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1 {{{#008558 '''브라질의 前 축구선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aldemar de Brito.jpg|width=100%]]}}} || || {{{#008558 ''' 이름 ''' }}} || {{{+1 {{{#fff72a '''바우데마르 지브리투 [br] Waldemar de Brito'''}}}}}} || || {{{#008558 ''' 출생 ''' }}} ||[[1913년]] [[5월 17일]] [br] [[브라질]] [[상파울루]] || || {{{#008558 ''' 사망 ''' }}} ||[[1979년]] [[2월 21일]] (향년 65세) || || {{{#008558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008558 ''' 신체 ''' }}} ||[[키(신체)|키]] 176cm | [[몸무게|체중]] 64kg || || {{{#008558 ''' 포지션 ''' }}} ||인사이드 포워드, 센터 포워드 || || {{{#008558 ''' 소속팀 ''' }}} ||시리우 (1927)[br]인디펜덴시아 (1928)[br]시리우 (1929~1932)[br][[상파울루 FC]] (1933~1934)[br][[보타포구 FR]] (1934)[br][[CA 산 로렌소]] (1935~1936)[br][[CR 플라멩구]] (1937~1939)[br][[CA 산 로렌소]] (1939~1940)[br][[상파울루 FC]] (1941~1942)[br][[플루미넨시 FC]] (1943)[br][[아소시아상 포르투게자 지 제스포르투스|포르투게사]] (1944)[br][[SE 파우메이라스]] (1945~1946)[br]포르투게사 산치스타 (1946) || || {{{#008558 ''' 국가대표 ''' }}} ||2경기 1골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1934)^^ || ||<-2> '''정보 더 보기'''[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008558 ''' 등번호 ''' }}}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의 前 축구선수로 [[펠레|축구 황제]]의 스승이다. == 생애 == === 클럽 === 상파울루 출신인 지브리투는 시리우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상파울루 FC]] 소속이던 지브리투는 20살의 젊은 나이에 대선배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와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그 성과로 토르네이우 히우-상파울루 대회와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상파울루 주 리그]]에서 득점왕을 휩쓸었지만 우승은 [[SE 파우메이라스|파울리스트라 이탈리아]]에게 내주었다. 그 이후엔 [[보타포구 FR|보타포구]]와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아르헨티나]]의 [[CA 산 로렌소]]등에서 활약하였다. 1937년에 돌아온 [[캄페오나투 카리오카|히우지자네이루 주 리그]]. 새로운 소속팀은 [[CR 플라멩구]]였고 이 곳에는 [[레오니다스 다시우바]], [[파우스투 두스 산투스]] 등 흑인 동료들이 많았다. 지브리투는 플라멩구에서 보낸 3년 간 우승과 준우승 2차례를 맛보았고, 산 로렌소를 다시 거쳐 1941년부터는 상파울루 FC에서 활약하면서 26경기 26골로 커리어 최다 득점을 차지하는 전성기도 누렸다. ~~막상 신체 능력으로는 전성기에 도달했지만 이때는 팀이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 이후로는 또 여러 팀을 떠돌았고 포르투게사 산치스타에서 1946년에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1933년의 더블 득점왕으로 지브리투는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월드컵]]에도 참가하였다.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을 상대로 한 첫 경기에 출전했지만 1대3으로 패배하였고,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하였다. [[제노바]]에서 짐을 싼 브라질 대표팀은 [[베오그라드]]로 장소를 옮겨 6월 3일,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와 친선 경기를 치렀다. 지브리투는 이 경기에서 1골을 기록하였지만 팀은 4대8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가 브라질 대표팀 역사상 최다 실점을 기록한 경기이다.] 지브리투의 국가대표 출전 기록에서 FIFA에 등록된 A매치는 이 2경기가 전부이고 비공식 A매치까지 합산하면 통산 18경기 18골의 기록을 남겼다. === 은퇴 이후 === 은퇴 이후에는 여러 지방들을 돌아다니며 재능 있는 소년들을 스카우트하는 데 시간을 쏟았다. 그러다 1954년 무렵, 바우루 AC라는 군소 클럽의 코치로 취임하게 되었고, 그 곳에서 그는 한 흑인 소년을 만났다. 동네 축구만 하던 소년의 눈에 월드컵까지 다녀왔던 지브리투 코치는 선망의 대상이었고, 소년에게 코치의 말은 곧 법이었다. 지브리투는 탄력이 좋았던 그 소년을 위해 같은 높이의 공을 향해 오른발, 왼발, 양발로 모두 점프하는 훈련을 시켰다. 이 훈련의 결과로 소년은 신장이 그리 크지는 않았지만 어떤 발로든, 어떤 상황에서든 비슷한 높이로 남들보다 높이 점프할 수 있게 되었고 그로 인해 공중 볼에 강점을 갖게 되었다. 그 외에도 자신의 장기였던 양발 사용을 강조하면서 소년을 포함한 자신의 제자들에게 노하우를 전수해주었고 바우루의 유소년팀은 33경기에서 148골을 넣는 유소년계 초강팀으로 군림하였다. 그리고 2년 후, [[군계일학|그 중에서도 특출 났던 흑인 제자]]를 [[산투스 FC]]에 추천해주었다. 그 제자가 바로 '''축구 황제 [[펠레]]'''였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양발 사용과 헤딩에 능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 제자는 [[청출어람|스승의 장점을 이어받아 더 업그레이드시켰다]]~~ 선수 시절에는 우승복은 나름 있었지만 한 팀에서 오래 머무르지는 못했다. == 여담 == * 그는 [[바이시클 킥]]의 창시자 또는 30년대의 스타플레이어 중 한 사람인 페트로닐류 지브리투의 동생이다. == 수상 == === 클럽 === * [[캄페오나투 카리오카|히우지자네이루 주 리그]] 우승 2회: 1934([[보타포구 FR]]), 1939([[CR 플라멩구]])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1회: 1936 명예 컵([[CA 산 로렌소]])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상파울루 주 리그]] 준우승 2회: 1933, 1941([[상파울루 FC]]) * [[캄페오나투 카리오카|히우지자네이루 주 리그]] 준우승 2회: 1937, 1938(이상 [[CR 플라멩구]]), 1943([[플루미넨시 FC]]) * 토르네이우 히우-상파울루 준우승 1회: 1933([[상파울루 FC]]) === 개인 === *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상파울루 주 리그]] 득점왕 1회: 1933([[상파울루 FC]]) * 토르네이우 히우-상파울루 득점왕 1회: 1933([[상파울루 FC]]) [각주] [[분류:1913년 출생]][[분류:1979년 사망]][[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상파울루 FC/은퇴, 이적]][[분류:보타포구 FR/은퇴, 이적]][[분류:CA 산 로렌소/은퇴, 이적]][[분류:CR 플라멩구/은퇴, 이적]][[분류:플루미넨시 FC/은퇴, 이적]][[분류:포르투게자/은퇴, 이적]][[분류:SE 파우메이라스/은퇴, 이적]][[분류:브라질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상파울루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