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온라인 게임, rd1=바람의 나라(게임), other2=동명의 드라마, rd2=바람의 나라(드라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만화 나루토의 등장 국가, rd1=바람 나라)] ||<:>
<#CF1020> '''[[오늘의 우리만화상|{{{#white 역대 오늘의 우리만화상 수상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FF>-||<|2><:>{{{+1 → }}}||<:><#0000FF> '''[[1999년|{{{#white 1999년}}}]]'''||<|2><:>{{{+1 → }}}||<:><#0000FF> '''[[2000년|{{{#white 2000년}}}]]'''|| ||<:> -[* 오늘의 우리만화상 시상은 1999년에 시작됐다.] ||<:> [[오디션(만화)|오디션]][br][[레드문]][br]This[br][[내 파란 세이버]][br][[남자이야기(만화)|남자이야기]][br]'''바람의 나라'''[br][[야후(만화)|야후]][br]Short story||<:> 디거[br]와일드 업[br][[니나잘해]][br]프린세스 안나[br][[힙합(만화)|힙합]][br]또디 ||}}}}}}}}} || ||<-2>
{{{#ffffff,#dddddd '''{{{+1 바람의 나라}}}'''[br]Kingdom of the Win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1권.jpg|width=100%]]}}} || || '''장르''' ||순정 || || '''작가''' ||[[김진(만화가)|김진]] || || '''출판사''' ||[[시공사]] → 이코믹스미디어 || || '''연재처''' ||댕기[br]월간 [[모션]][br]코믹스투데이[br]WE6[br][[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series?productNo=663749|▶]][br][[카카오페이지]] [[https://page.kakao.com/home?seriesId=46369731|▶]] || || '''연재 기간''' ||1992년 2월호 ~ 1996년 9월호 || || '''단행본 권수''' ||8권 ,,(2019. 09. 06.),,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구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한민국의 [[순정만화]]. 작가는 [[김진(만화가)|김진]]. 고구려 초기의 대 부여, 대 중국 정세를 모티브로 대무신왕 무휼의 유년기와 즉위 전후의 부여 정벌, 그리고 유명한 역사 설화인 자명고 이야기를 약간 각색하여 그린 작품이다. 아들 고호동의 비중이 부각되는 것은 중반 이후의 이야기. 1~2부에 해당하는 약 10권[* 여기까지가 댕기 연재분이다.]까지가 부여와의 전쟁을 다루는 초반, 3부에 해당하는 약 20권까지가 비류부의 이야기를 다루는 중반이다. 작가의 말로는 약 30권 정도가 완결이라고 하니 4부부터 완결까지가 자명고 이야기부터 무휼의 죽음까지 이르는 후반일 텐데 중반에선 조금 질질 끄는 감이 있다. 특히 바뀌어버린 그림체와 이해하기가 더 힘들어진 연출 때문에 읽기가 힘들다는 의견도 간간히 나오고 있다. 연재처 문제로 이래저래 악운이 많은 작품이기는 하지만 읽어볼 가치는 있다. 한 번 읽고 내용 파악을 하기가 어려운 작품인 것은 확실하지만 나이가 들어서 다시 보니 뭔가 와닿더라는 의견도 있다. == 발매 현황 == 1992년 2월 18일부터 격주간 발행 순정지인 댕기에서 연재를 시작했다. 그러나 연재처들이 족족 폐간하는 바람에 연재를 시작한지 30년이 넘었는데도 '''아직 작품의 결말이 나지 않았다.''' 1996년 9월 15일을 마지막으로 댕기가 망한 뒤 월간 [[모션]]으로 옮겼지만 폐간되었으며, 2000년 7월 설립된 코믹스투데이에서 연재가 재개되었지만 2001년 12월에 게시판이 없어지면서 연중되었다. 2003년 11월 창간된 인터넷 웹진 에서 연재가 재개되어 52호까지 연재했으나 2009년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연중되었다. 그 뒤 [[시공사]]에서 단행본으로만 발매했지만 시공사 역시 만화 사업을 접었다.[* 이 때문에 한 때 '실으면 망하는 만화'로 꼽히기도 했다.] 2007년부터 이코믹스미디어에서 스페셜 에디션으로 재작업해 출판을 시작했으며 영문판이 해외에서 출간되었다. 2013년 6월에는 [[네이버 시리즈]], 동년 12월에는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를 하기 시작했다. 현재 4부가 연재되고 있다. === 구판 === 1998년 6월부터 발매된 버전. 출판사는 [[시공사]]. 총 22권까지 나왔으며 이후 절판되었다. === 신판 === 2007년 5월 9일부터 발매된 버전. 출판사는 이코믹스미디어. 26권까지 나오다가 스페셜 에디션으로 대체되었다. === 스페셜 에디션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01권''' ||<-2> '''02권''' ||<-2> '''03권''' ||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1권.jpg|width=100%]]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2권.jpg|width=100%]]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3권.jpg|width=1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05월 30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09월 0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9년 06월 20일''' || ||<-6> || ||<-2> '''04권''' ||<-2> '''05권''' ||<-2> '''06권''' ||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4권.jpg|width=100%]]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5권.jpg|width=100%]]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6권.jpg|width=1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3년 06월 1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3월 1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5월 31일''' || ||<-6> || ||<-2> '''07권''' ||<-2> '''08권''' ||<-2> ||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7권.jpg|width=100%]] ||<-2> [[파일:바람의 나라 스페셜 에디션 8권.jpg|width=100%]] ||<-2>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width=100%]]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05월 28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09월 06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 || }}} 2007년 5월 30일부터 발매된 버전. 출판사는 이코믹스미디어. == [[바람의 나라/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람의 나라/등장인물)] == 미디어 믹스 == === [[바람의 나라(게임)|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람의 나라(게임))] === [[바람의 나라(드라마)|드라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람의 나라(드라마))] === 뮤지컬 === 서울예술단이 김진의 만화를 원작으로 만든 [[뮤지컬]]. 2001년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 '호동편'을 공연한 후 2006년 토월극장에서 다시금 '무휼편'을 선보였다. 2006, 2007, 2009년에 1부 '무휼편'을, 2010, 2011년에 3부 '호동편'을 공연했으며, 2부 '용편'이 예정 중에 있다. 모든 무휼편에서 무휼 역을 맡은 [[고영빈]]은 크게 호평을 받았으며 초연을 계기로 뮤지컬계에 이름을 알렸다. 호동 역에는 [[조정석]], [[김호영]], 엠블랙 [[지오(엠블랙)|지오]] 등이 거쳐갔다. 바람의 나라 무휼편 OST 가운데 몇 곡(TITLE Overture edit Ver. / TITLE Orchestra Ver. / 무휼의 전쟁)은 드라마 [[하얀거탑(2007년 드라마)|하얀거탑]]의 BGM(각각 하얀거탑 / In Honour / The Great Surgeon)으로도 사용되어 유명해진 바 있다. === 소설 === ||
[[파일:바람의 나라 소설 반양장본.jpg|width=200]] || [[파일:바람의 나라 소설 양장본.jpg|width=190]] || || '''반양장본''' || '''양장본''' || 김진이 자신의 만화를 원작으로 소설로 옮긴 작품. '아버지의 나라'라는 부제를 달고 2004년에 1부가 상, 하권으로 출간되었다. 유리의 즉위, 무휼과 연의 혼인, 여진의 사망, 호동의 탄생까지 여러 시간대를 오가며 서술한 것이 특징이다. 2008년에 드라마가 방영되자 양장본으로 재판이 나왔다. 양장본에 수록된 연표에 따르면 2009년 2부가 출간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인 현재까지도 출간된 바 없다. == 수상 경력 == * 1999 [[오늘의 우리만화상]] * 2008 [[대한민국 만화대상|대한민국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대상]] == 기타 == * [[태왕사신기]] 드라마가 이 만화를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건 [[태왕사신기#바람의 나라와의 관계|링크]] 참조. [[분류:810 한국문학]][[분류:바람의 나라]][[분류:한국 만화/목록]][[분류:만화 원작 뮤지컬]][[분류:만화 원작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