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티베트어족)] [include(틀: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3> {{{+2 '''민어''' | '''푸젠어'''}}}[br]'''{{{-1 閩語/闽语[* 민남어로 Bân Gú, 민동어로 Mìng Ngṳ̄ 정도의 발음으로 불린다.] | 福建話}}}'''[br]{{{-2 Min Chinese | Hokkien}}}[* 민남어에 한정해 Hoklo, Hokkien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福建([[푸젠성|푸젠]])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된 이름. 대부분의 서양 언어에서 Min Chinese 혹은 Hokkien, Hoklo에 해당하는 자국어 표현을 쓴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어 사용 지역.png|width=100%]]}}} || ||<-3> {{{-2 민어 사용 지역 분포도}}} || ||<-2> '''유형''' ||[[고립어(언어유형학)|고립어]] || ||<-2>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br]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 ||<-2> '''문자''' ||[[한자]]([[정자(한자)|정체자]], [[간체자]]), [[로마자]] 등 || ||<-2> '''주요 사용 지역'''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br]└[[푸젠성]][br]└[[하이난성]][br]└[[광둥성]] 동부[br]└광둥성 레이저우 반도[br][include(틀:국기, 국명=대만)] || ||<-2> '''원어민''' ||약 7,000만 명 || ||<-2> '''계통''' ||[[중국티베트어족]][br][[한어]]파[br][[중국어]][br]민어 || ||<|2> '''언어[br]코드''' || [[국제표준화기구|{{{#fff '''ISO'''}}}]] '''639-6''' ||mclr || || '''글로톨로그''' ||minn1248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어/방언|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오늘날의 [[푸젠성]]~[[광둥성]] 동부([[차오저우]] 및 주변지역)~[[대만]]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방언이다. 물론 [[중국어]] 방언들이 원래 그렇듯 말이 좋아 [[방언]]이지 [[관화]]([[표준중국어]])나 기타 중국어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주 사용 지역이 [[푸젠성]]이기 때문에 '''푸젠어(福建話)'''라고도 하며, 사용자는 '''7000만 명''' 정도다.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은 모두 중고한어 시절에 분화하여 갈라져 나왔는데, 민어는 특이하게도 그보다 더 옛날인 [[후한]] 말기의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왔다. 따라서 음운에서 오래된 색채가 강하며 같은 방언 그룹 내에서도 방언차가 가장 크다. 그 때문에 민북·민남·민중·보선·민동(·경뢰)·소장의 6~7개 분류로 쪼개 설명하기도 한다.[* 민서는 없다. [[푸젠성]] 서부는 감어(赣語, [[장시성]]에서 발원한 방언) - [[객가어]]권이기 때문. 다만 조주어가 민서어라고 불리기는 한다.] 동남아 등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교]]들은 대부분 푸젠 및 광둥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화교의 상당수가 이 방언을 쓴다. 주요 방언지역으로는 [[푸저우시|푸저우]], [[샤먼(도시)|샤먼]], [[타이완 섬|타이완]], [[차오저우]], [[하이난]] 등이 유명하다. 다른 중국어 내 방언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Swadesh list의 [[기본어휘]] 200개로 비교한 결과 [[북경어]]와의 유사성이 49%로 5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방언과도 비교해보면 [[오어]]와는 51%, [[광동어]]와는 55%, [[객가어]]와도 58%로 꽤 차이가 있는 편.[* 이와 똑같은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영어]]와 [[독일어]]는 55%이고,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는 80%를 넘는다.] '''민어가 먼저 [[상고한어]]에서 분화되고''' 그 후에 중고한어에서 나머지 방언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중국어 방언 중에서 제일 이질적이고 어떤 방언과 비교해도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하위 방언 == 민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편의상 그렇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며, 민어 아래에도 수많은 세부 방언이 존재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중국어 제방언과 마찬가지로, 각 세부방언끼리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 문자를 배제한 음성 언어만의 대화에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보다 [[상호 의사 소통성|상호 이해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 연해 민어 === 沿海閩語 [[푸젠성]] 기준 [[연안]](沿岸)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대부분의 민계 언어 사용자들이 이 연해 민어를 사용한다. ==== 민남어 ==== [youtube(Idd8KzYoi4Y)] [[샤먼 궤도교통]] 1호선 안내방송. 표준중국어 - 민남어 - 영어 순으로 진행한다. 閩南語 / Bân-lâm-gú. '''가장 많이 알려진 민어 [[방언]].''' [[푸젠성]] 남부와 [[대만]], [[광둥성]] 동부 해안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화교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유튜브에 들어가 보면 민남어를 쓰는 말레이시아 화교들의 동영상이 꽤 보인다.] 더 자세하게 구분해서 대만과 푸젠성의 복건 방언(Hoklo), 광동성 동부의 조주어(Teochew)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 '''복건화'''(福建話) 복로화(福佬話)[* 객가인들이 민남어 사용자들을 복로인(福佬人)이라 불렀는데 여기서 유래한 명칭이다.], 천장편(泉漳片)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장주(漳州)어와 천주(泉州)어, 하문(廈門)어[* 주로 [[샤먼시|샤먼]] 일대에서만 쓰이는데 장주어와 천주어가 혼합된 형태이다. 대만이 실효지배하는 [[진먼현]](본래 샤먼과 함께 퉁안현(현 [[퉁안구]])에 속했던 지역으로, 전통적으로 같은 생활권이었다)에서도 쓰인다.] 등으로 좀 더 세분하기도 한다.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필리핀 복건화라 불리는 방언도 따로 있을 정도로 푸젠성 출신 이민자가 많았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도시권에 주로 복건화 사용자들이 있으며 한때 수도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자바 섬]]에도 구사자가 많았으나 현지의 거센 반화교 분위기로 인해 자바의 화교들은 현지화된 경향이 강하다.] 등에 복건화를 쓰는 화교들이 거대한 세력을 형성한 덕에 전세계적으로 'Hokkien'이라는 용어로 복건화가 일찍부터 중국의 언어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복건화를 쓰는 화교 공동체의 영향력은 현지에서 매우 강하기에 그들의 언어가 현지 언어의 속어, 용어, 지명에도 영향을 끼쳤을 정도이다. 그래서 현재도 민남어의 대명사는 복건화이다. * '''[[대만어]]'''(臺灣語 / Tâi-oân-gú)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만어)] 민남어의 일종으로, [[대만]]에서 공용어인 [[표준중국어]]와 함께 [[양층언어|구어로 많이 쓰인다.]] 복건 방언이 대만으로 유입돼 형성된 방언으로, 복건 방언과 유사하여 서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대륙의 복건화와 비교하면, 어휘가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일본어]] 차용 어휘가 많다는 것과, 장주어와 천주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같은 단어가 미세하게 다른 여러 발음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가 있다. 자세한 건 [[대만어|문서]] 참고. * '''조산화'''(潮汕話) 푸젠성 남서부 및 광둥성 동부의 [[차오저우시|차오저우]], [[산터우]], [[제양]]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특히 [[차오저우]](조주) 출신 화교들이 [[태국]][* 현재 대부분 현지화 되었지만 근대에는 수많은 화교 이민이 있었다. [[보로마라차 4세|태국의 왕]]과 지배층도 조주계 화교 혈통이 있을 정도이다.]이나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 많이 정착했기에 해외에는 차오저우의 현지 발음인 Teochew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래서 일상적으로는 조주어라고 부르는 것이 흔하나 사전적으로는 조주(차오저우)와 산두(산터우)의 방언이기에 조산화(潮汕話, Teoswa)라고 정의한다. 해외 화교들 중 광동어나 민남어 화자가 많은데 민남어 중에서도 특히 많은 언어이다. 또 조주어 화자의 분포 지역은 광동어의 영향권과도 겹치기 때문에, 중국 대륙의 조주어 화자 상당수는 광동어도 어느 정도 구사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민남어의 [[로마자 표기법]]([[병음]])으로 [[백화자(민남어)|백화자]](白話字, POJ)가 유명하며 대만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백화자를 개량한 [[대라병음]](臺羅拼音·TL)을 대만 민남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삼아서 대만 민남어 교과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민남어를 사용한 유명한 인물로는 작가, 문학평론가인 린위탕(林語堂) 및 [[건생중의]]의 의사 장슌중(張順忠, 1952- )이 있다. [[차]]를 뜻하는 영단어 Tea는 차를 뜻하는 한자 [[茶]]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하였다. 민남어로 '테'에 가깝게 발음하던 것을 네덜란드 상인들이 받아들여 유럽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 [[케첩]]의 어원 또한 민남어에서 유래하였다. 싱가포르에 가면 흔히 먹을 수 있는 현지 음식 중 [[바쿠테]](肉骨茶, 갈비탕), 박과(肉干, 육포) 등이 민남어에서 유래한 음식 명칭이다. [[표준중국어]]에서는 전화번호를 읽을 때 [[0]]을 零(떨어질 령)으로 읽지만 민남어에서는 한국어에서 전화번호나 번호판 등을 읽을 때처럼 空(빌 공)으로 읽는다. ==== 경뢰어 ==== 琼雷語. 혹은 '''해남어''' (海南語 / Hái-nâm-gú). [[하이난성]]과 [[광둥성]] 레이저우(雷州) 반도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민남어의 일파로 분류하기도 하고 독립된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음의 발음이 유기음-무기음 대립이 없고 [[베트남어]]처럼 [[내파음]]이 존재하는 등 다른 민남 방언들과 차이가 있는 편이라고 한다. ==== 민동어 ==== [youtube(hw8vhGXvJX0)] [[푸저우 지하철]] 1호선 안내방송. 표준중국어 - 민동어 - 영어 순으로 진행한다. 閩東語 / Mìng-dĕ̤ng-ngṳ̄. [[푸저우시|푸저우]]를 포함한 [[푸젠성]] 동북부, [[대만]]의 [[롄장현]](마쭈 열도)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푸저우 방언이 있다. 음운의 변동이 매우 심한 언어로, 이웃하는 음절에 따라 [[성모]], 운모, [[성조]]의 세 가지가 전부 바뀔 수 있다. 성모의 경우, 앞글자가 모음 혹은 /-ʔ/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연음화하고, 비음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비음화한다. 성조는 민남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 빼고 전부 바뀌는데, 민남어와 다르게 앞 음절과 뒷 음절의 성조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심지어 일부 방언은 마지막 음절까지 바뀌는 경우도 있다. ==== 보선어 ==== 莆仙語 / Pó-sing-gṳ̂. 흥화어(興化語)라고도 한다. 푸젠성 중부의 푸톈('''莆'''田)과 셴유('''仙'''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현재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는 [[진먼현]]의 우추향(烏坵鄉)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국부천대|국민당 정권이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장기간 끊기면서 대만 본토처럼 민남어권이 되었다. === 연산 민어 === 沿山閩語. [[푸젠성]] 기준 산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영어로는 Inland Min 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입성이 소실되어 glottal stop(ʔ)조차 개음절화된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관화]]와는 다르게 입성이 다른 성조에 편입된 것이 아닌 별도의 성조를 이루고 있다. ==== 민북어 ==== 閩北語 / Mâing-bă̤-ngṳ̌. 푸젠성 서북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연산 민어들 중 유일하게 병음 표기가 정립된 언어이기도 하다. ==== 민중어 ==== 閩中語. 푸젠성 중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 소장어 === 邵將語. 푸젠성 중서부의 샤오우('''邵'''武)와 장러('''將'''樂)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북어, 감어(贛語)와 [[객가어]]의 혼합 방언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싱가포르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분류:중국어]][[분류:푸젠성]]