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가(노래))] [include(틀:쿠바 관련 문서)] [목차] [[스페인어]]: El Himno de Bayamo (약칭 La Bayamesa) == 개요 == [[쿠바]]의 [[국가(노래)|국가]]. 직역하면 '바야모의 노래'이지만, [[행진곡]] 풍의 음악 때문에 '바야모 행진곡'으로 [[의역]]되기도 한다. [[스페인]]의 압제에 쿠바인들이 저항하면서 시작된 '10년 전쟁'이 한창이던 1868년에 페드로 (또는 페루초) 피게레도(Pedro(Perucho) Figueredo, 1818-1870)가 작사/작곡했다. 다만 멜로디는 그 전 해였던 1867년에 만든 것을 그대로 썼고, 쿠바 독립군이 스페인 측의 거점이었던 바야모 병영을 점령한 것을 자축하고자 여섯 절 짜리 가사를 붙여 완성했다. 피게레도는 1870년에 [[스페인군]]에 붙잡혀 반역죄로 [[총살형]]에 처해졌고 이 곡도 금지곡이 되었지만, 이후에도 [[민중가요]]처럼 독립군에 의해 계속 애창되었다. 1898년에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페레르(Antonio Rodríguez Ferrer, 1864-1935)가 팡파르 풍의 기악 서주를 붙였고, 1902년에 쿠바가 공식적으로 독립을 선언하면서 동시에 국가로 채택되었다. 다만 이 때는 너무 스페인까 성향이 짙고 장황하다는 이유로 4~6절을 뺀 1~2절 만이 채택되었고, 이후 1959년에 [[피델 카스트로]]가 이끈 혁명군이 [[풀헨시오 바티스타]]의 정권을 무너뜨린 뒤에도 계속 국가로 사용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국가]]처럼 각 절마다 다른 음악을 쓰는 통절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길이는 훨씬 짧다~~ 치열한 독립 전쟁 중에 만들어진 곡인 만큼 [[라 마르세예즈]]나 [[의용군 진행곡]]처럼 가사가 꽤 호전적이다. == [[스페인어]] 가사 == ||[youtube(Pj3RadEXb1Q)] [youtube(RFUs8DAiBtk)] ¡Al combate, corred, Bayameses!, Que la patria os contempla orgullosa; No temáis una muerte gloriosa, Que morir por la patria es vivir. En cadenas vivir es vivir en afrenta y oprobio sumido, Del clarín escuchad el sonido; ¡A las armas, valientes, corred! [[스페인어]] 가사 번역 무기를 들어라 바야모의 사내들아! 조국이 그대들을 자랑스레 지켜보고 있으니. 영광스런 죽음을 두려워 말라, 순국은 곧 영생이다. 사슬에 묶여사는것은 불명예와 치욕으로 사는 것이니, 클라리온(나팔의 일종) 소리를 들어라. 용감한 자여, 서둘러 전장으로!|| [[분류:국가(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