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절지동물)] ||<-5> [[파일:Sericosura verenae.jpg|width=300]][br]''Sericosura verenae'' || ||<-5> '''바다거미''' || ||<-3>Sea spider||<-2>이명 :|| ||<-5> '''Pantopoda''' Gerstaecker, 1863 || ||<|6>분류|| ||[[계]]||<-3>[[동물계]]|| ||[[문]]||<-3>[[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3>[[협각아문]](Chelicerata)|| ||[[강]]||<-3>바다거미강(Pycnogonida)|| ||[[목]]||<-3>바다거미목(Pantopoda)|| [[파일:Nymphon leptocheles.jpg|width=500]] 히드라충에 붙어있는 갯민숭달팽이류인 '로포도리스 다니엘세니(''Lophodoris danielsseni'')'를 잡아먹는 '님폰 렙토켈레스(''Nymphon leptocheles'')' [[파일:바다거미류의 모식도.png|width=500]] 바다거미류의 모식도 [목차] == 개요 == 바다거미목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일종. 천해부터 심해까지, 거의 전세계에 분포한 동물이다. 다리가 8개라서 이름에 '[[거미]]'가 들어가지만 거미류와는 강 수준에서 다르며 따라서 [[물거미]]하고도 거리가 멀다.[* 거미와의 차이는 [[바다전갈]]과 [[전갈]] 만큼이나 거리가 멀다. 오히려 거미와 전갈이 바다전갈이나 바다거미보다 가깝다.] 대한민국에서는 5과 14속 38종이 밝혀졌다. == 특징 == 바다거미류는 뇌의 구조, 감각기의 성질, 순환계 [[협각]]의 존재 등을 근거로 [[거미]], [[전갈]], [[투구게]] 등이 속한 협각아문에 넣고 있지만 이들과의 정확한 유연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 분자생물학을 근거로 바다거미류가 다른 [[협각류]]들과 자매군을 형성한다는 의견도 있고, 거미강 중 진드기목이나 통거미목과 가까운 관계라는 의견도 있지만 '''아예 협각아문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대부분의 바다거미류는 1~10mm 정도의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심해에 서식하는 몇몇 종은 몸길이 6cm에 다리 길이가 40cm에 달한다. 몸 크기에 따라 생태도 가지각색이며, 대형종처럼 자유롭게 움직여서 먹이를 직접 사냥하는 종이 있는가 하면, 몇몇 소형종처럼 이매패류나 히드라 등의 신체에 고착하여 [[기생]]하는 종도 존재한다. 몸은 체절적 구조를 보인다. 머리에는 대롱같은 주둥이(구문)와 3쌍의 부속지가 있으며, 주둥이에는 입이 열러있다. 이 입을 통해 연한 몸체를 가진 해양 동물들의 체액을 빨아 먹는다. 대부분의 바다거미류는 4쌍의 다리를 가지지만 일부는 5쌍이나 6쌍의 다리를 가지기도 한다. 이 다리 전부를 움직이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바다거미에게 있어서 이 행동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바다거미류는 호흡계통이 따로 존재하지 않아 다리를 움직이는 것으로 기체 교환을 해결하며, 소화 기관 또한 다리로 확장되어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활동을 다리를 통해 해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머리가슴 부위에 비해 복부가 매우 작기 때문으로, 복부에는 오직 소화관만 들어있고 이밖에 중요한 생식소들은 전부 다리 안의 빈 공간들로 밀려나 있다. 수컷의 경우 보행지 제1지와 제2지 사이에 포란지라고 하는 1쌍의 작은 다리를 가지고 있어 알을 들고 나를 때 이를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바다거미류는 몸집이 너무 작은데다 다리가 가늘기 때문에 근육 조직은 오로지 결합 조직으로 둘러싸인 단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 대중매체 == [[마그멜 심해수족관]]에선 아이돌 그룹인 푸른 하늘 베스룸의 유메가 바다거미 인형을 보곤 징그러워하거나 실제 바다거미를 보곤 두려워하는 유마린을 대신해 바다거미를 만져보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 [[클로버필드]]에 등장하는 [[클로버(클로버필드)|클로버]]의 내부에 사는 기생충들은 바다거미류가 변이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분류:바다거미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