 느낌으로 적을 끌어오는 판정을 가진 DX 등으로 단점을 충분히 커버한다. 지금껏 군인등에 일부 악세를 조합해 dx로 국콤을 하던 악세는 모조리 바헌이 꿰차고 있다. 단, 역대시와 극대시가 안된다는 결정적인 약점도 있어서 일부 상급자는 다른 캐릭을 사용하기도. 또한 겟앰에서 몇 안 되는 약공격 첫타로 역반 노리기가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 힘 캐릭터의 파워와 평균 이상의 스피드, 그리고 나쁘지 않은 방어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 게다가 기술의 성능마저 초절한 덕에,게임 내 최고의 밸런스 파괴 캐릭터중 하나로 손꼽혔으나 2015년 9월 16일에 성능 조정이 가해진다.너무나도 사기적이었던 데미지상승 '마크 시스템'이 하향되고, DX의 범위가 실제 발의 움직임에 맞춰 작아졌다. 덕분에 이전과도 같은 위용을 보여주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라이벌 캐릭터에 걸맞는 성능을 지녀서 종종 쓰인다. == 전용 액세서리 == === 트레이스 블래스터 === [include(틀:겟앰프드/액세서리 정보/일반, Name=트레이스 블래스터, Ext=jpg, Width=100%, ReleaseDate=2012-09-05, PriceUnit=RM, Price=4\,400, Char=바운티헌터, STR=0, TEC=+1, SPD=0, JMP=-1, DEF=0, Text1=숙련된 바운티헌터들이 애용하는 에너지 라이플., Text2=총검이 부착되어 있어 백병전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상대에게 마크를 부착한 다음 조준(Z) 버튼을 2번 누르면 마크를 「트레이스 마크」로 전환할 수 있는 특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그동안에는 모든 기술이 마크가 부착된 상대를 향하여 발동된다.)] || '''{{{+1 {{{#White 기술표}}}}}}''' || ||{{{#!folding [ 펼치기·접기 ] 마크 부착 이후 ZZ 상대에게 부착한 마크를 [트레이스 마크] 로 전환합니다. 효과 중에는 트레이스 마크를 부착한 상대가 항상 한 화면에 들어오도록 카메라가 움직이며, 사용자의 모든 행동(공격, 방어 등)이 자동으로 마크한 상대의 방향으로 발동됩니다. ZZ 를 입력해 임의로 ON/OFF가 가능합니다. - 트레이스 마크를 부착한 상대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시야가 원상태로 되돌아옵니다. (마크 효과는 유지됩니다.) - 트레이스 마크의 지속 시간은 12초입니다. - 바운티헌터 기본 마크 유지 중 트레이스 마크로 도중에 변경할 경우, 먼저 적용된 마크의 지속시간이 끝나면 트레이스 마크의 지속시간이 남아 있더라도 함께 사라집니다. Z+C 총검으로 상대를 찌른 다음, 총을 연속 사격하여 상대방을 공격합니다. 명중하면 상대에게 마크를 부착합니다. 공중의 상대를 공격했을 때는, 총과 함께 찌른 상대를 공중으로 들어 올려 총을 1회만 발사하며, 이때는 상대에게 마크를 부착하지 않습니다. MP를 4.2 소비합니다. Z+X 전방으로 라이플을 발사합니다. 주위에 마크한 상대가 있는 경우는 자동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공격합니다. MP를 4.2 소비합니다. 커맨드(앞->뒤->앞)+C 총검으로 막는 자세를 취하며, 이 동안 상대에게 공격받으면 총검을 휘둘러 상대를 베는 카운터 기술을 사용합니다. MP를 2.1 소비합니다. (카운터 기술 발동에 성공하면 MP를 추가로 2.1 소비합니다.) 커맨드(앞->뒤->앞)+X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날아가는 에너지탄을 발사합니다. 마크한 상대가 있는 경우엔 에너지탄이 자동으로 대상을 향해 유도되어 날아갑니다. 단, 상대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유도되지 않으며, 상대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는 에너지탄이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MP를 4.2 소비합니다. D+XC 손날로 상대를 쓰러트리고 연속해서 총검을 휘둘러 상대를 공격합니다. 명중하면 상대에게 마크를 부착합니다. MP를 4.2 소비합니다. (기술이 명중하면 MP를 추가로 2.1 소비합니다.) Z+XC 주먹으로 상대를 경직시킨 후, 총검을 이용해 상대를 화려하게 난무하는 기술입니다. 명중하면 상대에게 트레이스 마크를 부착합니다. MP를 4.2 소비합니다. (기술이 명중하면 MP를 추가로 2.1 소비합니다.) }}}|| || '''{{{+1 {{{#White 패치 내역}}}}}}''' || ||{{{#!folding [ 펼치기·접기 ] >- Z+C 기술이 다운 직전의 상대에게 명중했을 경우, 공중 명중 효과가 발생하도록 조정했습니다. >- Z+Z 마크의 지속시간을 증가시켰습니다. (12초→20초) >- Z+Z 마크의 효과 발생 중 MP를 지속적으로 소비하도록 변경했습니다. >---- >2016년 3월 9일 업데이트 내역 }}}|| 2012년 9월 5일 출시된 바운티헌터 전용 액세서리. 착용 캐릭이 바운티헌터인 것도 그렇고 악세 외형이나 공격모션을 보면 대놓고 모티브는 [[무한의 프론티어|이 작품]]의 주인공인 [[하켄 브로우닝|이 사람]]이 확실하다. 조준 자세가 변하며 기존 마크를 트레이스 마크로 변경할 수 있다. 효과 중 트레이스 마크가 붙여진 상대가 한 화면에 들어오도록 카메라가 움직인다(너무 멀면 시야가 되돌아온다). 사용자의 모든 행동(공격,방어 등)들은 전부 트레이스 마크가 붙여진 상대를 향해 발동된다. 또한 임의로 ON/OFF가능. 바운티헌터가 발매 초기부터 지금까지 실로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고, 바운티헌터 출시 이후 231일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그 모습을 드러낸 전용 액세서리이기에 발매 당시에는 유저들의 주목을 크게 받았으나, 아무 상황에서나 미칠듯이 강한 건 아니라서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은 아주 많지는 않다. 단, 지하감옥 같은 좁은 맵에서는 트레이스 마크 떨어지기 전까지는 상대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일단 게임 시작시 처음 무적시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마크가 달릴 수밖에 없는데, 아차 하는 순간 D+X 맞고 콤보까지 맞아 번지당하기 일쑤고, 마크 떨어지고 나서도 악착같이 달라붙어서 다시 마크 달 기회를 주지 말아야 승산이 있다. 2016년 3월 9일 밸런스 조정 대상이 되었다. 기존에는 D+X → Z+C로 정확하게 타이밍을 맞춰 발동하면 높은 번지율은 물론 거의 항상 트레이스 마크를 붙일 수 있었다. 기존 바운티헌터의 하향과 맞물린 뼈아픈 하향. == [[겟앰프드/액세서리/계승|계승 액세서리]] == [include(틀:겟앰프드/전용 계승 액세서리)] === 트레이스 블래스터 골드 === [include(틀:겟앰프드/액세서리 정보/일러스트 없음, Name=트레이스 블래스터 골드, ReleaseDate=2018-07-11, Rate=계승, Char=바운티헌터, STR=0, TEC=+1, SPD=0, JMP=-1, DEF=0, Text1=엘리트 바운티헌터들이 애용하는 연속 사격력이 뛰어난 에너지 라이플 총., Text2=총검이 부착되어 있어 백병전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 '''{{{+1 {{{#White 기술표}}}}}}''' || ||{{{#!folding [ 펼치기·접기 ] * '''기본 등급''' 기존 [트레이스 블래스터] 액세서리의 성능과 동일합니다.[* 동일하다고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조준 마크의 기소모가 없다.] ---- * '''1등급''' 조준 마크의 지속 시간이 1초 증가합니다. ---- * '''2등급''' ''Z+C'' MP 소비량이 1.2만큼 감소합니다. MP를 3.0 소비합니다. ---- * '''3등급''' ''Z+X'' MP 소비량이 1.2만큼 감소합니다. MP를 3.0 소비합니다. ---- * '''4등급''' 조준 마크의 지속 시간이 1초 증가합니다. (2초 증가) ---- * '''5등급''' ''CMD+C'' 카운터 성공 시 추가 MP를 소비하지 않습니다. ---- * '''6등급''' ''CMD+X'' MP 소비량이 2.1만큼 감소합니다. MP를 2.1 소비합니다. ---- * '''7등급''' 조준 마크의 지속 시간이 1초 증가합니다. 기술이 누적 되어서 총 지속시간이 3초 증가합니다. ---- * '''8등급''' ''D+XC'' 기술 명중 시 추가 MP를 소비하지 않습니다. ---- * '''9등급''' ''V+XC'' 공중에서 아래로 비스듬하게 아래 방향으로 탄환을 발사합니다. MP를 3.0 소비합니다. ---- * '''10등급''' 특수 조준 마크가 적용 된 상대에게 모든 대미지가 +20%만큼 증가합니다. }}}|| 트레이스 블래스터의 계승 액세서리로 운용법은 원본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Z+C가 공중의 적에게 적중시 마크 부여가 되지 않는 점과 유틸성 추가에 그친 덕에 인기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러나 준수한 성능이 어디 가지 않는데다 특수마크시 MP감소 패널티가 존재하지 않아 다소 여유로운 편이며 등급이 오를수록 마크의 지속시간이 늘어나고 여기에 10등급에서 받는 데미지 증폭 수치가 패치 이전 바운티 헌터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트레이스 블래스터에 익숙하다면 빠르게 적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9등급에서 추가되는 기술이 오브젝트를 관통하거나 사용자도 휘말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쓰는 사람이 거의 없어서 마크가 부착된 상대에게 기술이 유도되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기술을 기습적으로 사용해 확정적으로 상대를 히트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 기타 == * 겟앰프드의 캐릭터 중 유일하게 전용 악세사리가 하나밖에 없는 캐릭터다. * 한때 [[트윈스(겟앰프드)|트윈스]]가 차지하고 있었던 '''전용 액세서리가 가장 늦게 나온 캐릭터''' 자리를 바운티헌터가 빼앗았다.[* 2위는 [[파계승(겟앰프드)|파계승]](161일)이었는데 그 기록은 2012년 6월 27일에 깨졌다. 이제 트윈스가 2위가 되었으니 파계승은 3위.] 참고로 트윈스는 2009년 3월 19일에 발매되었고, 그 전용 액세서리인 트윈 블래스터는 그로부터 '''196일'''이 지난 후인 2009년 10월 1일에 발매되었다. 바운티헌터의 전용 액세서리가 2012년 8월 1일까지 나오지 않는다면 이 기록이 깨지게 되어 있었는데, 결국 8월 1일까지 전용 액세서리가 나오지 않아 트윈스의 기록을 깨고 바운티헌터가 1위가 되었다. * 2012년 9월 5일 바운티헌터 전용 액세서리 "트레이스 블래스터"가 발매됨으로써 '''231일'''만에 전용 액세서리를 갖게 되었다. 바운티헌터 다음으로 발매된 캐릭터인 레슬러가 이 기록을 깨려면 2013년 3월 13일을 넘겨야 했었는데 트레이스 블래스터 출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테스트서버에 레슬러 전용 액세서리가 나왔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본서버에도 출시되었다. 이 기록 깨지려면 한참 더 지나야 가능할 듯. * 라이벌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황인이다. [[분류:겟앰프드/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