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비드 핀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0460 , #0659d6)" {{{#f7f7f7 '''밀레니엄의 주요 수상 이력'''}}}}}}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새턴상|{{{#e5d85c 새턴상}}}]] 시상식'''}}} || ||<-5> [[파일:saturn-award.png|width=55]] || ||<-5> [[새턴 호러 영화상|{{{#e5d85c '''호러/스릴러 영화상'''}}}]] || || '''제37회[br](2010년)''' || {{{+1 →}}} || '''제38회[br](2011년)''' || {{{+1 →}}} || '''제39회[br](2012년)''' || || [[렛미인(미국 영화)|렛미인]] || {{{+1 →}}} ||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 {{{+1 →}}} || [[캐빈 인 더 우즈]] || ||<-5>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2>
{{{#white '''{{{+1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2011)[br]''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jpg|width=100%]]}}} || || '''{{{#white 장르}}}''' ||{{{#black [[스릴러]], [[드라마]], [[미스터리]]}}}|| || '''{{{#white 원작}}}''' ||[[스티그 라르손]] - 소설 《[[밀레니엄: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 '''{{{#white 감독}}}''' ||{{{#black [[데이비드 핀처]]}}}|| || '''{{{#white 각본}}}''' ||스티븐 자일리언|| || '''{{{#white 출연}}}''' ||[[다니엘 크레이그]], [[루니 마라]] 외|| || '''{{{#white 제작}}}''' ||[[스콧 루딘]][br]올레 숀드버그[br]소렌 스테어모즈[br]스티븐 자일리언[br]신 샤핀|| || '''{{{#white 제작사}}}''' ||[[컬럼비아 픽처스]][br][[메트로 골드윈 메이어]][br]스콧 루딘 프로덕션[br]옐로우 버드 엔터테인먼트|| || '''{{{#white 촬영}}}''' ||제프 크로넨워스 || || '''{{{#white 편집}}}''' ||커크 백스터[br]앵거스 월 || || '''{{{#white 음악}}}''' ||[[트렌트 레즈너]][br][[애티커스 로스]]|| || '''{{{#white 배급}}}'''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컬럼비아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소니 픽처스 코리아]]|| || '''{{{#white 상영 시간}}}''' ||158분 (2시간 38분)|| || '''{{{#white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black [[2011년]] [[12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2년]] [[1월 11일]]|| || '''{{{#white 제작비}}}''' ||9,000만 달러|| || '''{{{#white 마케팅비}}}''' ||4,500만 달러|| || '''{{{#white 북미 박스오피스}}}''' ||$102,515,793 (최종)|| || '''{{{#white 월드 박스오피스}}}''' ||$232,617,430 (최종)|| || '''{{{#white 국내 관객수}}}''' ||448,339명 (최종)|| || '''{{{#white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R등급 로고.svg|height=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Y4f_83t_rw)]}}} || || '''오프닝 시퀀스[* [[블러#s-2]]가 제작하였다.]''' ||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 편집상 수상작'''[* 여우주연상 ([[루니 마라]]), 촬영상, 편집상, 음향편집상, 음향효과상 노미네이트] [[스웨덴]]의 베스트셀러 추리 스릴러 소설 [[밀레니엄(소설)|밀레니엄 3부작]]과 동명의 스웨덴 영화를 리메이크한 작품. 스웨덴판 영화도 인기가 상당하다. 영화 음악은 핀처의 전작 《[[소셜 네트워크]]》의 음악을 담당해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트렌트 레즈너]]와 애티커스 로스 콤비가 맡았다. 영화의 오프닝에는 캐런 오가 커버한 [[레드 제플린]]의 <[[Immigrant Song]]>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 영화의 음악으로 [[트렌트 레즈너]]와 애티커스 로스는 2012년 [[그래미 어워즈]] [[https://www.grammy.com/grammys/awards/55th-annual-grammy-awards-2012#category-124|BEST SCORE SOUNDTRACK FOR VISUAL MEDIA]] 부문에서 수상을 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qQe3OrsMKI)]}}} || || '''▲ 공식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vD2w2dw7C0)]}}} || || '''▲ 한국어 자막 예고편''' || == 시놉시스 == >'''흔적 없이 살해된 소녀! 사라진 진실! 40년간 풀지 못한 악마의 퍼즐을 맞춰라!''' >부패 재벌을 폭로하는 기사를 쓰고 소송에 시달리던 신념 강한 기자 '미카엘([[다니엘 크레이그]])'. 곤경에 빠진 그에게 또다른 재벌 '헨리크'가 40년 전 사라진 손녀 '하리에트'의 사건을 조사해 달라며 손길을 내민다. 거부할 수 없는 거래에 응한 미카엘은 방대한 조사에 착수하기 위해 조수를 요청하고, 용 문신을 한 범상치 않은 외모의 천재 해커 '리스베트(루니 마라)'를 만나게 된다. >진실을 파헤치는 기자와 악을 추격하는 해커 역사상 가장 추악한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의 정체가 드러난다! >미카엘의 본능적인 집요함과 리스베트의 천재적인 해킹 능력으로 미궁에 빠졌던 단서의 퍼즐 조각을 하나씩 맞춰나가는 두 사람. 하지만 진실에 가까워질수록 예상치 못했던 곳에서 역사상 가장 잔혹한 악의 실체가 드러나게 되는데… >---- >네이버 영화 == 등장인물 == * [[미카엘 블롬크비스트]] 역 - [[다니엘 크레이그]] *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 - [[루니 마라]] * 마르틴 방예르 역 - [[스텔란 스카스가드]] * 헨리크 방예르 역- [[크리스토퍼 플러머]] * [[에리카 베르예르]] 역 - [[로빈 라이트]]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girl-with-the-dragon-tattoo-2011, critic=71, user=8.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girl_with_the_dragon_tattoo, tomato=86, popcorn=86)] [include(틀:평가/IMDb, code=tt1568346, user=7.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girl-with-the-dragon-tattoo-2011, user=3.8)] >'''[[리스베트 살란데르]], 혹은 [[루니 마라]]의 굉장한 매력.''' >---- >[[이동진]] (★★★☆) >'''중후한 첫 스타트.''' >---- >[[허지웅]] (★★★☆) >'''혈관에 냉매가 흐르듯 짜릿한 차고 하얀 느와르.'''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메타크리틱]] 점수는 오히려 스웨덴판이 더 높다.[* 스웨덴판이 76점, 미국판이 71점] 핀처의 뛰어난 연출력과 두 배우의 좋은 연기에는 이견이 없으나, '''800페이지가 넘는 1부 소설을 160분 가량의 영화에 담은 것'''[* 이것은 핀처의 최신작인 [[나를 찾아줘]]와도 비교할 수 있는데, 600쪽에 달하는 원작에 영화는 150분 가량이다.][* 그리고 스웨덴판은 원작의 설정은 그대로 가져왔으나, 다른 전개를 보였다.]과 필연적으로 스웨덴판과 비교되면서 압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했다는 것. 그렇지만 소설의 아주 많은 가지(...)를 영화판으로 가져오면서 [[가지치기]]를 잘 하여 매끄럽게 담아낸 것 역시 호평을 받았다. ~~미카엘의 이미지가 원작에 더욱 가깝다는 것도 역시 호평받았다~~ 더불어 핀처의 필모그래피에서 이 영화의 전작이자 최고작으로 평가되는 [[소셜 네트워크]]가 더 낫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사실 이 소설의 각본은 어떻게 써도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 대신 핀처의 초기 작품들 스타일로 회귀한 연출은 핀처 골수팬들의 환호를 불러일으켰다. 158분이나 되는 긴 러닝타임 전체가 핀처 특유의 스타일리쉬하고 느와르적인 영상미로 거의 도배되어있다. 게다가 워낙 내용이 길어서일 뿐 편집과 촬영도 조디악에 비하면 매우 빠른 편. 조디악과 다르게 이 작품은 핀처가 기본기 보다는 본인 특유의 기교를 폭발시켰다는 평. 국내에는 미국판의 개봉과 더불어 2009년에 개봉한 스웨덴판이 한 주의 차이를 두고 개봉하면서 많은 영화 관련 매체에서 두 작품을 비교했는데, 미국판이 원작에 좀 더 가까운 대신, 스웨덴판이 캐릭터성이 좀 더 확실히 두드러진다는 차이점 등을 보인다. 서로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영화팬이라면 같은 이야기를 다룬 두 작품을 같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연기는 흠잡을 데 없을 정도로 좋다. '''특히 [[대니얼 크레이그|007]]을 보러 갔다가 [[루니 마라|리스베트 살란데르]]를 보고 나왔다는 관객이 많았다.(...)''' == 흥행 == 미국에서 흥행 성적은 예상에 약간 못 미쳤는데, 그 이유로는 2시간 반이라는 긴 상영 시간, 같은 기간에 개봉한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의 '''시리즈 최고 흥행''', 이미 2년 전에 스웨덴판이 개봉했는데 너무 리메이크가 성급하게 이루어져 관객들에게 혼란을 준 것, [[크리스마스]]에 수위가 높은 연쇄살인마 영화가 웬 말이냐(...) 등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북미에서 오프닝 성적과 비교하면 1억 불을 달성한 것이 놀라울 정도다. [[소셜 네트워크]]의 오프닝에 절반에 가까운 수치로, '''총 수입으로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긴 것.''' 그리고 그 이유에는 크리스마스 버프를 받은 게 크다.] 무엇보다도 '''총 제작비가 1억 3500만 달러에 달한다.'''[* [[킹스맨]]의 총 제작비가 1억 1500만 달러, [[나를 찾아줘]]의 총 제작비가 9500만 달러다. 많은 제작사에서 [[왓치맨(영화)|왓치맨]], [[울프맨]]같은 청불 등급의 블록버스터들의 실패로 R등급 블록버스터에 대한 투자를 자제하기 시작했는데, 이 영화의 제작비는 상당히 많이 들어간 셈.] 이유로는 스웨덴에서의 로케이션 촬영과 의외로 많이 사용된 CG가 제작비에 큰 비중을 끼쳤겠고, 이런 수위가 센 영화에 순 제작비만 9천만 달러를 투입하고, 홍보 비용에 많은 예산을 쓴 것으로 예상되는 것에 비해 오프닝이 1천만 달러 정도에 그쳐 실망스러운 오프닝을 기록했다. 하지만, 롱런한 끝에 미국시장에선 1억 달러 흥행을 돌파하는데 성공했고, 이후 해외 흥행까지 합친 성적이 2억 4천만 달러에 달해서 영화의 수위나 개봉 시기를 감안하면 흥행했다고 볼 수 있다. 국내 흥행 성적은 KOFIC 통계 기준 443,855명을 기록했다. 핀처 감독의 다음 작품 [[나를 찾아줘]]가 170만 관객을 동원한걸 보면 꽤 아쉬운 성적.[* 그래도 영화가 폭력성이나 선정성으로 [[나를 찾아줘]]보다 훨씬 수위가 쎄니 중박쳤다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부가영상을 봐도 후속작을 염두에 두고 만든 것임에 틀림없지만, 1편의 흥행 성적이 좋지 않아 2편을 기대하기는 힘들 듯. 감독도 연출할 드라마와 영화가 있고, 대니얼 크레이그는 말할 것도 없으니 '''속편이 기다려지는 영화'''에 항상 언급되곤 한다. == 원작과의 차이점 == [include(틀:스포일러)] 일단 '''방대한 원작의 잔가지를 많이 쳐냈다.''' 아래의 차이점 대부분이 그것들이다. 또한 [[방예르 가문]]과 관련된게 많으니 항목을 참조해가며 보는게 좋다. * 헨리크 방예르가 세실리아 방예르를 조심하라고 하는 것, 그리고 세실리아가 [[미카엘 블롬크비스트]]의 방갈로에 찾아온 이후 관계를 맺었던 원작과는 달리, 영화판에서는 한 번만 들르는 것으로만 묘사된다. 거의 한 인물을 삭제한 것과 다름없다. 물론 세실리아가 미카엘이 헨리크의 요청으로 헤데스타드에 내려온 이유를 의심하는 장면은 나온다. * 미카엘과 [[에리카 베르예르]]의 잡지사 밀레니엄의 동료들에 대한 묘사는 '''아예 없다.''' 원작에서는 주인공의 직장이기도 하니 많은 묘사가 있던 반면, 여기선 통째로 삭제되었다. * [[리스베트 살란데르]]의 어머니에 대한 분량이 삭제되었다. 원작에서 어머니는 요양원에서 지냈고, 살란데르가 종종 찾아가곤 했다. 이후 후반부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알게 된 살란데르는 미카엘과 함께 하리에트 방예르를 찾으러 가려던 호주행 비행기에 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아래의 다른 차이점과 연결된다. * 마르틴의 사망 이후 미카엘이 '''하리에트가 살아있다'''는 가설을 내세워 살란데르와 알고 지내던 다른 해커들과 함께 아니타 방예르를 도청, 해킹하는 것은 원작과 영화판이 똑같지만, 원작에서는 아니타가 하리에트와 이메일을 주고받았다는게 드러나고, 영화판에서는 '''아이쇼핑을 한다(...).''' 그 후 원작에서는 하리에트를 호주까지 날아가서 찾아내지만, 영화판에서는 '''아니타가 하리에트였다'''[* 아니타와 하리에르가 서로의 신분을 바꿔치기 했으며, 진짜 아니타는 20년쯤 전 남편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라는 반전이기 때문에 영화판에서 살란데르의 어머니에 대한 부분은 삭제되어도 별 지장이 없다는 것. 그리고 영화판에서 그것을 그대로 옮긴다면 리듬과 분위기가 깨질 수 있었기에 [[원작초월]]로 평가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 차가 [[볼보]] 밖에 없다. 원작 소설에서 렌트하는 차는 [[기아]]인데 여기서는 항상 볼보만 나온다. 스웨덴이라고 해서 볼보만 타는 것은 아닌데..하지만, 의외로 다른 회사 차량이 나오긴 한다. 대표적으로 마르틴이 리스베트에게 도망칠 때 탑승한 차량은 [[랜드로버]] 였으며, 초반부에는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후반부엔 [[롤스로이스]]가 나온다. 그럼에도 볼보가 비교적 많이 나온 이유는 아마 볼보가 본작의 후원사일 가능성이 높다. 즉 [[PPL]]. == 이야깃거리 == 아래 항목은 미국의 영화 사이트 [[IMDb]]를 참고하여 작성한 것. *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에 거론되었던 배우들로는 [[캐리 멀리건]], [[엘리엇 페이지]], [[크리스틴 스튜어트]], [[나탈리 포트먼]], [[미아 바시코프스카]], [[키이라 나이틀리]], [[앤 해서웨이]], [[올리비아 설비]], [[에밀리 브라우닝]], [[에바 그린]], [[스칼렛 요한슨]], [[소피 로]], [[사라 스누크]], [[레아 세두]], [[엠마 왓슨]], [[에반 레이첼 우드]] 그리고 [[케이티 자비스]] 등이 있다. * 원래는 [[나탈리 포트먼]]에게 배역을 맡을 의향이 있는지 물어보았으나, 심신 피로로 인해 거절했고, [[스칼렛 요한슨]]은 핀처 감독이 요한슨이 너무 섹시하다고 생각해서 선택하지 않았다. [[제니퍼 로렌스]]도 거론되었으나 키가 너무 커서[* 171cm, 마라는 160cm.] 선택되지 못했다. 핀처가 생각한 리스베트 역의 신체 조건이 25세 전후의 키가 5피트 5인치(164cm) 정도인 여자였기 때문. 조건에 부합하는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경우는 스케줄 문제로 성사되지 못했다. 나머지 배우들도 몇 명은 스스로가 역할을 거절하였고, 몇명은 다른 영화 제작 스케줄이 겹쳐 선택되지 못했다. * 스웨덴판에서 리스베트 역을 맡았던 [[노미 라파스]]의 연기가 매우 훌륭했기 때문에, 미국판에도 그녀가 리스베트를 맡아야 된다는 캠페인이 열렸다. 다수의 미디어들과 심지어는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도 동의하는 입장을 보였으나, 라파스 본인이 거절했다. 3년간 스웨덴판 밀레니엄 3부작에서 리스베트 역할을 했기 때문에, 같은 스토리의 같은 역할을 다시 맡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 [[루니 마라]]는 리스베트 역을 위해 [[뉴욕]]과 스웨덴을 오가면서 피어싱을 했는데, 그 부위는 [[귀]], [[눈썹]], [[유두]] 등이다. 심지어 속편에 출연할 걸 대비해서 유두 피어싱은 남겨놨다고 한다. * [[미카엘 블롬크비스트]] 역에 거론되었던 배우들은 [[조니 뎁]], [[비고 모텐슨]], [[브래드 피트]], [[조지 클루니]] 등이 있다. 핀처는 기획단계에서는 [[브래드 피트]]를 생각했었지만, 추후 생각이 바뀌었다고. [[대니얼 크레이그]]는 [[007]] 후속작 촬영으로 인해 처음에는 거절했으나, 007의 제작이 늦춰지면서 일정이 비었고, 다시 역할을 맡겠다고 했다. * [[대니얼 크레이그]]는 미카엘 역을 위해서 살을 찌웠는데, 이것은 극중에서 그가 [[제임스 본드]]처럼 보이지 않기를 원해서이다. '''그런데 역할 자체가 비슷하다(...)'''[* 진실을 추적하며 제발로 뛰어다니며 ~~고통받는~~ 인물이라는게 비슷하다.] 이 외에도 극중 저널리스트 역을 위해 최대한 평범한 모습을 유지하려 노력했다고 한다. ~~첩보원처럼 안 보이려고 약 일 년간 몸 관리 안 하고 피자와 파스타를 열심히 먹어 찌운 몸매가 그렇게나 좋다니... 특히 엉덩이가 예술~~ ~~자꾸 본드가 떠올라서 목졸려 있을 때 숨겨둔 총 꺼내고 마르틴을 제압하는 상상이라도 하면 웃음이 새는 걸 막을 수 없다~~ * 스웨덴 출신 [[막스 폰 시도우]]가 [[헨리크 방예르]] 역으로 검토되었으나, [[사운드 오브 뮤직(영화)|사운드 오브 뮤직]]의 아버지 역할로 유명한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맡았다. * [[마르틴 방예르]] 역의 스웨덴 배우 [[스텔란 스카르스고르드]]는 배우 활동 20년 만에 촬영하면서 본인의 집에서 잘 수 있었다. [[스톡홀름]]에서 촬영이 이루어졌기 때문. * 핀처는 원래 스웨덴 출신 촬영감독 프레드릭 배커와 작업을 시작했으나, 8주 만에 감독의 전작 《[[파이트 클럽]]》과 《[[소셜 네트워크]]》에서 같이 한 제프 크로넌워스로 교체했다. * 영화를 촬영하는 동안 스웨덴의 날씨는 20년 만의 가장 추운 [[겨울]]이었다. 얼마나 추웠냐면 핀처가 헤드폰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서 물어보니 다니엘이 추워서 떠는 소리라고. * 리스베트가 동료 해커를 처음 방문하는 장면에서 그 해커가 [[나인 인치 네일스]]의 로고가 있는 검정 티셔츠를 입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인 인치 네일스는 영화의 OST 작업에 참여한 [[트렌트 레즈너]]의 원맨 밴드다. * 초반부의 보안업체 사무실은 비디오 게임 회사 [[DICE]]의 사무실이다. --이때의 인연으로 [[나를 찾아줘]]에서 [[배틀필드 3]]이 등장한 건가-- * OST를 맡은 [[트렌트 레즈너]], [[애티커스 로스]] 콤비 그리고 데이비드 핀처의 두 번째 합작품이다. 첫 번째는 《[[소셜 네트워크]]》. * 핀처와 편집을 맡은 앵거스 월 & 커크 백스터의 네 번째 합작품이다. 《[[조디악]]》,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소셜 네트워크]]》에서 같이 작업했으며, 이중 《소셜 네트워크》와 《밀레니엄》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상을 수상했다. * 영화가 미국에서 개봉한 [[12월 20일]]은 소설 첫 번째 장이 시작되는 날짜다. * 3월 20일에 미국에서 [[DVD]]와 [[블루레이]]로 정발되었다. 그런데 DVD 버전의 디스크가 마치 [[서민CD|소니 DVD-R 디스크]][* 배급사 콜럼비아 영화사가 소니 계열][[서민CD|에]] [[서민CD|매직펜으로 제목을 갈긴 듯한 디자인]]으로 발매되어서 구입한 사람들이 마치 [[복돌이]]가 된 기분이었다고 한다.[* 극중 해커인 리스베트에 영감을 받아 일부러 그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http://craphound.com/images/GirlwithDragonTattooDVDDisc.jpg|#]] * 리스베트를 재정적, 성(性)적으로 괴롭히는 새 후견인 역인 닐스 비우르만 역을 맡은 요릭 반 와게닝엔은 극중 [[성폭행]] 장면을 찍고 난 후, 너무 마음이 괴로워서 다음날 자신의 호텔방 문을 잠그고 하루종일 울었다고 한다. * 후반부 [[마르틴 방예르]]가 [[미카엘 블롬크비스트]]를 결박하여 고문하는 장면[* 은근히 [[카지노 로얄]]의 [[제임스 본드]]가 떠오르기도 한다(...)]에서, 마르틴이 아일랜드 가수 [[엔야]]의 노래 오리노코 플로([[Orinoco Flow]])를 재생하는데, 이 장면을 촬영하기 이전 무슨 노래를 틀 것인가 의논 과정에서 크레이그가 자신의 [[아이팟]]에서 노래들을 죽 뒤지던 중 걸린 첫 번째 노래를 선택해 나온 것이다.[* [[유튜브]]에서 이 노래를 검색하면 나오는 동영상 밑에 추천수가 많은 댓글중 하나: "난 항상 엔야를 듣지는 않아, 하지만 만약 들을 때는 '''크레이그를 죽이는 중이지'''''(...)] * SF 요소가 전혀 없는 현대물 스릴러 장르인데도 CG 작업으로 인한 제작비가 엄청 나갔다. 그 이유는 CG 외주 업체인 VFX에선 프레임별로 계산을 하는데, 영화에서 영화 대부분의 장면에 각종 색감을 위한 필터를 적용했는데 이 비용이 엄청났다고 한다. * 드라마로 제작 예정이다.[[https://variety.com/2020/tv/news/girl-with-the-dragon-tatoo-lisbeth-salender-series-amazon-1234616444/amp/?__twitter_impression=true|#]] 영화와 상관없는 새로운 이야기이다. == 속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거미줄에 걸린 소녀)] [[맨 인 더 다크]]를 연출한 페드로 알바레즈가 속편의 연출을 맡을 예정이며 스티브 나이트가 각본을 집필한다.[[http://variety.com/2016/film/news/girl-with-the-dragon-tattoo-sequel-may-have-found-its-director-exclusive-1201907778/|#]] 또, 원작자가 집필한 2편이 아닌 작가 사후에 다른 작가가 집필해 출간한 '''The Girl in the Spider's Web'''을 원작으로 한다.[[http://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2172163?|#]] 한국어로는 '''밀레니엄: 우리를 죽이지 않는 것'''. 소설 원작에서 2~3부 건너뛰고 4부를 제작하며 출연진들도 싹 다 바뀔 예정이라고 한다. 주연으로 클레이 포이가 먼저 캐스팅되었다. [[블레이드 러너 2049]]에서 러브 역을 맡은 실비아 휙스가 캐스팅되었다. 여주인공인 리스베르 살란데르 (클레이 포이)의 쌍둥이 동생인 카밀라[* 원작과 다르게 쌍둥이 언니라는 말도 있다.]로 출연할 예정이다. 개봉후 평가, 흥행 모두 망했다... [[분류:밀레니엄(소설)]][[분류:2011년 영화]][[분류:미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메트로 골드윈 메이어]][[분류:소니 픽처스]][[분류:데이비드 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