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533 5%, #FF6600 15%, #FF6600 85%, #FF8533 95%);" {{{#000,#e5e5e5 '''바스 파우어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2115a5 네덜란드 축구 국가 대표팀 역대 주장}}}''' || || [[아드리안 판말러]][br](1940) || {{{+1 →}}} || '''{{{#d4001f 바스 파우어[br](1940~1946)}}}''' || {{{+1 →}}} || [[키크 스미트]][br](1946) || || [[키크 스미트]][br](1946) || {{{+1 →}}} || '''{{{#d4001f 바스 파우어[br](1946)}}}''' || {{{+1 →}}} || 헹크 판데르린던[br](1947) || }}} || ||<-2> [[파일:Bas Paauwe.jpg|width=100%]] || || 이름 ||바스티안 야코프 "바스" 파우어[br](Bastiaan Jacob "Baas" Paauwe) || || 생년월일 ||[[1911년]] [[10월 4일]] || || 사망년월일 ||[[1989년]] [[2월 27일]] (향년 77세) || || 국적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8]] [[네덜란드]] || || 출신지 ||[[로테르담]] || || 포지션 ||라이트 윙 하프백 || || 신체조건 ||168cm / 66kg || || 등번호 ||-[* 이 시대에는 등번호가 존재하지 않았다.] || || 소속팀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29-1947)''' || || 감독 ||엔스헤데서 보이스 (1960-1962)[br]FC 바허닝헌 (1964-1968)[br][[VVV 펜로]] (1968-1969)[br][[SC 헤이렌베인]] (1969-1971)[br]SC 아메르스포르트 (1972-1973) || || 국가대표 ||31경기 1골 (1932-1946) || [목차] == 생애[* 출처: 위키피디아, 11v11] == === 선수 생활 === ==== 클럽 ==== 파우어는 1929년에 18세의 나이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페예노르트]] 1군에 데뷔했다. 이 무렵 바스는 그의 형제들 중 3명과 함께 같은 페예노르트에 속해 있었는데 그 중 두 살 위의 형 야프와 가장 자주 같이 뛰었다. 1944년 [[스파르타 로테르담]]과의 더비 매치에서 파우어는 [[페널티 킥]] 실축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팀은 파우어의 실축에도 불구하고 4대3으로 승리했다. 그는 17시즌 반을 페예노르트에서 뛰면서 총 311경기의 리그 출전과 18골을 기록했다. 그리고 [[푸크 판헤일|판헤일]]의 은퇴 이후엔 페예노르트의 주장도 역임했으며 총 3회의 [[에레디비시|리그]] 우승과 2회의 [[KNVB 베이커|컵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파우어의 마지막 시합은 1947년 5월 11일의 [[더 클라시케르]]였고 페예노르트는 1대1로 비겼다.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 파우어의 국가대표팀 첫 선발은 1931년이었다. 원래 [[푸크 판헤일|판헤일]]과 그의 형 야프와 함께 하프백 라인을 꾸려 출전하는 것이 유력했지만 불의의 부상으로 그의 데뷔전은 1932년으로 미뤄졌다. 상대는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자유 주]]였으며 이번에는 야프의 부상으로 대체 선발이 되었으며 여기서 판헤일, [[빌럼 안데리선|안데리선]]과 하프백 라인을 이뤘다. 처음에는 국가대표팀에서 라이트 윙 하프가 어울리지 않아 경기 직전에 [[헹크 펠리칸]]과 라이트 윙 하프 자리에서 교체되는 등 우여곡절도 있었다. 이후 2년여 동안 대표팀에서 뛰지 못하고 교체 선수로 머물렀고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34년 월드컵]]에서도 벤치를 지켰다. 결국 1934년 11월,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전을 앞두고 펠리칸이 부상으로 빠지게 되자 파우어가 다시 라이트 윙 하프 자리를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네덜란드는 스위스에 4대2로 승리하여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s-1.6|월드컵에서의 패배]]를 설욕했으며 판헤일-안데리선-파우어의 하프백 라인은 이후 네덜란드 대표팀에서 4년여간 유지되었다.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1938년 월드컵]]에도 이 라인은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전 대회 준우승팀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슬로바키아]]와의 연장 혈투 끝에 0대3으로 패했다. 파우어의 국가대표팀 경기 중 유일한 득점은 1940년에 나왔다. 이 경기는 [[아버 렌스트라]]의 데뷔전이기도 한데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에 4대5로 패한 네덜란드 대표팀의 역대급 개망신 경기였다. 1940년부터 파우어는 대표팀 주장을 맡기도 했고 1946년까지 커리어를 이어가면서 총 31회 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다. === 감독 === 1935년부터 파우어는 [[페예노르트 로테르담|페예노르트]]의 오스트리아 출신 감독 리하르트 콘을 롤 모델로 삼았다. 그의 친근하면서 존중을 앞세운 코칭은 파우어에 큰 영향을 주었고 50년대부터 파우어는 코치 생활을 시작했다. 그가 처음으로 감독을 맡은 클럽은 엔스헤데서 보이스. 하지만 [[아버 렌스트라]]와 팀 장악을 놓고 갈등이 생겼다. 그 이후 4년간 감독직을 맡은 FC 바허닝헌에서는 마지막 4년차에 트베이더 디비시 우승을 이끌었고 파우어는 명예롭게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한 시즌의 [[VVV 펜로]] 감독직 이후, [[SC 헤이렌베인]]에서는 팀을 트베이더 디비시 우승으로 이끌고 [[에이르스터 디비시]]에서 한 시즌을 보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가 == 주로 라이트 하프백에서 뛰었지만 [[푸크 판헤일]], 그의 형 야프 등과 포지션을 바꾸면 센터 하프백에서 뛰기도 했다. 작은 체구에 걸맞게 민첩했고 뛰어난 기술을 가진 드리블러였다. == 여담 == * 파우어는 축구 선수 생활을 하면서 전기 기술자, 여관 관리인으로 일하기도 했다. 나중엔 그가 일하던 여관 자리에서 카페를 차리기도 했다. 이 카페는 나중에 감독 생활을 하면서 정리했다. == 수상 == === 클럽[* 파우어는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원 클럽 플레이어]]이므로 클럽 팀 이름 기입은 생략했다.] === * [[에레디비시]] 우승 3회: 1935–36, 1937–38, 1939–40 * [[KNVB 베이커]] 우승 2회: 1929–30, 1934–35 * 에레디비시 준우승 5회: 1930-31, 1931-32, 1932-33, 1936-37, 1942-43 * KNVB 베이커 준우승 1회: 1933-34 === 감독 === * 트베이더 디비시 우승 2회: 1967-68(FC 바허닝헌), 1969-70([[SC 헤이렌베인]]) [각주] [[분류:1911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로테르담 출신 인물]][[분류:네덜란드의 축구선수]][[분류:수비수]][[분류:네덜란드의 축구감독/은퇴·사망]][[분류: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VVV 펜로/역대 감독]][[분류:SC 헤이렌베인/역대 감독]][[분류:네덜란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참가 선수]][[분류: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