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밀워키 벅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밀워키 벅스)] [목차] == 개요 == 밀워키 벅스의 200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관련 내용임. 아래 문단에 기재된 내용은 [[밀워키 벅스]] 문서의 개정 제598판 '2.6. 레드와 보것의 시대, 리빌딩의 시대' 항목이며 과거 내용인 관계로 별도 분리함. == 내용 == 2003년 오프시즌 때 콜 구단주는 워싱턴 위저즈로 떠난 그룬필드를 대신해 래리 해리스[* 델 헤리스 전 단장 겸 감독의 아들이다.] 부단장을 단장으로 승격시켰고, 뒤이어 조지 칼 감독을 자른 뒤 새크라멘토 킹스 코치였던 테리 포터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드래프트에선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출신 T.J. 포드를 전체 8번으로 뽑은 뒤, 트레이드 시장에서 샘 카셀 및 어빙 존슨을 미네소타의 앤써니 필러 및 조 스미스와 맞바꾸고 페이튼을 FA로 풀어 레이커스로 떠나보내는 등 레드를 중심으로 팀을 젊게 개편했다. 정규시즌 때 레드가 손목을 꺾는 특유의 3점 슛을 기반으로 폭발적인 득점력을 선보이는가 하면 포드의 잠재력이 폭발하면서 5할을 유지했고, 2004년 2월에는 뉴욕 닉스 및 애틀랜타 호크스와 3각 트레이드를 벌여 팀 토마스를 뉴욕 닉스의 키스 밴혼과 맞바꾸고, 프리즈빌라를 애틀랜타로 팔았다. 최종적으로 41승 41패로 컨퍼런스 4위 / 디비전 6위를 찍어 플옵에서 디트로이트를 상대했지만 1승 4패로 스윕당했다. 2004년 드래프트에선 1명도 뽑지 못했지만, 팀은 보유 중이던 드래프트 2라운드 픽 1장을 신규 팀 샬럿 밥캐츠에 배치됐던 [[자자 파출리아]]와 맞바꾸고 FA로 풀린 마이크 제임스(디트로이트) 및 모 윌리엄스(유타)를 각각 영입했다. 그러나 정규시즌 들어 레드, 포드 등 선수 15명이 부상으로 결장하면서 승보다 패가 많아졌고, 궁여지책으로 2005년 2월에 밴혼을 댈러스의 캘빈 부스 및 앨런 헨더슨과, 마이크 제임스 및 젠던 해밀턴을 휴스턴의 리스 게인스 및 드래프트 픽 2장이랑 각각 맞바꿔가며 변화를 주고자 했지만, 30승 52패를 찍어 하위권으로 처졌다. 2005년 오프시즌 들어 팀은 포터 감독을 쫓아낸 뒤 골든스테이트의 코치이던 테리 스토츠를 감독으로 불렀고, 드래프트 때 전체 1번으로 호주 출신 [[앤드류 보것]](유타대)을 뽑고, 유럽 무대에서 뛰던 찰리 벨을 FA로 영입했다. 정규시즌에선 레드와 신인 보것, 벨 등의 활약으로 40승 42패에 컨퍼런스 8위를 찍어 간신히 플옵에 나갔지만 디트로이트에게 1승 4패로 스윕당했다. 2006년 드래프트에선 코네티컷대 출신 찰리 빌라누에바를 전체 7번으로 뽑았지만 개막전 때 예상 스타팅 라인업 5명이 부상이나 병 등으로 결장해 망조가 보였고, 전 경기를 소화한 선수는 벨이 전부였다. 거기에 보것의 비매너스런 행동도 팀에 독이 됐다. 정규시즌 당시 23승 41패 시점에서 스토츠 감독이 잘려 래리 크리스트코비악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고, 당시 [[모 윌리엄스]], 레드, 벨 등이 최선을 다했지만 28승 54패로 무너졌다. 2007년 오프시즌 들어 팀 로고의 원형을 유지한 채 모양과 색깔을 전성기 시절 그대로 일부 수정했다. 드래프트에선 야오밍 열풍에 편승할 겸 흥행을 살려보고자 [[이젠롄]]을 전체 6번으로 지명했고, 네바다 대학교 레노 캠퍼스 출신의 [[라몬 세션스]]도 56번으로 뽑았다. 특히 이젠롄의 영입과 관련해 중국 정부와의 외교 마찰 등으로 논란이 됐고, 정규시즌에선 수비가 너무 취약해서 필드골 및 3점 슛 허용률에서 각각 1위와 4위를 찍는 수모를 겪어 26승 56패로 추락했다. 또한 해리스 단장도 2008년 3월 19일(현지시간)에 쫓겨났다. 2008년 오프시즌 때 콜 구단주는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운영부사장이던 존 해몬드를 단장으로 모신 뒤, 크리스토코비악 감독을 자르고 전 시카고 불스 감독 스캇 스카일스를 선임했다. 스카일스 감독은 수비 강화에 중점을 두어 6월에 이젠롄 및 바비 시몬스를 뉴저지의 리차드 제퍼슨과 맞바꾸고, 드래프트에서 웨스트버지니아대 출신 조 알렉산더를 전체 8번으로 뽑았다. 8월에는 클블 및 신규팀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 3각 트레이드를 맺어 모 윌리엄스를 클블의 데이먼 존스, [[데스몬드 메이슨]]을 오클라호마시티의 아드리안 그리핀 및 루크 리드노어와 맞바꿨다. 마침 레드 등 주축 선수들도 수년의 세월을 거쳐 농익어져서 앞으로의 행보에 기대를 거는 팬들이 많았지만, 정규시즌에서 레드가 오른쪽 발목 염좌 등에 시달리는가 하면, 보것이 등 부상으로 고생하는 등 선수 8명이 부상으로 결장하여 추락에 추락을 거듭했고, 전 시즌보다 8승 더 오른 34승 48패를 찍었다. 2009년 드래프트 때 이탈리아 리그에서 뛰던 [[브랜든 제닝스]]를 10번으로 뽑아 보것이랑 짝을 짓는 한편, 트레이드 시장에서 제퍼슨을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브루스 보웬, 커트 토마스, [[파브리시오 오베르토]] 3명과 맞바꾸고[* 다만 오베르토는 같은 날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아미르 존슨과 다시 맞바꿔졌으나 7월 2일 웨이버 공시됐고, 10월 25일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에 FA로 영입되었다.] 빌라누에바를 FA로 풀어 디트로이트로 보내는 등 팀을 개편했다. 정규시즌 후반 31경기에서 22승 9패를 더해 46승 36패로 4년만에 플옵에 나가 제법 돌풍을 일으켰지만, 애틀랜타 호크스에게 3승 4패로 졌다. 2010-11 시즌을 앞두고 팀은 존 살몬스, [[드류 구든]] 등에게 거액의 장기 계약을 줘가며 전력 보강을 했지만, 정규시즌 들어 주축 선수들의 부상, 공격진의 부재 등으로 연패를 거듭해 35승 47패로 떨어졌다. 연고지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많은 돈을 쓸 수 없다는 약점이 있으며 그렇지 않아도 2000년대 후반 NBA가 스타들의 집결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는 와중이라 앞으로의 전망이 그리 밝은 것만은 아니었다. 2011-12 시즌에도 보것이 장기부상으로 시즌아웃되는 바람에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레드도 고질적인 부상으로 기량이 떨어지자 도중에 FA로 풀려 피닉스 선즈로 떠났다. 이를 역이용해서 보것을 스티븐 잭슨과 묶어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몬타 엘리스]], 엑페 우도, [[콰미 브라운]] 3종 세트랑 맞바꿔가며 제닝스-엘리스 콤비의 빠르고 공격적인 백코트 조합을 형성했으나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다음해에는 플레이오프 막차에 탑승하는데 성공하고 제닝스는 "우리가 4-2로 마이애미에 이긴다." 라는 ~~개드립~~포부를 보여줬으나...[* 이것이 개드립인 이유가 먼저 2경기를 내준 다음에 한 말이기 때문이다.] 가차없이 히트에 스윕당해 탈락. 결국 2013년 플레이오프 이후 엘리스가 댈러스, 제닝스가 디트로이트로 떠나며 난사 듀오는 해체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밀워키 벅스, version=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