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탈리아의 도시국가]][[분류:공국(공작)]][[분류:중세 이탈리아 왕국 구성국]][[분류:18세기 멸망]] [include(틀:이탈리아의 역사)] ||<-3> {{{#1E90FF {{{+3 '''밀라노 공국'''}}}[br] '''Ducà de Milan'''[br]'''Ducato di Milano'''}}} || ||<-2>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width=60%]] || [[파일:밀라노 공국 국장.svg|width=60%]] || ||<-2> '''{{{#000000 국기}}}''' || '''{{{#000000 국장}}}'''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chy_of_Milan_(1402).svg|width=100%]]}}} || ||<-6><:> {{{#000,#ddd {{{-1 1402년 밀라노 공국의 최대 영토}}}}}} || ||<-6><:> '''{{{#000000 1395~1447, 1450~1796}}}''' || ||<-2> '''{{{#1E90FF 성립 이전}}}''' || '''{{{#1E90FF 멸망 이후}}}''' || ||<-2> '''[[코뮌|{{{#FF4500 밀라노 코뮌}}}]]''' || [[이탈리아 왕국(프랑스 제1제국)|{{{#32CD32 '''이탈리아 왕국'''}}}]] || || {{{#000000 '''위치'''}}} ||<-2>[[이탈리아]] [[롬바르드]] || || '''[[수도(행정구역)|{{{#1E90FF 수도}}}]]''' ||<-2>[[밀라노]] || || {{{#000000 '''정치 체제'''}}} ||<-2>[[군주제]] || || {{{#1E90FF '''국가 원수'''}}} ||<-2>밀라노 공작 || || {{{#000000 '''주요 공작'''}}} ||<-2>'''[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left: 0px; margin-top: -22px" {{{#!folding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1395~1402)[* 초대 밀라노 공작.][br][[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1412~1447)[* 비스콘티 가문 최후의 통치자][br][[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1450~1466)[* 스포르차 가문 창시자][br][[프란츠 2세]](1792~1796)[* 마지막 밀라노 공작.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초대 황제다.]}}}}}} || || {{{#1E90FF '''인구'''}}} ||<-2>75만 명 (17세기) || || {{{#000000 '''민족'''}}} ||<-2>[[이탈리아인]] || || {{{#1E90FF '''언어'''}}} ||<-2>[[이탈리아어]][br][[롬바르드어]] || || {{{#000000 '''종교'''}}} ||<-2>[[로마 가톨릭]] || || {{{#1E90FF '''통화'''}}} ||<-2>스쿠도, 리라 || || {{{#000000 '''주요 사건'''}}} ||<-2>'''[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left: 0px; margin-top: -22px" {{{#!folding           1395년 건국[br]1447년~1450년 [[암브로시아#s-3|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파비아]] 대학의 학생들이 대중의 지지를 얻어 밀라노에 세운 단명 [[공화국]].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도움을 받아 [[베네치아 공화국]]에 맞섰으나, 스포르차가 배신하고 베네치아가 밀라노를 함락시키면서 사라졌다.][br]1499년~1512년 1차 프랑스 점령기[br]1515년~1522년 2차 프랑스 점령기[br]1524년~1525년 3차 프랑스 점령기[br]1535년~1786년 [[합스부르크 왕조]] 통치기[br]1556년~1700년 [[압스부르고 왕조|스페인]] 통치기[br]1700년~1796년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통치기[br]1796년 합병}}}}}} || || {{{#1E90FF '''현재 국가'''}}} ||<-2>[[이탈리아]], [[스위스]][* 스위스의 이탈리아어권 지역인 [[티치노]]가 본래 밀라노 공국 영토였다.] || ||<:><-2> {{{#1E90FF '''언어별 명칭'''}}} || || [[롬바르드어]] || Ducaa de Milan || || [[이탈리아어]] || Ducato di Milano || || [[라틴어]] || Ducatus Mediolani || || [[독일어]] || Herzogtum Mailand || || [[프랑스어]] || Duché de Milan || || [[스페인어]] || Ducado de Milán || [목차] [clearfix] == 개요 == [[르네상스]] 시기 [[밀라노]]를 중심으로 [[롬바르디아]] 일대를 다스린 [[신성 로마 제국]]의 봉신국. 비단 산업 등을 토대로 26개의 소도시들과 근방 영토를 차지하고 르네상스 시대 내내 [[이탈리아 반도]], 넘어서 유럽 전체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들 중 하나였다. 밀라노 공국의 창립 세력인 비스콘티 가문은 1277년 이래 밀라노 지방을 다스려온 유서깊은 명문귀족가였다. 이후 비스콘티 가문의 남계 직계가 단절되자[* 이탈리아의 거장 영화감독 [[루키노 비스콘티]]가 이 가문의 방계 출신이다.] 비스콘티 가문의 용병대장에 불과했던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비스콘티 가문의 상속녀와 결혼한 후 밀라노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스포르차 가문 시대의 밀라노 공국은 중계 무역을 틀어쥐고 갈수록 부유해졌고, 강력한 경제력을 토대로 북부 이탈리아를 통일하려는 야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특히 1450년부터 1535년까지 지속된 스포르차 가문의 시대에 밀라노 공국은 비단 무역 등을 통해서 당대 [[르네상스]] 유럽 전체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들 중 하나가 될 수 있었으며, 수많은 예술가들을 후원하며 르네상스 예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피렌체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교황령]]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북부 이탈리아 통일의 꿈을 접어야 했으며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와 [[압스부르고 왕조|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 간의 [[이탈리아 전쟁]]에 휘말려 4차례나 약탈을 겪어야 했다. 결국 1535년에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로는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의 영토가 되었다. 지배 기간에도 공작위는 있었으나 [[합스부르크 가문|스페인-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 군주들이 [[동군연합]]으로 겸하는 등 공국은 사실상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 역사 == 비스콘티 가문은 1277년부터 밀라노 [[코뮌]]을 지배하였다. 1대 지배자였던 오도네 비스콘티의 치하에서부터 118년이 지난 후, 제10대 지배자였던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당시 [[보헤미아 왕국]]의 왕이자 [[독일왕]]이었던 [[룩셈부르크 가문]]의 [[바츨라프 4세]][* [[바츨라프]]는 체코식 이름이고, 독일식 이름으론 [[벤첼]](Wenzel)이다.]에게 무려 10만 플로린을 바치며 작위를 얻어냈다.[* [[밀라노]] 공작위 + [[파비아]] 백작위.] 1395년 5월 1일의 일이었고, 이것이 밀라노 공국의 시작이었다.(동시에 갈레아초가 다스리던 [[파비아]]도 백국으로 승격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uremberg_chronicles_f_72r_1.png|width=500]] 밀라노 공국은 15세기 들어 이탈리아 북부의 통일을 목표로 하여 다른 도시들을 위협하였다. 1440년 베네치아-피렌체-교황령의 연합군과 밀라노 군은 안기아리에서 격돌하였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묘사하여 유명해진 이 전투에서 연합군이 승리하여 피렌체는 이탈리아 중북부에서의 패권을 지킬 수 있었다. 이후 비스콘티가의 남계후손이 단절되자 밀라노 공국은 일시적으로 멸망하고 그 자리에 [[암브로시아#s-3|암브로시아 공화국]]이 세워지지만 밀라노의 [[용병]] 대장으로 유명한 스포르차 가문의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하여 암브로시아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밀라노 공국을 재건했다. 그 이후 스포르차 가문은 15세기 말까지 밀라노 공국을 통치하며 그 번영을 이끌었다. 여기까지만 본다면 용병대장에서 시작해서 한 국가의 주인이 되고 그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통치를 잘해 나라를 번영시킨, 그야말로 인생승리라 할 수 있겠으나[* 장난이 아니라 요즘 [[빙의물]]로 대표되는 [[양판소]]들의 메인스트림 골격이 [[이탈리아 전쟁]] 이전까지의 스포르차 가문에 대입하면 딱 맞아 떨어진다. 오죽하면 작가들이 이 가문을 모티브로 소설을 썼나 싶을 정도. 비슷한 예시로 살짝 근대풍 양판소나 [[로판]]의 대표 모티브로 취급되는 [[러시아 제국]]이 있다. 아예 스포르차 가문의 주인공이 [[이탈리아 통일]]을 꾀하는 '이탈리아에서 살아남기'라는 [[대체역사물]]도 있다.] 밀라노 공국은 이내 [[이탈리아 전쟁]]의 갈등속에 정면으로 휘말리게 된다. [[파일:Peter_Paul_Ruben's_copy_of_the_lost_Battle_of_Anghiari.jpg]] 이후 프랑스의 지배(1499년~1512년, 1515년~1522년, 1524년~1525년)에 놓였다가, 결국 스페인에게 넘어갔고,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로는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796년 이후 [[프랑스 제1공화국]]의 지배에 놓이게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밀라노 공국과 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를 합쳐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을 만들어 지배했으며 1859년에 오스트리아 제국이 제2차 이탈리아 독립전쟁에서 패하면서 밀라노는 이탈리아 왕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고 현재의 이탈리아 공화국까지 이르게 된다. 밀라노 공국의 수도였던 밀라노의 인구는 1600년에 120,000명이었고 1800년에는 140,000명으로 인구가 많은 중요한 도시였다. == 역대 공작 == [include(틀:역대 밀라노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