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중국]] 내 [[구색정당#중국|구색정당]]들의 연합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중국공산당]]과 함께 협력한 정당들이다. == 역사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중국의 정치계는 크게 세 파벌로 나뉘어있었다. 우파이면서 정권을 잡고 있던 [[중국국민당]], 좌파이자 제1야당인 [[중국공산당]], 그리고 국민당에 반대하는 정당들의 연합체인 민맹(民盟, [[중국민주동맹]])[* [[중국 청년당]]과 [[중국 민주사회당]]에 각종 정당 및 단체가 연합해서 만들었다. ]이 그것이다. 1946년에 결성된 제헌[[국민대회]]는 정원 2,050명을 지역 대표 770명, 직능 대표 437명, 정부 대표 143명, 각 정당 대표 670명으로 배분했다. 이미 지역 대표, 직능 대표, 정부 대표로 의석의 3분의 2 가량을 국민당에게 사실상 보장한 데다가 각 정당에 배부된 인원도 국민당 220명, 공산당 190명, 민맹 120명에 친 국민당 성향의 청년당에 100명[* 청년당은 이 때 이미 민맹에서 벗어나 친 국민당 성향의 어용정당으로 전락했다. ], 무당파국민참의원에 40명을 배분하는 등 제헌국민대회에 참여하는 것은 곧 [[구색정당]]이 되겠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는 것과 다름없게 만들어 놓으니, 공산당과 민맹은 제헌국민대회 참여를 거절해버린다. 하지만 [[장제스]]의 막후공작에 포섭된 중국민주사회당이 민맹에서 이탈하고 제헌국민대회에 참석한다. 이렇게 중국민주사회당이 민맹에서 이탈[* [[국부천대]] 이후에는 청년당과 민주사회당에서 국부천대에 동참을 거부한 사람들이 민맹으로 복귀했고, 지금의 민맹은 청년당과 민주사회당의 대륙잔류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했는데, 반대로 장제스에 반발하며 국민당을 탈당한 사람들이 결성한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가 민맹과 발을 맞추게 되었고, 여기에 국민당 정권에서 탄압받아 지하 조직으로 명맥을 유지하던 각종 정당/단체 연합[* 그나마 민맹이 제도권 정당이라도 될 수 있었던 건 국민당의 어용집단이 된 청년당이 형식상 민맹에 가입해있었기 때문이다. ]도 합류하면서 이들이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주당파가 되는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인 1950년대 초중반에는 중국공산당과 정부와 고위직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활동을 벌이는 등 허수아비 야당은 아니었지만 1957년 [[반우파투쟁]]으로 크게 타격을 입었고 1966년-1976년 [[문화대혁명]] 때는 사실상 조직이 와해되어 활동이 중단되는 수모를 겪는다. [[문화대혁명]] 종결 후 조직을 복구했지만 현재는 중국공산당의 집권에 도전할 생각이 전혀 없는 [[구색정당]]에 머무르고 있다. [[구색정당]]이지만 공개적으로 당원을 모집하고 각 [[성(행정구역)|성]]과 [[직할시]]에 지역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신문과 잡지 등의 정기간행물 발행 등 정당으로서 하는 일상적인 활동은 대부분 하고 있다. 출판사를 운영하며 [[단행본]] 출판도 한다.[* 중국에서 양안관계 개선의 일환으로 [[장제스]]의 저작에 대한 출판을 용인한 적이 있는데 다름 아닌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소속 "단결출판사"에서 출판됐다.] [[문화대혁명]] 후부터는 당대회도 빠짐없이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물론 모든 일상활동도 중국공산당과 정부에서 용인하는 내에서만 하고 있다. 구성원 대부분이 문화출판, 교육, 과학기술, 의약위생 분야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며 각 직할시/성의 부시장/부성장 중 한 자리는 관례적으로 민주당파에서 맡게 된다. 단 [[티베트 자치구]]에서는 활동하지 않는다. == 민주당파의 목록 == |||||| 명칭 |||||| 약칭 || ||<|2> 한글 || 번체자 || 간화자 ||<|2> 한글 || 번체자 || 간화자 || |||| 영문 |||| 영문 || ||<|2> [[파일: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로고.png|width=50%]][br][[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 中國國民黨革命委員會 || 中国国民党革命委员会 ||<|2> 민혁 |||| 民革 || |||| Revolutionary Committee of the Chinese Kuomintang |||| RCCK || ||<|2> [[파일:중국 민주동맹 로고.png|width=50%]][br][[중국민주동맹]][* [[중화민국]]의 관제야당이었던 [[중국 청년당]]과 [[중국 민주사회당]]의 중공 측 분파이다.] || 中國民主同盟 || 中国民主同盟 ||<|2> 민맹 |||| 民盟 || |||| China Democratic League |||| CDL || ||<|2> [[파일:중국민주건국회 로고 고화질.png|width=80%]][br][[중국민주건국회]][br][*구_로고 [[파일:중국민주건국회 구 로고.png|width=20%]]참고로 과거의 로고는 이렇게 생겼다.][* 중국 내 상공계 인사를 주축으로 구성된 정당이다.] || 中國民主建國會 || 中国民主建国会 ||<|2> 민건 |||| 民建 || |||| China Democratic National Construction Association |||| CDNCA || ||<|2> [[파일:중국 민주촉진회 로고.png|width=50%]][br][[중국민주촉진회]][* 중국 내 문화출판교육계 인사를 주축으로 구성된 정당이다.] || 中國民主促進會 || 中国民主促进会 ||<|2> 민진 || 民進 || 民进 || |||| China Association for Promoting Democracy |||| CAPD || ||<|2> [[파일:중국농공민주당 홈페이지 로고.png|width=100%]][br][[중국농공민주당]][* [[복건사변]]을 일으킨 정당이다. 현재는 중국 내 의약위생계 인사를 주축으로 구성된 정당이다.][*중국농공민주당_다른_로고 [[파일:중국 농공민주당 로고.png|width-20%]] 다른 로고는 이렇게 생겼다. ] || 中國農工民主黨 || 中国农工民主党 ||<|2> 농공당 || 農工黨 || 农工党 || |||| Chinese Peasants' and Workers' Democratic Party |||| CPWDP || ||<|2> [[파일:중국 치공당 로고.png|width=100%]][br][[중국치공당]][* 화교를 주축으로 구성된 정당이다. [[진먼현]]의회에도 중화민족치공당이라는, 비슷한 이름의 정당이 있다.] || 中國致公黨 || 中国致公党 ||<|2> 치공당 || 致公黨 || 致公党 || |||| China Zhi Gong Party[* China Party for Public Interest으로 옮기기도 한다.] |||| CZGP || ||<|2> [[파일:Jiusan_Society_logo.png|width=50%]][br][[구삼학사]][* 중국 내 과학기술계 인사를 주축으로 구성된 정당이다. 당 이름은 중일전쟁이 끝난 1945년 9월 3일을 기념하는 뜻.] || 九三學社 || 九三学社 ||<|2> 구삼 |||| 九三 || |||| Jiu San Society[* Jiusan Society, September 3 Society로 옮기기도 한다.] |||| JSS || ||<|2> [[파일:타이완 민주자치동맹 로고.png|width=50%]][br][[타이완 민주자치동맹]] || 台灣民主自治同盟[* 본래 '대만'의 번체자가 臺灣이므로 臺灣民主自治同盟으로 적기도 한다. 중국어 정체자(번체자)에서는 臺와 台가 혼용된다.] || 台湾民主自治同盟 ||<|2> 대맹 |||| 台盟[* 번체자의 경우 臺灣民主自治同盟을 줄여 臺盟으로 쓰기도 한다.] || |||| Taiwan Democratic Self-Government League |||| TDSGL || == 둘러보기 == [include(틀: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원내 구성)] [[분류:민주당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