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약물]][[분류:유기화합물]][[분류:향정신성의약품]] [include(틀:유기화합물)] {{{#!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include(틀:위키미디어 공용, 파일이름=Barbituric-acid-structural.svg, 너비=200, 높이=200)]}}} [목차] == 개요 == {{{+1 Barbituric acid, Barbiturate(s)}}}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IUPAC 2,4,6(1H,3H,5H)-[[피리미딘|Pyrimidine]]tri[[케톤|one]]]은 중추신경 억제제나 [[수면제]], [[항불안제]], [[항경련제]] 등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바르비탈]]의 발매와 함께 알려진 성분이다. 바르비투르산의 [[유도체]]를 통틀어 '''바르비탈류(Barbiturate{{{#red s}}})'''라고[* 정확하게 표현하면 '''바르비투르산계'''가 맞지만,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등에서는 '''5, 5`- 바르비탈산 유도체''' 말고도 '''바르비탈류'''라고 하고 있다. 유도체의 이름에 전부 바르비탈이 들어가서 그렇게 지칭하는 듯하다.][* 대부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f/Barbiturates_generic_numbered.svg|5번 탄소]]에 다양한 작용기가 붙어서 유도체를 구성한다.]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브로민]] 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물이란 평가를 받았으나, 그럼에도 독성과 부작용 문제가 끊이지 않았으며 더 안전한 [[벤조디아제핀]] 계열 항불안제가 대중화된 이후로는 일반적인 정신과에서 바르비투르산계 진정제를 처방하는 일이 드물어졌다. == 특징 == 바르비투르산계 약물들은 [[벤조디아제핀]] 및 [[프로포폴]]과 비슷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주입할 시 [[중추신경계]]의 GABAA 수용체를 활성화 시키게 된다. GABAA 수용체는 Cl 이온 통로로, 대개 2개의 알파 유닛, 2개의 베타 유닛 그리고 하나의 감마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약물의 종류에 따라 바인딩 사이트가 다르다. 어찌되었든, 활성화 된 GABA 수용체는 세포 안으로 Cl- 의 influx를 야기하게 되어 [[신경세포]]의 과분극(hyperpolarization)을 발생시킨다. 바르비투르산은 Cl 이온 통로의 개방 지속시간을 늘린다. 이로 인해 정맥마취제의 목적인 진정효과(sedation) 및 최면효과(hypnotic effect)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르비투르산계 약물은 [[뇌간]]에 위치한 망상 활성계(reticular activation system; RAS)에 강한 효과를 일으키는데, 이곳은 [[인간]]의 [[각성]] 과 [[의식]]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티오펜탈(thiopental) 등을 주입한 후 약 30초 안에 마취효과가 보여지게 되며, 대사는 [[간]]에서 이루어 진다. 유도 투여량은 티오펜탈을 기준으로, 성인의 경우 약 3-5 mg/kg 이며, 어린아이의 경우 6-8 mg/kg까지 사용하게 된다. 회복기는 약 10분 정도. 전체적으로 티오펜탈은 상당히 지질용해적이며 특히 [[마늘]] 냄새가 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환자의 혈압을 낮추는데, 이로 인해 보상기전을 통한 [[빈맥]](tachycardia)이 정상적으로 보여지게 된다. 하지만 만일 환자가 [[베타 차단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면 빈맥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심각한 [[심박출량]]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약물을 정맥혈관 밖으로 투여할 시 심각한 통증과 조직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주의할 점은 만일 약물이 [[동맥]]으로 주입될 경우, 혈관 내 크리스탈(결정)이 침전하여 심각한 [[허혈]] 및 혈관수축이 발생하기도 하니 상당히 주의해야 한다. 그 외에도 전체적으로 뇌혈류(CBF)의 저하가 보여지며, [[발작]] 활동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 종류 == [include(틀:마약류, '''=바르비탈류)]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을 기본 구조로 하는 유도체(Barbiturates)[* 국내법상으로는 '''5, 5`- 바르비탈산 유도체''' 또는 '''바르비탈류'''라고 한다. 유도체들 이름에 죄다 바르비탈이 들어가서 바르비탈류라고 칭하는 듯.] 중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된 것을 나열한다. 참고로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 그 자체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되어있지 않다. 5번 탄소에 다양한 [[작용기]]가 붙어서 바르비투르산 유도체를 구성한다. 2번 [[케톤|탄소에 산소 원자]] 대신 황 원자가 붙은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4/Thiobarbiturates_generic_numbered.svg|티오바르비탈산 유도체]]는[* 스피로티오바르비탈, 티오펜탈, 티아미랄 등] 여기 작성하지 않았다. * 향정신성의약품 나목 * 세코바르비탈(Secobarbital) 바르비투르산 계열 중 유일하게 향정신성의약품 나목이다. 나머지는 다목. * 향정신성의약품 다목 이름에 바르비탈이 안 들어가도 바르비투르산계인 것도 많다. * 알로바르비탈(Allobarbital) * 알페날(Alphenal) * 아모바르비탈(Amobarbital) * 아프로바르비탈(Aprobarbital) * [[바르비탈]](Barbital) 이름만 보면 바르비투르산계(Barbiturates)의 가장 기본 물질인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IUPAC]일 것 같지만 바르비투르산의 5번 탄소 자리에 [[수소]] 2개 대신 [[에테인|에틸]]기가 2개 붙은 물질이다. 국내법상으로도 바르비투르산계를 바르비탈류라고 표기하고 있다. 유도체들 이름에 거의 대부분 죄다 바르비탈이 들어가서 바르비탈류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 브랄로바르비탈(Brallobarbital) * 섹부타바르비탈(Secbutabarbital) * 부탈비탈(Butalbital) * 부탈리로날(Butallylonal) * 부토바르비탈(Butobarbital) * 시클로바르비탈(Cyclobarbital) * 시클로펜토바르비탈(Cyclopentobarbital) * 엔알릴프로피말(Enallylpropymal) 아프로바르비탈에서 고리의 질소 원자 하나에 수소 대신 메틸기가 하나 붙어있다. * 에트알로바르비탈(Ethallobarbital) * 헵타바르비탈(Heptabarbital) * 헵토바르비탈(Heptobarbital) * 헥세탈(Hexethal) * 헥소바르비탈(Hexobarbital) * 메타아르비탈(Metharbital) 바르비탈에서 고리의 질소 원자 하나에 수소 대신 메틸기가 하나 붙어있다. * 메토헥시탈(Methohexital) * 메틸페노바르비탈(Methylphenobarbital) 페노바르비탈에서 고리의 질소 원자 하나에 수소 대신 메틸기가 하나 붙어있다. * 나르코바르비탈(Narcobarbital) 프로팔리로날에서 고리의 질소 원자 하나에 수소 대신 메틸기가 하나 붙어있다. * [[펜토바르비탈]]([[넴뷰탈|Pentobarbital]]) *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 페타르비탈(Phetharbital) 바르비탈에서 고리의 질소 원자 하나에 수소 대신 페닐기가 하나 붙어있다. * 프로바르비탈(Probarbital) * 프로팔리로날(Propallylonal) * 프로필바르비탈(Propylbarbital) * 테트라바르비탈(Tetrabarbital) * 빈바르비탈(Vinbarbital) * 바로탈룸(Barotalum) Crotarbital이라고도 불린다. * 디베랄(Diberal) * 도르모비트(Dormovit) * 이도부탈(Idobutal) * 레포살(Reposal) * 비닐비탈(Vinylbital) * 카르부바르비탈(Carbubarbital) * 시그모달(Sigmodal) * 엘도랄(Eldoral) * 모든 5, 5`- 바르비탈산 유도체 이 항목에 의해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의 5번 탄소에 어떤 [[작용기]]가 붙어도 향정신성의약품 다목이 된다. 5, 5`- 티오바르비탈산 유도체도 마찬가지. 단 여기서도 작용기에 수소 원자 하나는 제외하였기 때문에 법문상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 그 자체는 향정신성의약품이 아니다. == 여담 == * [[지미 헨드릭스]], [[샤를 부아예]], [[조지 샌더스]], [[주디 갈런드]], [[브라이언 엡스타인]], [[진 시버그]], [[매럴린 먼로]], [[이디 세지윅]], 루페이 벨레즈, 피어 앤젤리가 이 약물의 과다 복용으로 인해 사망했다. * [[모리스 슈발리에]]는 이 약물을 과다복용해 자살을 시도했는데, 병원으로 바로 옮겨져 당장 생명은 구했으나 간과 신장이 완전히 망가져 결국 몇 개월 뒤 사망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바르비탈, version=18)] == 관련 문서 == * [[마약류]] * [[향정신성의약품]] * [[피리미딘]] * [[우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