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조선 좌리공신]][[분류:서출]][[분류:1430년 출생]][[분류:1479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밀성군파]] [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
'''{{{#FFC224 밀성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 익대공신)] ---- [include(틀:조선 좌리공신)]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세종의 왕자[br]{{{+1 밀성군 | 密城君}}}'''}}}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밀성군묘.jpg|width=100%]]}}} || ||<-2> {{{#ffd400 {{{-2 [[밀성군 묘 전경|{{{#FFD400 밀성군 묘 전경}}}]]}}} }}} || ||<|2> '''출생''' ||[[1430년]] || ||[[조선]] [[한성부]][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 || '''사망''' ||[[1479년]] [[2월 1일]]^^([[음력]] [[1월 1일]])^^[br](향년 50세) || || '''묘소''' ||[[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기자산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휘''' ||침(琛) || || '''부왕''' ||[[세종(조선)|세종]] || || '''생모''' ||[[신빈 김씨]] || || '''형제자매''' ||18남 4녀 중 12남 || || '''배우자'''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豊德郡夫人 驪興 閔氏) || || '''자녀''' ||{{{#!folding 4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운산군 이계(雲山君 李誡) 차남 - 춘성군 이당(春城君 李譡) 3남 - 수안군 이상(遂安君 李 言+賞) 4남 - 석양군 이격(石陽君 李䛿) 장녀 - 하한문(河漢文)의 처 차녀 - [[순흥 안씨|안우하]](安友夏)의 처 }}} || || '''자''' ||문지(文之) || || '''봉호''' ||'''밀성군(密城君)'''[* 봉호는 [[경상도]] [[밀양]]의 별호인 ‘밀성(密城)’에서 따왔다.] || || '''시호''' ||장효(章孝) → 효희(孝僖)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전기의 왕족. [[세종(조선)|세종]]의 서5남이다. 친형제로는 [[신빈 김씨]]의 소생들인 형 [[계양군]]과 [[의창군(1428)|의창군]], 남동생 [[익현군]]과 [[영해군(1435)|영해군]], [[담양군]]이 있으며, [[전주 이씨|전주이씨]] 밀성군파의 파시조이다. == 생애 == 1436년(세종 18년)[[http://sillok.history.go.kr/id/kia_11001001_001|#]] 혹은 1442년(세종 24년)에[[http://sillok.history.go.kr/id/kda_12407003_001|#]] 밀성군으로 봉해졌다. 1444년(세종 26년)에는 민승서의 딸과 혼인하였다. 평소 행동이 조심스럽고 신중하며 형제간의 트러블이 없는 것을 눈여겨 본 이복형 [[세조(조선)|세조]]에 의해 왕실을 호위하는 오위도총부 도총관 직에 임명되었다. 이외에도 각 시(寺)의 도제조 및 의금부도위관 등을 역임하였다. 1469년([[예종(조선)|예종]] 1년) [[남이]]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다. 그리고 그 해 세종의 [[영릉(세종)|영릉]]을 [[경기도]] [[광주시|광주]]에서 [[여주시|여주]]로 옮기는데에 참여하였다. 이후 1470년([[성종(조선)|성종]] 1년)에는 순성경제명량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 사망 == 1479년([[성종(조선)|성종]] 10년) 1월 23일에[* [[설날|음력 1월 1일]].] 사망했다. 향년 48세 [* [[세는나이]] 50세.] [[묘]]는 [[경기도]] [[하남시]] 초이동 기자산에 있으며 하남시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어있다. == 여담 == * 1452년(문종 2년) 밀성군이 병에 걸리자 이복형 [[문종(조선)|문종]]이 [[안평대군]]에게 [[승려]]들을 모아 [[흥천사]]에서 기도하라고 명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ea_10203012_002|#]] 그 후 정말 밀성군의 병이 나았고 이에 크게 기뻤던 문종은 밀성군의 처형 2명에게 관작을 내리고 밀성군을 치료한 [[어의|전의]] 전순의에게도 안장을 얹은 말을 하사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ea_10204013_004|#]][[http://sillok.history.go.kr/id/kea_10205021_001|#]] * 밀성군은 이복동생인 수춘군의 제사를 몰래 지내주었다. 수춘군은 후사가 없는데다 세조의 정적으로 죽임을 당한 [[혜빈 양씨]]의 아들이었기 때문. 밀성군 사후에는 밀성군의 3남인 수안군이 수춘군의 제사를 모셨다.[br][br]이후 수안군이 정식으로 수춘군의 후사가 되었는데 이에 대한 시기는 자료마다 다르다.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 따르면 중종 때라고 한다.[[http://www.rfo.co.kr/view_party.php?refnum=059|#]] 하지만 위키백과의 밀성군 항목에 따르면 사육신이 복권된 후인 [[숙종(조선)|숙종]] 시기라고 한다.[[https://ko.wikipedia.org/wiki/밀성군|#]] == 가족과 후손 == 부인인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사이에서 4남 2녀를 두었다. 장남 운산군 이계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에 책록되었다. 차남 춘성군 이당은 태조의 8남 [[의안대군(이방석)|의안대군]]의 봉사손으로 출계하였다. 3남은 위에 언급했듯 서숙부 수춘군에게 입적되었다. 이후 후손이 번성하여 오늘날의 전주 이씨 밀성군파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조선 후기]]의 문신 이경여, [[이건명(조선)|이건명]], [[이이명]]이 그의 후손들이다. 이경여의 손자가 이건명과 이이명이다. 저 둘은 경종 시기 [[노론]]을 대표하던 대신들로, 둘 다 [[신임옥사]]에 휘말려 사형당했다.[* 단, 이건명의 경우는 처음엔 유배였지만, 주청사로 청나라에 가서 한 말이 문제가 되어 참형당했다. 무슨 말이냐면, 청나라에서 '왕이 젊은데 왜 세제를 두려하냐'고 묻자 세제 책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경종이 양기가 없어 여자를 가까이 하지 못한다"는 말을 했던 것.] 이외의 다른 후손으로는 [[독립운동가]] 이창호, 이건호, 이중각이 있다. 밀성군의 17대손이자 이이명의 형 이사명의 9대손이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야구선수 [[이인구(야구선수)|이인구]]이다.[[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6/30/2009063001022.html|#]] 이 외에 배우 [[이진욱]] 등이 있다. [각주][include(틀:표절, version=34 ~ 52, source=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